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요도-성과도 분석

Search Result 16,24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Corridor Control Strategies of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in Seoul (신신호 시스템의 신호제어 전략 및 교통축 운영성과 분석연구 (영동대로와 도곡동 축을 중심으로))

  • 이영인;장근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93-207
    • /
    • 2002
  •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검지기 체계로부터 교통소통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분석, 처리하여 신호시간을 신호주기별로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신호제어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신호제어기능 또는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는 신호제어전략의 효율성 여부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신호 시스템의 기본 제어알고리즘과 개선된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관하고, 신신호시스템의 운영성과를 현장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신신호 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제어기능과 알고리즘을 토대로 비 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하여 신호제어전략을 수립하고, 이의 적용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운영성과는 시범지역의 남북 교통축(영동대로)과 동서 교통축(도곡동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동대로는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함에 따라 시스템 운영성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곡동길은 현재의 신호운영 전략과 검토대안이 비슷한 수준의 운영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범 운영지역의 교통축은 1개의 중요 교차로와 5-6개의 비 중요 교차로로 구성된다. 영동대로의 운영성과 분석결과, 교통축의 운영효과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과 동시에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제어기능이 적절하게 연계 운영될 때 운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신호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의 개선과 동시에 비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의 개선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Institution of Information Transfer Based on BSC and the Analysis of Their Importance (BSC를 이용한 학술정보 유통기관의 성과지표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Kwak, Seung-Jin;Choi, Jae-Hwang;Kim, Hwa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1 no.4
    • /
    • pp.273-2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develop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distribution of scholarly information based on BSC an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against the specialists. From the case studies on performance indicators both at home and abroad four viewpoints(information resource, information service, user, and economy)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core success factors(CSF)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were extracted from the viewpoints. Four viewpoints are composed of 12 CSF items and 31 KPI items. In order to analyze the weight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questions were thrown to the specialists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he method of analysi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dopt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user viewpoint, information service viewpoint, information resource viewpoint and economic viewpoint are in the order of their importanc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Research Libraries (전문도서관의 서비스품질 측정과 중요도-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Min, Yoonkyung;Jeong, Dong 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0 no.1
    • /
    • pp.209-23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sers' perceived importance for service attributes and performance in research libraries, and further to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research libra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library users of 14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e questionnaire for this research was developed from the standard LibQUA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users' satisfaction, and the gap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user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es, the priority of service improvement strategies of research libraries were suggested.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isk Assessment Factors for Workers Participation in Construction Experts (건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근로자 참여형 위험성 평가 요인의 중요도 분석)

  • Lee, Mu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3-104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중대재해 처벌법 시행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근로자 참여형 위험성 평가를 위한 중요한 평가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근로자 참여형 위험성 평가를 위한 관련 선행연구 및 위험성 평가 지침과 같은 관련 선행 문헌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위험성 평가 전문가들의 대안을 통해 위험성 평가에서 중요한 상위 개층 요인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위험성 평가에 대한 중요한 요인을 계층화 대안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안전관리자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해 계층분석(Analytical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 참여형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이행력 관리 수단 및 위험 조치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termimative Factors with the Performance Evalution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노인복지시설 성과평가의 결정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Lee,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337-344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의 성과평가에 미치는 우선순위 결정요인을 파악한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노인 복지시설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설정하였다. Saaty의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활용하여 각각의 결정요인들에 대한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노인복지는 특정한 분야로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적인 방법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질적 및 양적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계층분석과정방법과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노인복지시설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투입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예산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산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는 운영체계화와 노인복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항목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는 결산서와 전문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설유형별 투입요인은 이용시설과 생활시설 모두 예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출요인은 이용시설은 운영체계화, 생활시설은 노인복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복지시설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따른 몇 가지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PDF

Research Method of CRM Effectiveness Measure Factors on Hotel Enterprise (호텔기업의 CRM 운용성과 측정요인의 분석 방법)

  • Oh,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319-322
    • /
    • 2007
  • 일반적 통계분석 중 요인분석은 서로 상관있는 변수들만을 그룹화하고, 상관도가 낮은 요인은 또 다른 그룹으로 묶는 결과를 도출한다. 그러나 요인분석은 요인의 분류 외에는 주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호텔기업의 CRM 운용성과 분석을 위해서도 요인의 중요도 분석이 중요하다. 따라서 AHP 분석기법을 연계하여 호텔기업의 CRM 운용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요인 분석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Analysis of Potential Flood Damage and Damage Priority Using Flood Hazard Map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권역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홍수피해잠재성 및 피해 우선순위 분석)

