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에서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의 중심정맥관 감염에 대한 연구 (The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of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s in Medical ICU)

  • 정영주;고윤석;임채만;이재승;유미현;오연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홍상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89-396
    • /
    • 2005
  • 목 적 :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은 원내 감염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중심 정맥관 관련 감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 (CHSS) 사용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관련된 보고가 없었다. 본 연구는 non-coated catheter (NCC)와 CHSS의 중심 정맥관 관련 감염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간 서울아산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중심정맥관을 삽입하였던 446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NCC(n=187)과 CHSS (n=259)에서 중심정맥관과 환자의 특성, 중심정맥관 삽입 위치, 평균 삽입 일수, 집락화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의 빈도, 및 원인균 등에 대하여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NCC와 CHSS에서 환자군의 나이 ($62{\pm}16$, $63{\pm}15$; p=0.42) 세, 성비 (94:50, 141:69; p=0.9), 중환자실 재원일수 ($29{\pm}37$, $26{\pm}44$ ;p=0.42) 일, 인공 호흡기 사용 기간 ($17{\pm}22$, $15{\pm}19$; p=0.17) 일, 카테터 삽입 시 APACHE III 점수는 ($81{\pm}34$, $82{\pm}37$; p=0.61) 차이가 없었다. 2) 평균 카테터 삽입 기간은 NCC $11{\pm}8$ 일, CHSS $11{\pm}9$ 일 이었고(p=0.98), 총 카테터 일수는 NCC 2176일, CHSS 3035 일 이었다. NCC와 CHSS에서 카테터 감염 발생 환자는 각각 9명 (4.8%), 4명(1.5%) 으며, 1000 catheter-day당 감염 건수는 4.1건, 1.3건 이었다(p=0.04). 삽입 위치에서는 내경 정맥 삽입 시 CHSS에서 NCC 보다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이 감소하였다 (p=0.01). 3)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에서 동정된 균은 NCC에서 Stazfphylococcus aureus 3명, Candida species 3명,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명, Klebsiella 1명, 이었고 CHSS는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명, Candida species 2명, Proteus 1명 이었다. 결 론 :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NCC에 비해 CHSS에서 중심정맥관 감염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삽입 위치가 내경 정맥일 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Analysis of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amo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Single Center Study

  • Kim, Minhye;Choi, Sujin;Jung, Young Hwa;Choi, Chang Won;Shin, Myoung-jin;Kim, Eu Suk;Lee, Hyunju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33-143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을 확인하고, 이러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원인균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신생아중환자실 내 혈류감염 예방 및 치료 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결과: 5년의 연구 기간동안 총 45명의 환자에게서 53례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확인되었고, 18,622 카테터-일 동안 발생률은 1,000 카테터-일 당 2.85건이었다. 가장 흔한 중심정맥관 종류는 말초 혈관 삽입형 중심정맥관이었다. 총 57균주가 분리되었고, 이 중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7.9% (n=33), 36.8% (n=21), 5.3% (n=3)이었다. 가장 흔한 균은 Staphylococcus aureus (n=12, 21%) 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n=12, 21%)였고, 그 다음으로는 Klebsiella aerogenes (n=8, 14%)였다. 균혈증 평균 지속시간은 2일이었고, 19건에서는 3일 이상 균혈증이 지속되었다. 균혈증 발생으로부터 14일 이내에 사망한 사례는 총 6건(13.3%)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 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의 발생률과 원인균 분포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경험적 항생제 사용 지침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감염예방 지침 실행의 필요성 및 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실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번들적용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entral Line Insertion Bundle on the Adherence of Bundle and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the Operating Room)

  • 신은정;정재심;최상호;허인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57-263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the incidence of the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CLABSI) in a operating room (OR) is affected by bundle application on central line insertion (CLI) practice.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trial. The subjects were 83 patients before the bundle application on CLI and 70 patients after. Results: The compliance(%) of bundle on CLI of among those who observed all of the five items increased from 7.2% before the intervention to 72.9% after. By items, compliance with the maximal barrier precaution was 100% for the use of a mask and ca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ut increased from 73.5% before the intervention to 88.6% after for the hand hygiene, from 73.5% to 88.6% for the use of a sterile gown, and from 9.6% to 75.7% for the use of a sterile large drape covering the whole body. CLABSI did not happen on CLI either before o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bundle intervention. Conclusion: Bundle application increased compliance with the use of a sterile gown and the use of a sterile large drape. However, its effect in the prevention of CLABSI was not clear probably due to the short period of intervention in a single hospital.

