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점지원분야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of the Focused Supporting Industries for the Maximization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중소기업 기술혁신 극대화를 위한 중점지원분야 선정방안 연구)

  • Yoo, Hyoung Sun;Kim, Ji Hui;Jun, Seung-Pyo;Seo, Jinny;Yoo, Jae Yo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1
    • /
    • pp.41-62
    • /
    • 2013
  • In order to facilitate the R&D of SMEs and foster innovative SMEs,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is funding the SMEs in the focused supporting industries which are selected by a primary consideration of the political conformity. The correlations among the distribution of engaged SMEs, the distribution of SMEs which applied the fund, and the distribution of SMEs funded in the industries are analysed, in order to re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top-down method for selecting the focused supporting industries. As a result, there was a large deviation of both the number of the engaged SMEs and the number of the applied SMEs in the each industry, which means that the selected industries did not accurately reflect the needs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SM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he applied SMEs was strongly depend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engaged SMEs, which shows the trend that SMEs are trying to make R&D plans in their current industry rather than following the political drive. Moreover, because the distribution of the funded SMEs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at of the applied SMEs, one could know that the selected industries were neither fostered strategically nor evenly but the fund was distributed simply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applied SMEs.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op-down method, the bottom-up method which primarily consider the needs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SMEs was suggested. It is desirable to consider in the order of the needs and the capabilities of SMEs, the technological perspective and marketability of the industry, and the political importance in the bottom-up metho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could be flexibly used in the planning of the various programs.

  • PDF

2015년도 미래창조과학부 ICT/융합SW 분야 신규과제 기획방향

  • Jeon, Yeong-Py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
    • /
    • pp.21-23
    • /
    • 2014
  • 본고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 ICT R&D 사업 중 융합SW 분야 중점 추진 방향과 개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본다. 융합SW 분야 R&D는 응용SW, 응용플랫폼, 인공지능응용SW, 인터넷SW 등 4개 중점분야에 대해 국가 정책 전략 중심의 선도원천 기술개발 지원 사업과 기업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화를 추진하는 GCS(Global Creative Software) 지원사업으로 추진된다.

미국의 합동타격전투기(JSF) 개발현황(2)

  • Im, Jong-C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218
    • /
    • pp.64-75
    • /
    • 1997
  • JSF의 기술완성 노력은 예산 범위내에서 낮은 기술 리스크로 기술 및 제작발전단계에 진입하고, 종국적으로 JSF의 생산단계에 진입토록 할 수 있는 기술을 찾아내서 완성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기술완성 노력에서 일차적으로 중점을 두는 분야는 예산 가용성, 지원성, 생존성, 치명성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기술 분야이다. 기술완성 노력은 비행시스템, 추진 기관등 기술분야를 커버하는 7개의 통합 생산팀에 의해 관리된다

  • PDF

상반기 에너지정책 실적현황 - 에너지 저소비형 구조산업 전환에 역점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s.80
    • /
    • pp.62-64
    • /
    • 2000
  • 정부는 연말까지 대체에너지 보급목표 1.1${\%}$를 달성키 위해 중점기술분야에의 집중투자와 확보된 기술의 보급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에너지 기술개발 10개년 계획의 실효성있는 수정보완을 통해 기술분류체계 개선 등 전략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며, 기술의 중요성과 파급효과가 큰 중심기술 분야와 단기실용화가 가능한 일반 추진분야로 분류할 계획이다.

  • PDF

육계분야 농업 ${\cdot}$ 농촌 종합대책 세부추진 계획(안)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50 no.44 s.110
    • /
    • pp.92-97
    • /
    • 2004
  • 농림부에서는 FTA 및 DDA등 개방확대와 관련하여 농업 ${\cdot}$ 농촌의 대응력을 키우기 위해 119조가 투입될 '농업 ${\cdot}$ 농촌 종합대책'에 각 품목별 업계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육계분야는 계열화 사업을 중심으로 산업육성을 꾀한다는 기본 방침 아래 브랜드 육성 등을 중점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농림부에서 지난 6월 축산분야 농업 ${\cdot}$ 농촌 종합대책 추진계획(안)을 발표함에 따라 단체별로 각 분야별 정책 제시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태다. 본회도 브랜드 육성 및 계열화 사업체 지원등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 농림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육계분야의 주요추진 대책(안)에 대해 알아보자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Inventory Construction Technology Using Open Data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인벤토리 구축 기술 개발)

  • Choi, Soo Young;Kim, Jin Man;CHoung, Y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3-39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재난 재해 정보와 시설물 정보, 공간정보 등이 융합된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산정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셋은 파일데이터와 오픈 API, 표준데이터와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파일데이터는 22,306건, 오픈 API는 2,505건, 표준데이터는 58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민, 기업 등 수요 중심으로 개방의 효과성과 시급성 등이 높은 41개 분야의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다양한 사례와 가공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활용사례를 통하여 공유하고 있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하여 국가중점데이터와 데이터카테고리의 국토관리, 재난안전, 산업고용, 공공행정 등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검토하여, SOC 시설물과 건축물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물의 중요도와 위험도, 피해액 평가 등 필요 목적에 맞게 최적화 하여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다양한 정보와 시설물 평가 모듈간의 원활한 데이터 수급을 위한 연계 모듈과 관리 모듈을 개발하여 구축된 데이터 정보를 표준화하여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 통합 인벤토리는 재난대응 의사결정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재업무 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2015년도 정보통신 민간 표준화 추진 방향

  • Wi, Gyu-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
    • /
    • pp.53-61
    • /
    • 2014
  • 2015년도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표준의 보급 확산 활성화, 사실 표준화 기구에 대한 대응 활동강화, 국민 편익형 표준화의 본격추진, 중소기업에 대한 표준 지원활동 강화를 주요 목표로 삼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전략으로는 표준의 경제적 효과 분석, 국민 편익/생활 밀착형 표준화 본격추진, 기 제정된 TTA 표준의 Use Case 세부 조사 분석, 사실표준화기구에 대한 대응체계구축, 중점 표준화 분야와 적합성/인증연계, 표준보급활동 강화를 위한 맞춤형 표준설명회 개최 및 표준해설서 개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ICT 표준화 사이버 지원센터 운영 등의 전략을 수립하였다.

Investigating the Classification and Ordering of Global Partnership Countries for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Cluster Analysis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 중점 협력국 유형화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군집분석)

  • Lee, Young-Mi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1 no.1
    • /
    • pp.117-123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ority partner countries for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using the cluster analysis. The partner countries were prioritized for finance supports and knowledge sharing. We had also redesigned the TVET assistance process as well as reflected the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for TVET. Especially, by redesigning the methodological support process, we also increased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VE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research method, potential 24 priority partner countries have been designated by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ommittee and selection criteri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ies and banks. Then, we conducted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ree main variables: economic factor, labor market factor, education factor. In results, we clustered four and three types of the priority partner countries for TVET. In future, we suggested the new approach for selecting the priority partner countries in terms of employment and labor as well as non-designated partner countries, which will need to cooperate for TV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