• Title/Summary/Keyword: 중추신경독성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흰쥐에서 출생 후 납중독에 의한 중추신경계 독성의 선택성 연구ㅤ

  • 한병희;고광호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8 no.1
    • /
    • pp.35-46
    • /
    • 1988
  • 출생직후부터 새끼쥐에 유발시킨 납중독이 중추의 특정 신경계에 미치는 신경독성의 선택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정 신경계의 한 예로 모노아민성 신경계를 선택하여 납중독의 지표로 모노아민성 신경계의 효소인 MAO (mono-amine oxidase)의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비특정 조직의 지표로 Na+K+-ATP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Wistar계의 흰쥐에서 태어난 새끼들에게 출생직후부터 전실험기간을 통해 0.05% 혹은 0.2% 초산납 (PbAc2)용액을 식수로 공급하여 납중독을 유발시켰다. 생후 2, 4, 6 및 8주된 새끼쥐의 MAO 및 Na+K+-ATPase활성을 대뇌, 간뇌, 중뇌, 뇌교-연수 및 다섯부위에서 각기 측정하였다.

  • PDF

흰쥐에서 출생 전 납중독에 의한 중추신경계 독성의 선택성 연구

  • 고광호;이정원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7 no.2
    • /
    • pp.72-84
    • /
    • 1987
  • 어미쥐에 유발시킨 납중독이 새끼쥐의 특정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신경독성의 선택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정 신경계의 한 예로 모노아민성 신경계를 선택하여 납중독의 지표로 모노아민성 신경계의 효소인 MAO(monoamine 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비특정조직에의 지표로 Na+.K+-ATP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임신한 Wistar계 어미쥐에게 임신전기간에 걸쳐 0.05 혹은 0.2% 초산납(PbAc2)용액을 식수로 공급하여 간접적으로 태아에 납중독을 유발시켰다. 새끼쥐는 출생직후 정상 식수를 공급해 주었다. 2, 4, 6 및 8주된 새끼쥐의 MAO 및 Na+.K+-ATPase활성을 대뇌, 간뇌, 중뇌, 뇌교-연수 및 소뇌 등 다섯부위에서 각기 측정하였다.

  • PDF

The Effect of Acrylamide on the Ultrastructures of Nervous System of the Mouse (생쥐 신경계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Acrylamide의 영향)

  • 김동수;하재청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3 no.4
    • /
    • pp.454-460
    • /
    • 1990
  • The effed of acrylamide on the nervous system has heen morphologically studied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light micrographs on central and pedpheral nervous tissues of mouse treated with acrylamide monomer showed total vacuolation of spinal cord, cell degradation containing neuron and neuroglia, and distal nerve fiber degeneration. The electron micrographs showed ultrastrudural changes. Abnormal mitochondria in neuron, splitting of myelin sheath in lumbar ventral root nerve, partial disintergration of myelin sheath and axoplasmic degeneration in sciatic nerve, and overafl polyneuropathies in nervous system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rylarnide intoxicated mouse shows distal behavioral neuropathy as an earlist clinical sign, but the initial effect of acrylamide on the nervous system seems to appear at nearly the same time in both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 PDF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의 자발운동 양상에 미치는 영향

  • 박찬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69-169
    • /
    • 1993
  • 동물의 일반활동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약물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독성평가는 물론이고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의 검색에도 널리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전으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들의 일반활동을 분석하여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따르는 일반활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장치는 UGO BASILE제 활동측정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사육한 ICR mouse를 사용하였다. 동물의 활동측정은 환경요인을 최소한으로 배제하기 위하여 매일 9:00-11:00 까지 2시간 동안의 행동을 10분 간격으로 측정 기록토록 하였다. 중추신경 흥분제 amphetamine, 진정수면제 phenobarbital, 항불안제 diazepam, 항정신병약 chlorpromazine, 항우울제 haloperidol는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동물의 자발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특기할 것은 항불안제 diazepam 은 용량의존적으로 운동 억제를 나타내었으나 진정수면제 phenobarbital의 경우는 용량 의존전 운동억제를 나타내기 이전에 초기약물 유발성 aggressive behavior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는 동물의 자발행동의 분석으로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의 작용기전 규명 및 이에 따르는 약물의 분류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yclosporine-Assoc iated Central Neurotox ic its after Hearat Transplantat ion 1 Case Report (심장이식 환자에서 Cyclosporine에 의한 중추신경독성 -1례 보고-)

  • Kim, Young-Hee;Song, Hyun;Song, Meong-G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11
    • /
    • pp.1136-1138
    • /
    • 1997
  • A 45-year-old man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due to dilated cardiomyopathy. Cyclosporine, 2 mg/kg per day, was intravenously givell postoperatively. As central neurotoxicity signs that were included pin-point pupil, no light reflex, coma, were presented at 8 postoperative hours, cyclosporine was decreased to 1 mg/kg er day. At that time the cyclosporine level was 345 $\mu\textrm{g}$/L, the serum creatinine level was 1.8mg/dl and the serum magnesium level was within normal limit. He awaked at 31 postoperative hours and all sign of cyclosporine-induced central neurotoxicity was resolved after postoperative days. He was discharged without sequale at postoperative day 28.