우리나라 일개 병원 암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합병증에 관한 후향적 조사 (Retrospective Analysis for Complications of the Central Venous Catheter in Patients with Cancer at a Single Center in Korea)

  • 김은정;김현정;김한조;김경하;김세형;이상철;배상병;김찬규;이남수;이규택;박성규;원종호;박희숙;홍대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24-31
    • /
    • 2010
  • 목적: 암환자에게 있어 중심 정맥관 삽입은 항암치료나 수혈, 비경구 영양공급 목적으로 흔히 시행된다. 중심정맥관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는 감염, 혈전, 물리적 합병증이 있는데, 이 연구는 합병증의 빈도와 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중심 정맥관을 삽입한 고형암과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경과기록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감염, 혈전, 물리적 합병증 각각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감염과 혈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과 그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삽입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는 log-rank test를 이용한 Kaplan-Meier 방법과 다변량 분석에는 Cox regression analysis 를 사용하였다. 결과: 310명의 암환자들에게 310개의 중심 정맥관 삽입이 시술되었고, 남자 157명, 여자 153명이었고, 혈액암 환자가 132명, 고형암 환자 178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2세였다(range: 15~82). 60예(19%)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나타났으며, 혈전을 가진 환자에서 감염이 더 빈번하게 일어났고(P=0.003), 암이나 삽입관의 종류, 수혈 및 비경구 영양 시행 여부와 합병증 발생과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 삽입관의 평균수명은 99일(range: 2~1,330)이었는데 삽입관의 수명은 터널식 삽입관(P=0.000)을 가진 경우에, 그리고 중심정맥관을 통해 수혈을 하지 않은 경우(P=0.030) 더 연장되었다. 결론: 중심 정맥관 삽입의 주요 합병증은 혈전과 감염이었다. 터널식 정맥관은 장기적인 사용에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중심정맥관을 통해 수혈을 받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중심 정맥관 장기 사용을 위해 혈전과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중심정맥관 번들이행에 따른 중심정맥관 균집락과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CHG테가덤과 일반테가덤 드레싱비교연구 (The Incidences of Catheter Colonization and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According to Tegaderm vs. Chlorhexidine Gluconate (CHG)-Tegaderm Dressing)

  • 김은지;이해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41-553
    • /
    • 2020
  • Purpose: In spite of the recent application of a general infection control method, central line-associated infections is still relatively high in Korea. Central line bundle with Chlorhexidine gluconate (CHG) tegaderm dressing wa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catheter colonization and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CLABSI).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cidences of catheter colonization occurrence and CLABSI while using Tegaderm vs. CHG Tegaderm dressings. Methods: We used a descriptive design. 400 patients who had central venous catheters were selected from four hospitals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Of all subjects, 200 used Tegaderm™ (Tegaderm group), and the remaining 200 used CHG Tegaderm (CHG Tegaderm group) dressing at the catheter insertion sit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χ2 test or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Results: In the Tegaderm and CHG Tegaderm groups, CLABSI incidences were 5.89 and 1.79 per 1,000 catheter-days, catheter colonization incidences were 3.93 and 1.43 per 1,000 catheter-days, and central line bundle compliance rates were 26.0% and 49.0%, respectively. Catheter colonization risk factors were 'reinsertion after failure' and 'Tegaderm dressing' at the central line insertion site. CLABSI risk factors were 'incomplete performance of 7 central line bundle items' and 'Tegaderm dressing' at the central line insertion site. Conclusion: A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entral line bundle with CHG Tegaderm dressing, avoiding central line reinsertion after failure, and improving the bundle compliance in reducing catheter colonization and CLABSI.

중심정맥관 삽입시 최대멸균 차단법이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률과 비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 on the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and Cost)

  • 임정혜;김남초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3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 on the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and subsequent cost saving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462 hospitalized patients with central venous, catheter of more than 48 hours duration.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2008 to February 2009 at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treatment or the usual care group. Patients in the treatment group (n=209) were treated by staff using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and the comparison group(n=253) received traditional care. Results: Central venous catheter-days was2,821 in treatment group and 3,515 in comparison group. The incidence density of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was 2.1 times higher in the comparison group (8.2 per 1,000 catheter-days) compared with the treatment group (3.9 per 1,000 catheter-days). The incidence density of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was 4.54 times higher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3.2 per 1,000 catheter-days) compared with the treatment group (0.7 per 1,000 catheter-days). The attributable cost of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in the treatment group was 10,174,197 won and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was 22,224,554 won. Attributable cost by area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parisons. Conclusion: The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 during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rate and provides a significant cost savings.

최대한의 멸균 차단법의 이행도와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에 대한 단문문자메시지 중재 효과 (Effects of a Short Message Service Intervention on Adherence to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and Catheter-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s)

  • 강문희;김동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4-25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hort message service intervention on adherence to maximal barrier precautions (MBP) and catheter-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September, 2008, at an 826-bed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Daeje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4 physicians who were inserting central catheters and 133 patients (control group 78 and intervention group 55) with central catheter insertions. The researcher sent the message (adherence to MBP and optimal recommendations) to each internal medicine doctor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 cellular phones. Messages were sent monthly for 3 months.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t-test using SPSS 12.0 windows program. Result: Adherence to maximal barrier precau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44.9% to 69.1% (p=.006) after the SMS intervention. But changes in the rate of CRBSI (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1.89) and the control group (4.45) were not significant (p=.323).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MS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dherence to maximal barrier precautions and the SMS intervention can be recommended for utilization in infection control nursing practice.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한 유산균 제제에 포함된 균주에 의한 침습성 감염증의 후향적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Associated with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Children)