  • Kim, Ji-Sung;Oh, Kuk Ryul;Lee, Jae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5-375
    • /
    • 2020
  • 우리나라는 현재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 산정방법은 잠재성요소(인구, 자산, 사회기반시설, 도시화율)와 위험성요소(홍수피해액, 확률강우량, 외수방어능력, 댐 및 저수지, 내수방어능력)로 산정 후 지역평가를 통해 그룹(A,B,C,D)별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홍수피해잠재능(PFD) 산정인자가 많아 자료조사 및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며, 인자별 다양한 공간적 범위로 인해 실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구역 단위 평가로 인해 하천의 침투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하천 주변의 중요도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요도 분석 인자 단순화를 통해 자료 조사 및 구축 시간 단축과 더블어 위험성요소를 내포하는 홍수위험지도 사용을 통해 작업을 간소화하고, 하천 주변까지 고려하여 중요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권역을 대상으로 홍수위험지도 및 중요도 분석 인자(인구, 자산(공시지가), 시회기반시설(도로,철도), 도시화율(시가화지역)) 공간정보를 구축하였고, 점수할당법에 의한 인자별 중요도 분석 및 상관성 분석을 통해 피해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자산(공시지가) 인자가 높은 구역이 대체로 사회기반시설 연장 및 도시화 면적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천의 치수단위 구역별 중요도 분석시 인구·자산(공시지가) 두가지의 인자로도 치수안전도 결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Judgement and Improvement of R&D Overlap Analysis during National R&D Pre-feasibility Study : Analysis based on Survey Response of Pre-feasibility Studying Team (예비타당성조사 R&D 중복성 검토의 판단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조사 담당자의 설문 응답 기반 분석)

  • Park,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35-546
    • /
    • 2017
  • 국가 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시 R&D 중복성에 대한 검토는 중복된 투자를 방지하여 재정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타당성조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중복성 검토에 대한 중요요인, 개선사항, 판단기준, 판단주체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을 진행하였고, 외부 전문가 그룹의 인식차이와 비교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해 중복성 검토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중복성 판단기준,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검색 알고리즘'으로 확인되었고, 3가지 요인에 대한 개선이 중복성 검토를 개선하는데 가장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들이 중복성 검토결과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여 요인들의 유의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타당성 조사 시 R&D 중복성에 대한 검토가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개선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시사점이 제시된다.

  • PDF

A Vulnerability Analysis for Armored Fighting Vehicle based on SES/MB Framework using Importance of Component (구성 부품의 중요도를 활용한 SES/MB 프레임워크 기반 전차 취약성 분석)

  • Kim, Hun-Ki;Hwang, Hun-Gyu;Lee, Jang-S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4 no.4
    • /
    • pp.59-6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ology of vulnerability analysis for armored fighting vehicle based on modeling and simulation. The SES/MB framework serves hierarchical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for a complex systems and is easy to conduct modeling for the armored fighting vehicle which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When the armored fighting vehicle is hit by the shots from threat, the vulnerability of the armored fighting vehicle is decreased by damaged or penetrated level of armors and components. The penetration is determined by the result of comparing a penetration energy through penetration analysis equation and defence ability of armor and components. And the defence ability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ype and defined property of normal component and armor component, all components have a weighted values for the degree of importance. We developed a simulation program for verification proposed methodology. Thus, the program analyzes vulnerability for armored fighting vehicle SES/MB framework using importance.

The Study of BSC Balanced Scorecard of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의 BSC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 Nam, Young-Joon;Lee, Soo-Young;Chang, Bo-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2
    • /
    • pp.277-294
    • /
    • 2008
  • This study has proposed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development of BSC of school library; this study has thus analyzed the forerunners of similar research on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hierarchial process analysis of the balanced scorecard, librarians and experts of related fields were polled using the AHP method. Some of the major categories for the balanced scorecard(36 categories total) are disposition of librarians, development of user-demand reflecting system, user education, adequacy of faculty-education aid accommodation, location of library,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