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앙관리

Search Result 1,92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Water Governance and Basic Water Law (물거버넌스와 물관리기본법)

  • Lee, Seung-Ho;Kim,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85-38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물거버넌스 개념과 1997년, 2006년 물관리기본법안 분석을 통해 한국의 새로운 물관리 체제를 모색하는 것이다. 물거버넌스는 물관리정책과 계획의 수립, 시행, 평가에 있어 정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 시민, 환경단체, 전문가 등 여러 이해당사자를 참여시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거버넌스란 기존의 정부 주도의 정책 계획, 수립, 시행이 아닌 비정부 조직과의 타협, 협의, 논의를 통한 양방향 정책결정 과정을 뜻한다. 따라서 물거버넌스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정책결정의 복수화 과정이다. 한국의 물거버넌스를 시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요건은 이해당사자 참여를 우선 중앙, 지방정부에서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법, 제도 등을 통해 제도화하는 것이다. 환경부 주도로 입안된 1997년 물관리기본법안은 물관리일원화, 적정사용, 유역관리, 비용부담, 균형배분의 5원칙을, 2006년 물관리기본법안은 물관리일원화 대신 통합물관리, 적정사용 대신 수요관리를 삽입하여 5원칙을 제시하였지만 이해당사자 참여는 원칙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해당사자 참여 원칙의 제도화가 없이는 위의 두 법안이 제시한 원칙의 적용과 시행이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다른 원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합의 없이는 시행이 쉽지 않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물의 균형배분 원칙 관련, 만약 상류와 하류 주민 간의 합의가 없이 어느 한 이해당사자의 일방적 행위가 있을 경우 큰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물거버넌스을 실행하기 위해 중앙에 필요한 조직은 물이용 관련 물분쟁 발생 시 이를 조정하고 국가물관리계획을 수립하며 물관리 문제 전반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1997년, 2006년 기본법안은 국가물관리위원회 설치를 제시하였고 2006년 기본법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위상, 운영, 역할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하지만 국가물관리위원회는 물관련 중앙부처의 장, 지방행정조직의 장만을 포함하여 유역관리를 책임질 유역관리조직의 장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물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유역관리 시행이 바람직하기에 유역관리조직의 장도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기본법안 모두 국무총리실 산하에 위원회를 속하게 하였는데 이를 수정하여 대통령 직속기구로 규정하는 것이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정치, 행정, 재정적 압력에서 벗어나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펼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또한 지방의 물문제를 물관리계획에 적절히 반영하고 대응방안을 수립,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부 관료뿐만 아니라 지방의회 의원, 환경단체, 기업, 시민,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유역위원회가 필수적이다. 또한 유역 관련 물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유역관리청도 필요하다. 유역위원회와 유역관리청은 유역 내 여러 이해당사자들이 물관리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하며 합의점에 이르는 거버넌스를 수립할 수 있는 중요한 조직이다. 두 기본법안은 유역관리 원칙을 제시하긴 하였지만 유역관리 시행 관련 조직, 역할, 운영 등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한국의 물관리는 소득, 문화 수준 향상으로 인한 양질의 물공급에 대한 요구, 시민사회의 발전, 지방분권화 등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합의에 바탕을 둔 물거버넌스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물관리기본법을 하루 속히 제정하여 제도적 기반을 갖춰 보다 효율적인 물관리시스템을 수립해야 한다.

  • PD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 Kang, Soon-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8 no.2
    • /
    • pp.39-60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A Proposition distributed vulnerability management solution using DApp system (DApp을 활용한 취약점 분산 관리 솔루션 제안)

  • Jo, Min-Ju;Lim, Jae-Won;Kim, B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2-185
    • /
    • 2019
  • 최근 다양한 보안 사고들이 발생함에 따라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분야를 가리지 않고 일어나는 보안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개발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 중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일종인 이더리움(Ethereum)의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DApp) 시스템이 이슈화되었다. DApp을 이용하여 개발된 취약점 분산 관리 솔루션은 DApp의 기능과 장점을 포함한다. 취약점 분산관리 솔루션은 현 시대의 데이터 관리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제시되며 필요성을 드러낸다. 또한, 기존의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벗어나 솔루션의 이점을 활용하여 사용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사물인터넷 플랫폼 연구