  • PDF

Co-Infection of the Rat Central Nervous System with Genetically Engineered Strains of Pseudorabies Virus (유전자 조작된 Pseudorabies 바이러스에 의한 흰쥐 중추신경계의 이중감염)

  • Kim Jin-Sang;Kwon Young-Shil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v.11 no.2
    • /
    • pp.81-92
    • /
    • 1999
  • 중추신경계의 미주신경동쪽핵(DMV)내 유사핵분열후 신경세포로 외래 유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pseudorabies 바이러스(PRV)의 유전자 조작기술은 흰쥐의 결장내로 PRV를 주입시킨 후 복잡한 신경로 추적에 관한 연구에서 하나의 바이러스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더욱 유용한 결과산출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생체내 실험모델로 하나의 바이러스 또는 이중 바이러스 주입에 PRV의 유전자 조작된 2종 바이러스를 사용하였다. 이 2종의 바이러스는 PRV의 Bartha 종에서 유래되었지만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동일한 유전산물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PRV-BaBlu는 PRV 게놈의 Us 구역 중 gC 자리에 lacZ 유전자를 삽입하여 산출되었는데 $\beta-galactosidase$ 발현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신경원의 독특한 표시자로 나타났다. PRV-D는 2가지 단계에 의해 조성되었는데 첫째, PRV-Bartha의 Us 구역의 일부 유전자를 제거하고, 야생형인 PRV-Be DNA로 복구시켰는데 이로써 PRV-D는 PRV-Bartha 또는 PRV-Bablu에 존재하고 있지 않는 외피 당단백질인 gE와 gI를 지니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PRV-D의 개별적 접종에 의해 얻어진 감염은 PRV-BaBlu에 의한 동일 신경회로의 감염보다 유의하게 빨랐다. 둘째, 유전자 조작된 PRV의 변이종은 변이종 상호간 및 부모 바이러스와 상이하였다. PRV-D는 PRV-Bartha 또는 PRV-BaBlu보다 감염독성이 더 강했고, PRV-BaBlu는 PRV-Bartha보다 감염독성이 약했다. 셋째, 결장을 지배하는 미주신경동쪽핵내 신경원은 변이종 바이러스들을 동시에 접종하였을 경우 이중감염을 나타내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esticide Exposure and Central Nervous System Symptoms (농약 노출과 중추신경 증상과의 관련성)

  • Kwon, Young-Jun;Kang, Tae-Sun;Kim, Kyung-Ran;Lee, Kyung-Sook;Ju, Young-Su;Song, Jae-Chul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9 no.2
    • /
    • pp.265-285
    • /
    • 2004
  • Objectives: The acute toxic effects of pesticide are well known. Concern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long-term exposure may result in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central nervous system symptoms might occur due to pesticide exposure.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first, cumulative exposure index (CEI) was estimated. Neurologic symptoms (Q-16 questionnaire) for 541 farmers (exposed to pesticides) were compared with 119 non-exposed persons in spraying season nine rural areas in Korea. Results: The pesticides poisoning rates for last 3 months were 67.2% for orchard farmers, 55.3%for dry field farmers, and 20.5% for husbandry farmers,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Compared with non-exposure group, exposure groups (especially, orchard farmer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neurologic symptoms and had a higher overall neurological symptoms score (p<0.001). Factors related to the positive neurological symptoms (answers "yes" to six or more of Q-16 questionnaire) adjusted for age, sex, education level,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were type of farming (OR 3.08, 95% CI 1.50-6.30 in orchard farmers vs non-exposure group), CEI (OR 2.75, 95% CI 1.12-6.78 in Q3 vs Q1), past poisoning (OR 1.97, 95% CI 1.21-3.20 vs normal), current mild poisoning (OR 3.03, 9500 CI 1.47-6.22 vs normal) and current moderate poisoning (OR 6.34, 95% CI 3.03-13.25 vs normal),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exposure to pesticides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subtle chang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PDF

작업환경을 위한 TLV의 근거 - PENTABORANE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256
    • /
    • pp.14-17
    • /
    • 2009
  • Pentaborane의 직업적 노출기준 TLV-TWA는 0.005 ppm(0.013 mg/m$^3$)으로 TLV-STEL은 0.015 ppm(0.039 mg/m$^3$)으로 권고하였다. 이 수준은 중추신경장애, 무감각, 운동장애, 근육 떨림 그리고 경련의 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TLV-STEL은 동물 독성실험에서 보고된 부정확한 노출농도에 대한 안전을 부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권고하였다. 피부노출, SEN, 발알성 여부에 대한 노출 권고치는 충분한 데이터가 없어 현재 설정되지 않고 있다.

  • PDF

Modification of Insect Sodium Currents by a Pyrethroid Permethrin and Positive Cooperativity with Scorpion Toxins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퍼메트린이 Heliothis virescens 중추신경세포에 있는 나트륨채널에 작용하는 기작을 전기생리학적으로 연구)

  • Lee, Daewoo;Adams, Michael E.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1 no.1
    • /
    • pp.117-128
    • /
    • 2022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pyrethroid actions on sodium channels in the pest insect Heliothis virescens. The synthetic pyrethroid permethrin increased steady-state sodium current in H. virescens central neurons and prolonged tail currents (INa-tail) due to extreme slowing of sodium channel deactivation. Prolongation of INa-tail was evident at permethrin concentrations as low as 60 nM, which modified ~1.7% of sodium channels and 10 μM permethrin modified about 30% of channels. The average time constant (τ1) of tail current decay was ~335 ms for permethrin-modified channels. These modified channels activated at more negative potentials and showed slower activation kinetics, and failed to inactivate. Permethrin modification of sodium channels was dramatically potentiated by the α scorpion toxin LqhαIT, showing positive cooperativity between two binding sites. The amplitude of the tail current induced by 0.3 μM permethrin was enhanced ~8-fold by LqhαIT (200 pM). Positive cooperativity was also observed between permethrin and the insect-specific scorpion toxin AaIT as 10 nM permethrin potentiated the shift of voltage dependence caused by AaIT (~2-f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