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점지원분야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호주 유역통합물관리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 2004 호주 Catchment Modelling School -

  • 고익환
    • Water for future
    • /
    • v.37 no.2
    • /
    • pp.98-103
    • /
    • 2004
  • 유역 통합수자원관리를 지원하는 모델링 Toolkit을 소개하는 Catchment Modelling School04가 2004년 2월 9∼20일 호주 멜버른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이 workshop을 주관한 CRC(Cooperative Research Centre)는 한국의 21세기 프론티어 연구사업단(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기구로서 1991년도에 설립된 이래 공익을 위한 기술혁신과 상용화에 중점을 둔 범국가적 수자원 기술개발을 주도하여 왔다. 이 CRC는 호주 기상국, 무레이 다링 유역위원회 등의 연방정부기관과 빅토리아, 뉴우 사우스 웨일스, 퀸스랜드 등의 주정부, CSIRO Land and Water, 멜보른 대학, 모나쉬대학, 그리휘스 대학 등의 연구집단과 연계해서 초창기의 1단계 7개년 연구사업 기간('92∼'99) 동안 주로 소규모 수자원 환경 계측기술개발과 모형개발을 해 왔으며, 2단계 6개년('99∼2006)의 중반인 현재 유역단위의 대규모 모델링에 중점을 두어 8개 분야의 21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중략)

  • PDF

발명하는 사람들-제57호

  • Han, Mi-Yeong
    • The Inventors News
    • /
    • no.57
    • /
    • pp.1-16
    • /
    • 2007
  • 매니페스토 물결운동 동참/발행인 칼럼/일본 특허출원 "더 편리하고, 빨라진다"/지식재산 전문인력육성 추진기획단 발족/한반도 평화지도 여성이 그리자/꿈의 사업 시제품제작/구체적 이념 정책에 반영되도록 압력.감시/"한국형 매니페스토 정착시킬 것"/전국 5개도시 각 60시간 과정, 11월경 자격시험 거쳐 배출/"영재교육 붐 일고 있듯 발명창의교육도 붐 일 것"/"발명창의성 교육 중점 강의"/"자격증 따서 아이들 가르칠 거예요"/특허청 30주년 기념 엠블럼/특허청 대학 특허교육 지원 강화/특허서식, 민원인이 작성하기 쉽도록 개편/'미특허소송판례' 9월부터 온라인 무료서비스/서울대 등 주요대학 특허교육 확산/'2007 상표-디자인전' 8월2일 개최/역사 속의 발명품/하루 10분 발명교실/특허Q&A/국회 산자위 소속 김태년 의원/대학 중점 연구분야 특허지도 그린다/차세대 'IPTV' 특허출원 대폭 증가/아이디어 착상 및 발명기법/"지금은 여성발명가 시대"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도마크의 크론토질/화폐 위조방지 기술 특허출원 동향/여성발명기업 육성 방안 등 논의/협회 대구지역 모임 활발/특허청, 기술사업화 중매 선다/지역명성 상표권으로 재탄생/한국여성발명협회 회원사 발명품 가이드

