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점지원분야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의 특징)

  • Kim, Jinhee;Na, Jiyeon;Song, Ji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4
    • /
    • pp.565-5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science classes of Science Core Schools (SCSs) perceived by students. 654 students from 14 SCSs were surveyed with two open-ended questions on the features of science classes. The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NetMiner 4.5, in terms of the centrality (of betweenness and of degree) analysis and the commun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science classes of SCSs were perceived by students to be of the environment of free questioning,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aring teacher, more science experiments and advanced contents, and knowledge sharing; (2) science classes in SCSs were perceive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ordinary high schools because SCSs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science-related special courses (like project work, advanced science subjec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quiry and research activities, school supports, hard-working classroom environment, longer studying hours, R&E and club activitie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SCS science classes appear to b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lessons from previous studies. The SCS project itself and the features of SCS science classes would help us to see how we introduce educational innovations into actual schools.

극저온 냉동 시스템의 기본원리

  • 이금배;백일현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5
    • /
    • pp.460-469
    • /
    • 1990
  • 극저온 냉동기술은 최첨단 산업에서 여러 방면에 걸쳐 실용화되고 있으며 상업화도 많이 되고 있다. 또한 앞으로의 응용범위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기 때문에 미래에 첨단 및 우주시대를 맞 이하여 국가주도 아래 적극적으로 육성 발전시키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본 내 용은 1989년에 과학기술처의 지원 하에 수행한 중점과제인 극한기술 분야 중 극저온 기술분야에 속하는 특정과제 "SQUID 냉각장치용 극저온 시스템 개발연구"의 일부분이다.t;의 일부분이다.

  • PDF

식품산업육성정책

  • 김영찬
    • Food Industry
    • /
    • s.179
    • /
    • pp.10-73
    • /
    • 2004
  •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은 2002년도에 약 36조3천8백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여, 국내총생산(GDP)의 $5.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총생산액의 $20.3\%$를 차지하여 국내제조업의 견인차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제조업별 부가가치 순위는 전자, 화학, 자동차산업에 이어 4위를 점하고 있으며, 고용유발계수도 평균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식품산업은 모든 소비재 중 생존을 위해 없어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식품산업은 약 18,000업소가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종업원 10인 이하 사업장이 $78.1\%$를 차지하며, 상위 47개 사업장이 식품산업 총 매출액의 $52\%$를 점유하고 있는 영세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측면에서 보면 그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중심의 행정에 치우쳐 산업진흥을 위한 특별한 지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품산업의 구조적 영세성은 식품산업이 갖는 경제적 측면 이외에 특별한 위치 즉, 국민보건분야에 있어서의 중대성과 함께 산업으로서의 발전을 위한 국가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다. 이와 함께 식품산업은 BT분야에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고, 성공확률이 높아 국가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배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장에서는 식품산업의 생산$\cdot$수출입현황, 식품산업의 경제적 위치를 분석하여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국내외 식품산업지원정책의 파악을 위하여 식품안전관련 법령의 소개와 산업지원을 위한 산자부 등 관련부처의 지원정책을 제시하였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가의 바이오 기능식품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BT 지원정책을 소개하였다. 이와함께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의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미국, 유럽, 일본의 식품산업의 중점 연구개발동향을 소개하였다. 상기의 식품산업분석, 지원정책, 외국의 BT지원 사례 등을 참조하여 우리 식품산업의 환경분석과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전망을 분석하였다. 식품산업 정책의 개선방향으로서 제도의 개선, 위해평가 수행체계의 도입, 식품유통의 효율화 기반조성 및 지원, 산업지원을 위한 추진정책, BT산업으로서 식품산업의 진흥책 강구 등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activation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River field (하천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 추진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Kim, Sinae;Park,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2-12
    • /
    • 2020
  • 우리나라는 2000년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 후 ODA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으며, 2018년 ODA 예산 규모는 약 3조 482억원으로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 중 총액 기준 15위 규모로 성장했다.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GNI) 대비 ODA 비율은 0.15%(2018년)로,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GNI 대비 0.3%까지 ODA 예산규모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하천·수자원 관련 국제개발협력 사업은 2007년 '라오스 메콩강변 종합관리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40건의 사업이 시행되었다. 시행된 사업중 90%(36건)가 중점협력국가(2016-2020)와의 협력사업이었으며, 24개의 중점협력국 중 물관리가 중점협력분야로 들어가 있는 국가는 17개국이나 그 중 8개국에서만 국제개발협력사업이 시행되었다. 라오스, 인도네시아, 캄보디아가 각각 6건, 필리핀 5건 등으로 일부 국가에 편중되어 국제개발협력사업이 추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동안 하천·수자원 분야 국제협력사업이 전담기관 없이, 일부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의 각각의 네트워크와 노하우에 의존하여 발굴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을 추진하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이 각자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업의 발굴부터 시행까지 추진함에 따라 사업추진에 따른 네트워크가 지속되지 않고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고, 해당 국가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업이 선정되는 것이 아닌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의 특성에 맞게 발굴된 사업이 선정되어 왔다. 국제개발협력사업 발굴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상대국가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해당 국가에 어떤 하천 및 수자원 관련 문제가 있는지 파악해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업을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업제안서를 수원국이 자체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이 사업제안서를 작성해주고 수원국에서 검토하는 방식으로 사업제안서를 작성해야하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하천분야 국제 협력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관리 및 정기적인 하천사업 수요조사 및 구원국의 사업제안서 작성 지원을 위한 전담기관을 선정하여 국제협력사업 추진을 위탁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노하우의 누적을 통한 해외사업의 발굴 및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관련단체-고등기술연구원