  • Choi, Jongseok;Park, Jong-gyu;Kim, Myeong-kil;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27 no.6
    • /
    • pp.5-14
    • /
    • 2017
  • 사물인터넷은 응용서비스,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4계층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인터넷의 전체적인 구조도를 보면, 다양한 디바이스가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센싱 빅데이터를 전송하고,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에 정형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구조는 수백만개의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관리하여 플랫폼에 높은 트래픽과 계산부하가 야기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이로 인해 해당 플랫폼과 연동된 모든 응용서비스의 가용성이 낮아지고 단일장애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의 원인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장애지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화 된 사물인터넷 플랫폼 대신에 탈중앙화 된 사물인터넷 구조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탈중앙화 된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의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더 나아가 블록체인기반의 탈중앙화 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통해서 기존의 4계층 사물인터넷 구조에서 3계층 사물인터넷 구조로 나아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Highly reliable distributed OT system security mechanism (고신뢰 분산 운영기술 시스템 보안 메커니즘)

  • Jung-Hyun Moon;Il-Gu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471-474
    • /
    • 2024
  • 중앙 집중형 OT 시스템은 여러 센서와 장비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중앙 서버로 전송되며 처리된다. 이러한 중앙 집중 방식은 모니터링, 의사결정, 제어 등의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구조적으로 데이터 처리가 중앙 시스템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규모의 산업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과 활용 과정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가 존재한다. 그리고 중앙 집중 방식 시스템의 단일 장애 취약점에 의한 데이터 유출이나 시스템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신뢰 분산 OT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메커니즘은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강화하면서 99%의 위험상황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Identity-Based Secure Many-to-Many Multicast in Wireless Mesh Networks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아이디 기반 프록시 암호화를 이용한 안전한 다대다 멀티캐스트 기법)

  • Hur, Jun-Beom;Yoon, Hyun-Soo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7 no.1
    • /
    • pp.72-83
    • /
    • 2010
  • Group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esh network is complicated due to dynamic intermediate mesh points, access control for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administrative domains, and the absence of a centralized network controller. Especially, many-to-many multicasting in a dynamic mesh network can be modeled by a decentralized framework where several subgroup managers control their members independently and coordinate the inter-subgroup communi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topology-matching decentralized group key management scheme that allows service providers to update and deliver their group keys to valid members even if the members are located in other network domains. The group keys of multicast services are delivered in a distributed manner using the identity-based encryption scheme. Identity-based encryption facilitates the dynamic changes of the intermediate relaying nodes as well as the group members efficiently. The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scheme has the advantages of low rekeying cost and storage overhead for a member and a data relaying node in many-to-many multicast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is best suited to the settings of a large-scale dynamic mesh network where there is no central network controller and lots of service providers control the access to their group communications independently.

A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alysi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Collections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 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 Han, Sang-Wan;Kim, Sung-Soo;Suh, Hye-Ran;Yoon, Dai-Hyun;Kim, Hee-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 no.1
    • /
    • pp.67-9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nd suggest ideal environment for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collections. Current conditions of National library was also investigated, and many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technical resolutions but also reorganization of staffs and structure is needed. Moreover, for the realization of ideal preservation environment, mid-long 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 National Library was also provided.

Efficient Methods for the Distributed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효과적인 분산 방재자원 관리 방안)

  • Lee, Changyeol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7 no.4
    • /
    • pp.294-304
    • /
    • 2011
  •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consist of persons, equipments, goods, and facilities. Specially, equipments and goods are internally managed in the regional office, and may be leased to the inter-office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NDMS) managed the resources in the separated system. That is, one system is managed by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e other is managed by the centr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which receives the data from the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Because the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updates the resource information quarterly,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exact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model which makes to supply in timely the resource to the disaster using the managed resource with RFID technology. Firstly, we classified the resources based on the resource types for the easily search. After then, we defined ID and attributes information of the resources. From the information, we described the management model for the real time resource.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Focused on the Information Science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 정보학 영역을 중심으로 -)

  • Chang, Ro-Sa;Kim, You-Se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1
    • /
    • pp.87-100
    • /
    • 2009
  • Since the paradigm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as been shifted toward the digital records world,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related to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s creation,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age, has became increasingly significant. In the context, this article studies a research trend of information science in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ield. For the study, 99 concerned articles from five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8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article finds out several research trends in this field, including researchers' preferred research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