  • 고준영;서유리;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3호
    • /
    • pp.168-177
    • /
    • 2017
  • 목적: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유산균 제제 내 포함 균주(Lactobacillus spp. 및 Saccharomyces spp.)에 의한 침습적 감염증의 임상 경과를 기술하고 중증 감염증 발생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서 18세 이하의 소아청소년 환아에게서 발생한 Lactobacillus spp. 및 Saccharomyces spp.에 의한 침습적 감염증의 의무기록과 2001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원내에서 처방된 유산균 제제 처방량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24명의 침습적 감염이 발생하였다(Lactobacillus spp. 16예 및 Saccharomyces spp. 8예). 유산균 제제의 처방량은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침습적 감염증의 발생률도 증가하였다($R^2=0.70$). 환아들의 중간 연령은 1.8세(범위, 2개월-17세)이었고, 1명을 제외한 환아에서 기저질환을 동반하였다. 30일 사망률은 20.8% (5/24)였으며, 중증 감염증은 11예(45.8%)에서 발생하였다. 어린 연령의 환아이거나(P=0.02), 선천 심질환이 있는 경우(P=0.01) 또는 침습적 감염증 발생 전 중환자실 재실 중이었거나(odds ratio [OR], 3.0; 95% confidence interval [CI], 1.5-6.1), 중심정맥관을 가지고 있던 경우(OR, 2.2; 95% CI, 1.2-4.3)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증 감염으로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 소아에서의 유산균 제제 내 균주에 의한 감염증은 흔하게 발생하지는 않지만, 유산균 제제의 사용량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어린 환아 및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중환자실 치료 또는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환아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유산균 제제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포도알균 감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과 위험 요인 조사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staphylococcal infec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정민국;최정호;장진근;정성훈;배종우;차성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287-1295
    • /
    • 2006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포도알균 감염이 증가하고 있어서 감염시 사망률과 유병율이 높기 때문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포도알균 감염의 임상적인 특징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최근 늘어가고 있는 Methicilline 저항성 포도알균과 관련하여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한일병원과 경희의 대부속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세균 배양 검사상 포도알균에 양성을 보인 환아 2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을 후 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포도알균을 MRSA, MSSA, S.epidermidis, S.epidermidis 외 CNS로 나누어 감염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여러요인과 발생빈도에 있어서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포도알균에 양성을 보인 240명의 환아중 MRSA는 88명, MSSA는 41명, S.epidermidis는 63명, S.epidermidis 외 CNS는 48명이었다. 결 과 : 5년동안 신생아실에 입원한 3,593명 중에 배양검사를 시행한 환아수는 7,481명이었으며 배양검사상 양성 환아수는 2000년도에 23명, 2001년도에 109명, 2002년도에 53명, 2003년도에 35명, 2004년도에 20명이었다. 포도알균 감염의 위험요인은 제태연령 37주 미만, 5분 아프가 점수가 7점 미만, 입원후 총정맥영양 시행, 입원후 인공호흡기의 사용, 제대정맥관 또는 제대동맥관 삽입, 입원후 비강 또는 구강용 영양튜브의 사용 등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에 있어서는 모두 vancomycin에 감수성이 100%였으며 teicoplan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hloramphenicol, clindamycin에 감수성이 높았으며 gentamycin과 erythromycin에는 감수성이 낮았다. 결 론 : 포도알균 감염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산전 관리 등을 통해 미숙아 출생을 낮춰야 하며 신생아실에 입원하는 환아에게 총정맥영양의 시행, 인공호흡기 사용, 중심정맥도관의 삽입, 비강 또는 구강용 영양튜브의 사용을 최소한도로 해야 하겠으며 최근 신생아실에서 증가하고 있는 methicillin 저항성 포도알균에 대해서는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MRSA 감염으로 인한 유병률과 사망률을 낮출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단일기관에서 소아암 환자에서 화학요법 중 발생한 균혈증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emia in Children with Cancer)

  • 장미선;성기웅;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201-206
    • /
    • 2011
  • 목 적 : 본 연구는 균혈증이 발생한 소아암 환자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소아암 환자에서 발생한 균혈증 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총 141예의 양성 혈액 배양 검사 중 오염균을 제외한 108명의 환자 128예의 혈액 배양 양성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람 양성균은 60예, 그람 음성균은 68예에서 동정되었고 균혈증의 원인은 21.1%에서 확인되었다. 중심정맥관 연관 균혈증은 9.4% (12/128예)에서 발생하 였고, 그람 양성균의 빈도가 75% (9/12회)로 관찰되었다. 쇼크가 10예(7.8%)에서 발생하였으며 그람 음성균의 빈도가 80% (8/10회)였다. 균이 음전된 후 30일 내에 균혈증이 재발한 환자가 2명 있었고 균혈증 관련 사망예는 없었다. 결 론 : 소아암 환자의 균혈증 치료에 있어서 알맞은 치료 지침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