  • Korean association for escos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46
    • /
    • pp.64-65
    • /
    • 2007
  • 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에서는 10년이상 축적된 기반기술과 연구 설비를 환경 및 에너지 분야의 다양한 플랜트에 적용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창출물 목표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석탄과 중질잔사유 등 다양한 원료의 가스화와 액화기술 개발 및 열분해/가스화 용융기술의 광범위한 적용을 통하여 생활/산업 폐기물을 환경에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공정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또한 플랜트의 설계/건설/시운전까지 종합한 turn-key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차세대에너지원인 수소제조를 위한 고온 수전해 전극개발 및 지구온난화 가스를 저감하는 촉매와 공정기술계발, 환경에너지 분야에 대한중소기업 기술지원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고온고압의 석탄가스화 연구로부터 축적된 가스화용융에 대한 기반기술을 하수슬러지 및 생활폐기물 처리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여,2003년 1뭘과 12월에 환경부 신기술을 각각 지정 받은 바 있다.

  • PDF

국방지휘통제체계 AI 적용을 위한 고찰

  • Kim, Yeong-Do;Gwon, Hyeok-Jin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24 no.1
    • /
    • pp.13-18
    • /
    • 2017
  • 국방지휘통제체계는 다양한 감시정찰 자산으로부터 수집된 많은 양의 정보를 융합하고 분석하여 지휘관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 중인 지휘 통제체계는 단순히 정보를 보여주고 유통하는 체계로 대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최적의 방책을 제공하는 등과 같은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지휘통제체계의 지능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을 지휘 통제체계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 전반의 변혁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주요 선진국들의 인공지능 관련 추진동향과 인공지능의 국방적용을 위한 군사적 활용의 필요성, 그리고 지휘통제체계의 적용을 위한 고려요인들에 중점을 두었다.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능화된 지휘통제체계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책 - 2018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시행 계획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8 no.3
    • /
    • pp.11-34
    • /
    • 2018
  • 국민의 생명 안전 중심의 미래지향적 원자력 방사선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2018년도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세부사업별 시행계획이 확정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시행계획에 들어가 있는11개 단위 사업 추진을 위해 원자력연구개발기금 1,278억원, 일반회계 및 지역발전특별회계 813억원 등 총2,09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년도 2,335억원, 10.5% 감소) 지원 분야는 크게 원자력 기술, 방사선 기술, 기초 기반 구축으로 나누어진다. 원자력 기술 분야는 원자력 안전 연구, 원전 해체 기술, 사용후핵연료 관리 기술 및 중소형 원자로 개발 등이며, 방사선 기술 분야는 방사선 기술 고도화를 통한 핵심 기술 개발, 대형 의료 산업용 방사선 시설 장비 구축 등에 방점을 찍고 있다. 그리고 기초 기반 구축 분야는 선진기술연구센터, 국제 협력, 인력 양성 등 연구 기반 확충에 역점을 두고 있다. 2018년도 중점 추진 방향과 사업별 세부 추진 계획은 다음과 같다.

  • PDF

A Study on the Promising Future Biotechnology (바이오 미래유망 연구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 Kam, Ju-Sik;Kim, Moo-Woong;Par, Sang-Dai;Hyun, Byung-Hwa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345-368
    • /
    • 2012
  • As science and technology are the core engines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to explore new promising technologies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a view to helping upgrade the country's overall competitiveness and promoting industrial development. The government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provide R&D support for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Even in South Korea, a study is being carried out to set up a model for forecasting future technologies and reinforcing the relevant survey system.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methods of identifying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in the bio-science sector, which has emerged as a new growth engine. It will use a text-mining technique to collect and analyze theses in the bio science sector. It will identify key research sectors by analyzing thesis contour lines, and then review promising future key research subjects through in-depth study.

  • PDF

국내 광학산업의 발전 방안 - "정부의 녹색성장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범국가적 역량 결집 필요" - 한국 광학산업의 현안과 광학기술 및 녹색성장 정책

  • Ju, Dae-Yeong
    • The Optical Journal
    • /
    • s.120
    • /
    • pp.51-53
    • /
    • 2009
  • 정부의 녹색기술 발전을 통한 녹색성장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범국가적 역량 결집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의 강점 및 유망분야를 중심으로 도출된 중점육성 기술에 대해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 투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R&D, 산업, 인력, 인프라 등 녹색성장을 위한 민관 및 관련 부처 유기적 체계적인 지원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 PDF

업체탐방 - (주)동성종합전기

  • Kim, Dong-Ji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0 no.5
    • /
    • pp.130-134
    • /
    • 2018
  • 전기(電氣)는 우리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삶의 일부가 되었다. 양계장에서는 여름철 휀가동 등 전기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전기 안전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전국의 양계장 전기시설은 물론, 유지보수에 중점을 두면서 농가에 필요한 히터기나 조광기를 공급해주고 있는 업체가 있어 찾아보았다. 전기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주)동성종합전기(대표 정장환)는 충남 천안에 본사를 두고있으며, 전국의 양계장에 전기시설 점검은 물론 정부 지원사업으로 히터기 등을 공급하면서 농장 수익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