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앙제어 센서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Electro-Magnetic Ball-Balancing Application using PID Controller (PID 제어기를 이용한 자기부상식 볼 밸런서)

  • Park, Taejin;Song, Ji-Young;Kang,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19-120
    • /
    • 2015
  • 본 논문은 학생 캡스톤디자인 작품제작의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MCU와 적외선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공의 수평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양단 전자석의 강도를 조절하여 공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볼 밸런서의 구현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탁구공의 위치를 적외선 거리센서로 측정하고 MCU에 PID 제어기 기반의 자동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전자석의 강도를 PWM 제어함으로써 탁구공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한다.

  • PDF

Mechanical Ball-Balancing Application using PID Controller (PID 제어기를 이용한 기계식 볼 밸런서)

  • Park, Taejin;Lee, Sang-Ah;Kim,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1-122
    • /
    • 2015
  • 본 논문은 학생 캡스톤디자인 작품제작의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MCU와 적외선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공의 수평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양단 서보모터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볼 밸런서의 구현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탁구공의 위치를 적외선 거리센서로 측정하고 MCU에 PID 제어기 기반의 자동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DC서보모터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탁구공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한다.

  • PDF

Autonomous Indoor Lighting Device Control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자율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 Islam, Tahidul;Koo, In-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4
    • /
    • pp.31-38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nomous Indoor lighting control system in which indoor lighting devices are autonomously controlled such that electricity bills are minimized in our daily life. Our focus is to utilize Passive Infrared (PIR) sensors to detect the presence of human being indoor and automatically to control indoor lighting electric devices. A control algorithm is also devised to control the whole system. We justify the proposed system by demonstrating specific applications in our everyday life. Cost survey and experimental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ystem in real life.

Adaptive offset decision of current sensor (적응형 전류센서 offset 보정량 검출)

  • Lee, Yoon-Hyung;Han, Sang-Wh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438-440
    • /
    • 2012
  • 본 논문은 EPS ECU 에 사용되고 있는 전류센서의 offset 결정에 대해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센서의 offset 은 EPS 시스템에서 모터의 토크리플을 야기하기 하므로, 토크리플을 줄이기 위해 offset 을 보정하여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EPS ECU 에 대해 offset 보정 방법은 ECU 생산시 센서의 offset 값을 측정하여 EEPROM 에 기록하고, 모터 제어시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ECU 생산의 cycle time 을 늘릴 뿐만 아니라, 센서 및 주변 회로의 노후로 인해 MCU 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offset 값의 변화에 대해 대응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언급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은 ECU 생산시 offset 을 EEPROM 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ECU 가 ON 때마다 센싱값을 정확하게 취득하여 offset 값을 선정하고 '강인한 오차 기준' 함수를 사용하여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The Scheme of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the Zigbee (지그비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기법)

  • Kim, Dong-Hyun;Cho, Dae-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1
    • /
    • pp.2361-2366
    • /
    • 2009
  • Usually, it is possible for human administrator to control the facilities manually or automatically using sensors in order to manage the fixed electricity facilit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status data of those facilities in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lectrici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to collect the status of facilities using the Zigbee networks. the proposed system exploits th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motion, heat, optical, etc, to measure the states of the facilities.

Distributed IoT Sensor based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 (분산 IoT센서 기반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

  • Jeong, Daejin;Kim, Jaeyoon;Bae, Sangjung;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
    • /
    • pp.90-96
    • /
    • 2019
  • Storage cabinet in a lab in these days measures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real-time with IoT sensors. Preexisting system collects sensor data, analyze a risk and then command other equipment. Such centralized control system tends to have an issue with of speed slowing down. It's because when there are more storage cabinets, there are more data to proces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this report addresses decentralized IoT sensor based lab safety control system. It can analyze internal state of storage cabinet to identify any hazardous situations and effectively control them. Such decentralized control system using sensor modules for internal environment of the cabinet storage and automated control algorithm based on administrator's log history can manage any hazardous situations by automated control of environment factors of inside a lab. It would allow users to deal with a hazard if it happens. Even better, it can prevent it to happen from the beginning.

Design of Central Control System based on Fuzzy-Logic in USN (USN에서 퍼지 로직 기반 중앙 통제시스템의 설계)

  • Oh, Sun-J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4 no.6
    • /
    • pp.183-188
    • /
    • 2014
  •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mobile computing and sensor technologies, various application techniques related to USN converged with other 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disseminated recently. Most of these applications are aimed at the proper control and system monitoring using context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various sensors. But it is not easy to control and monitor the system precisely and flexibly since data generated by sensors are huge and variet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fuzzy-logic based central control system in USN to provide the flexibility and preciseness with sensed data.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by a simulation study in terms of consumed electric power on the test bed of USN based streetlight control system.

Energy-aware Congestion Control in WSNs based on Bird Flocking Behavior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잔량을 고려한 새 떼의 행동양식 기반 혼잡제어)

  • Jung, Soon-gyo;Yeoum, Sanggil;Kim, Dongsoo;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77-178
    • /
    • 2014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혼잡제어 방식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방식과는 다르게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다. 문제 해결에 사용할수 있는 자원이 한정적이며, 중앙에서 혼잡 제어를 할 경우 지나친 통신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Swarm Intelligence)의 일종인 새 떼의 행동양식을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한 혼잡제어 기법을 살펴보고, 기존 기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논문을 통해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새 떼의 간단한 행동양식을 적용함으로써 강인하고 확장 가능하며 자가 적응이 가능한 혼잡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집단지성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 과제의 해결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Seismic Response Control of Structures Using Decentralized Response-Dependent MR Dampers (분산제어식 응답의존형 MR 감쇠기를 이용한 구조물의 지진응답제어)

  • Youn, Kyung-Jo;Min, Kyung-Won;Lee, Sang-Hy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0 no.6
    • /
    • pp.761-767
    • /
    • 2007
  • In centralized control system, complicated control systems including sensors, power supply and dampers should be required to satisfy the target response of large-scale structures.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centralized control system, however, is very difficult due to high order finite element model of structures, uncertainty of models, and limitations of the excit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decentralized response-dependent MR damper of which magnetic field is automatically modulat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r velocity transferred to the damper without any sensing and computing systems. this decentralized response-dependent MR damper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anges of relative magnitude between the control force of MR damper and the story shear force of structures by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Finally, its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centralized LQR algorithm which is used in general centralized control theory for a three story building structure.

A design of Sensor Network Gateway using S3C4510B Processor (S3C4510B 프로세서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현)

  • Lee, Sang-Won;Kang, Jeong-Hoon;Yu, Jun-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c
    • /
    • pp.429-431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선 아날로그 제품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상당부분 디지털화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홈 서버나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전의 제어도 가능해 졌다. 미래 가정의 지능화에 대한 노력 또한 함께 진행되고 있다. 가정 내의 다양한 환경 및 상황 정보를 감지하여 가정환경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본적인 지능화 애플리케이션이다. 디지털화된 가정환경에 지능적인 요소를 부여하기 위해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가정을 지능화하려면 다양한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중앙 처리장치로 보낼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모듈과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 홈 네트워크 사용자를 위해 기존 홈 네트워크와도 호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경량화 하여 저가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