  • PDF

스마트 안전감독 프로토타입 개발 사례

  • Du, Sang-U;Jeon, Sang-Gu;Lee, Seung-Min;Lee, Hyeon-Taek;Jeong, Hyeong-Hun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102-107
    • /
    • 2016
  • 시스템 기반 항공안전감독 기술 개발 분야 중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항공안전감독 업무 지원을 위해 추진되어온 스마트 안전감독 지원 시스템은 Prototype V1.0 운영을 통해 검점감독 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시스템 기능 및 요구사항 등을 수렴하였으며 Prototype V2.0에서 요구사항을 최대한 적용하여 기존 웹 환경에 익숙하게 구성되어 있던 UI/UX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맞춰 사용자 편의성을 최대화하고 현장 감독업무 효율성에 중점을 두어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그동안 추진되어온 스마트 안전감독 지원 시스템 Prototype V2.0 시연 및 활용 방안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4S Framework Structure for National LBS (국가 LBS 를 위한 4S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Min-Soo;Joo, In-Hak;Oh, By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7-80
    • /
    • 2001
  • 이동통신시장 및 IT 시장의 급성장, Mobile 인터넷 기술의 발전 그리고 4S 관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LBS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LBS 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4S 기술의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고, 특히 LBS 사업에 직간접 적으로 필요한 4S관련 기반구축연구 및 4S 핵심기술개발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4S 핵심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우선적으로 LBS 의 기반 기술이 되는 4S 핵심기술 및 상호연계 기술[3], 4S-Mobile 관련 기술 그리고 4S-VAN 관련 기술 개발 사항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4S 관련 기반구축연구분야에서는 LBS 산업을 활성화하고자 할 때 문제 될 수 있는 4S 및 LBS 관련 표준화 작업, 법 및 제도연구 그리고 감리지침 모델 도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4S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이 향후 LBS 와 4S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Developing a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Framework to Promote Creative and Transformative Basic Research (창의적·도전적 융합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초융합연구 지원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 Park, Kwisun;Shin, Suk Kyung;Song, Young Dong;Lee, Sung Jong;Lee, Eunkyu;Cha, Eun 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221-234
    • /
    • 2013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provides underpinning to boos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convergence research including research amalgamating Science and Engineering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vision of Electrical Engineering, Information Sciences and Convergence Research recategorized a scientific and engineering array of convergence research in basic sciences and reformed a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Framework in 2012. The test case was thoroughly analyzed and reviewed for successful application in the 2013 mid-career researcher program. The core of convergence research-specific review process is 'Suitability Review' that is performed by the 'Suitability Review Committee for Convergence Research' and 'Merit Review' that is conducted as a conventional peer review. As a good result of the pilot program, prior allocation of budget for convergence research was decided to the 2013 Core Research Program and the modified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Framework was extensively applied in the '2013 Implementation Plan for Basic Research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기획특집 - KEPRI (한전 전력연구원)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12
    • /
    • pp.54-61
    • /
    • 2011
  • R&D 분야정부경영평가 5년 연속 1위. 한전 전력연구원의 최근 성과이다. 이 같은 공인평가는 KEPRI의 위상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위한 창의적인 전력기술 개발과 현장 중심의 기술지원을 수행하고 있는 전력연구원은 지난 1961년 한국전력 전기시험소로 출범한 이후 1993년 대덕연구단지 입주, 1995년 7월 전력연구원으로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하면서 우리 전력산업 연구개발에 커다란 획을 긋는 다양한 실적들을 쏟아내고 있다. 산하에 4개 연구소(녹색성장연구소, 원자력발전연구소, 수화력발전연구소, 송배전연구소)와 2개 센터(엔지니어링센터, S/W센터), 2실(연구전략실, 연구지원실) 2팀(NRC-DC추진팀, 품질혁신팀)으로 조직되어 있는 전력연구원의 비전은 역시 최상위의 글로벌 연구원 등극이며, 전력기술의 새 지평을 열어 이를 실현하겠다는 각오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력IT, CCS, 스마트그리드 등 친환경 연구개발에 주력하면서 한전의 글로벌 엔지니어링 Company 달성의 주역임을 선언한 KEPRI의 열정적인 행보가 전력산업계의 주목을 새롭게 끌고 있다. 전력산업의 미래기술 확보와 성장 동력을 창출해 내고 있는 전력연구원의 핵심 조직과 중점 수행사업 등을 3회에 걸쳐 소개한다.

  • PDF

기획특집 - 전기에너지산업 현장(現場)을 가다 - KEPRI (한전 전력연구원)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11
    • /
    • pp.52-58
    • /
    • 2011
  • R&D분야 정부경영평가 5년 연속 1위. 한전 전력연구원의 최근 성과이다. 이 같은 공인평가는 KEPRI의 위상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위한 창의적인 전력기술 개발과 현장 중심의 기술지원을 수행하고 있는 전력연구원은 지난 1961년 한국전력 전기시험소로 출범한 이후 1993년 대덕연구단지 입주, 1995년 7월 전력연구원으로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하면서 우리 전력산업 연구개발에 커다란 획을 긋는 다양한 실적들을 쏟아내고 있다. 산하에 4개 연구소(녹색성장연구소, 원자력발전연구소, 수화력발전연구소, 송배전연구소) 와 2개 센터(엔지니어링센터, S/W센터), 2실(연구전략실, 연구지원실) 2팀(NRC-DC추진팀, 품질혁신팀)으로 조직되어 있는 전력연구원의 비전은 역시 최상위의 글로벌 연구원 등극이며, 전력기술의 새 지평을 열어 이를 실현하겠다는 각오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력IT, CCS, 스마트그리드 등 친환경 연구개발에 주력하면서 한전의 글로벌 엔지니어링 Company 달성의 주역임을 선언한 KEPRI의 열정적인 행보가 전력산업계의 주목을 새롭게 끌고 있다. 전력산업의 미래기술 확보와 성장동력을 창출해 내고 있는 전력연구원의 핵심 조직과 중점 수행사업 등을 3회에 걸쳐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a Software Product-Line Architecture Process (소프트웨어 제품계열 아키텍처 개발 프로세스)

  • O, Yeong-B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65-371
    • /
    • 2005
  • S/W 제품계열(S/W Product Line)은 공통의 유사한 기능을 지닌 S/W 제품 또는 S/W 시스템의 집합을 의미한다. S/W 제품 계열을 통해 특정 영역의 시장과 용도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 특정 S/W 제품 개발시 미리 구축된 S/W 아키텍처 등의 S/W 핵심 자산을 재사용하여 개발한다. S/W 제품계열 기반의 S/W 개발방식은 미리 구축된 S/W 핵심자산을 재사용함으로 처음부터 전체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식보다 쉽고, 빠르게 S/W를 생산할 수 있다. S/W 기술 선진국들은 S/W 제품계열을 S/W 생산기술의 핵심 분야로 선장하고 중점적으로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의 CMU/SEI는 산업체 및 국방성과 함께 제품계열 프레임워크 4.0 (Product-Line Framework 4.0)을 개발하였고 유럽은 ITEA(IT for European Advancement) 프로그램에서 제품계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S/W 개발의 생산성 향상 방안으로 제품계열 기반 S/W 생산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술 개발 투자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W 제품계열 생산을 위한 S/W 제품계열의 공통 아키텍처를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resource-constrained composite web service design

  • Min, Yeong-Bin;Kim, Dong-Soo;Kang, Suk-H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46-551
    • /
    • 2008
  • 기업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기업들은 최종 제품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효율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또한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기업 구조를 재편하고, 핵심 역량 이외의 부분은 아웃소싱을 맡기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다양한 파트너들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공유하고, 결합 관계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성을 일찍 깨닫고 많은 기업들이 프로세스 혁신 작업을 수행하였다. 몇몇 기업은 주목할만한 큰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한 체 많은 비용만 소모한 기업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일들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디자인을 위한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방법은 프로세스 디자인을 시각화하고,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 분석 도구의 기능에 편중되어 있으며, 여전히 프로세스의 실제 디자인을 지원하는 형식적인 모델링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모델링의 응용 분야로 기업 어플리케이션 통합으로 각광받고 있는 웹 서비스를 선택, 웹 서비스로 이루어진 프로세스의 최적화된 디자인을 지원하는 수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세계 종합발효산업의 메카 대상

  • 한금수
    • Food Industry
    • /
    • s.171
    • /
    • pp.92-98
    • /
    • 2003
  • ''인간의 존엄과 자존을 중시하고, 고객의 만족과 가치를 중시하며, 가족의 행복과 사회에 공헌한다''라는 경영이념 하에서 대상㈜ 중앙연구소는 심화되어 가는 기술경쟁시대에서 발효와 소재 및 전분,당을 기반으로 3대 중점 연구개발 분야를 선정하여 국제 경쟁력 우위의 기술로 육성하고자 1980년 기술연구소를 시작으로 확대 개편을 통해 현재의 경기도 이천으로 95년 이전 했다. 연구기관으로는 식품연구소와 중앙연구소가 있는데 전자는 식품을 가공 처리하여 일반소비자가 소비하는 제품에 관한 연구를 하고 후자는 식품가공회사에서 사용되는 소재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규모는 대지 $33,919\;m^2$, 건평 $12,347\;m^2$인 지하1층, 지상 3층 건물로 구성되었고 본고에서는 중앙연구소의 조직과 연구업무에 관해 기술하고자 한다. 조직은 바이오연구실, 소재연구실, 전분당연구실 3개실과 연구지원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80여명의 전문연구원들이 지난 50여년간 축적해 온 발효공학기술을 기반으로 발효 미생물의 게노믹스(Genomics) 연구와 이를 응용하기 위한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전통식품의 선진과학화에 전념하고 있다. 또한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되는 생플라스틱 소재, 기능성 전분 및 당류, 고부가가치 아미노산 유도체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제 각 실에서 추진중인 주요 연구개발 분야에 대해서 알아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