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성미자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Event-related potentials reveal subliminal processing of beautiful images (미적자극의 의식하 처리와 사상관련전위)

  • Kim, Yeon-Gyu;;;;Lee,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1-144
    • /
    • 2009
  • 본 연구는 사상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의식하에 제시된 미적자극이 대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16명의 실험참가자에게 masking법를 이용해 미적자극을 의식하에 제시하였다(10msec). 제시된 자극은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Beautiful Images(미자극), Ugly Images(추자극), Neutral Images(중성자극)이였다. 사상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s)는 64채널의 뇌파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후두엽 (Oz) 및 좌측두엽 (T5)에서 미자극에 의해 나타난 ERPs초기성분인 P1, N1, P2, N2의 진폭이 중성자극에 의해 나타난 진폭보다 컸다. 그리고, 후두염에서 추자극에 의해 보여진 P2, N2의 진폭 및 Late Slow Wave(LSW)의 평균전위가 중성자극에 의해 보여진 것보다 컸다. 이와 같은 ERPs성분은 자극의 탐지, 패턴인지, 기억탐색, 표적선택 등과 같은 자극의 정보처리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의식하에 제시된 미적자극은 서로 다른 대뇌 활동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이는 인간은 의식하에서 미적자극에 대한 정보처리를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 PDF

해외 - NEWS&TOPICS

  • Lee, Ju-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5 s.444
    • /
    • pp.10-13
    • /
    • 2006
  • 몸에 좋은 지방 가진 돼지 개발/ 국제연구팀, 중성미자 질량 재확인/ NASA, 2009년 달 충돌실험/ 직립원인과 현생인류 중간의 두개골 발견/ 곤충의 美경제 기여, 年 570억 달러 이상/ 공룡 멸종 소행성 충돌시기 논란/ 깃털 진화이론 뒤집는 쥐라기 화석 발견/ 남극권 기온상승 타지역의 3배/ '딥 임팩트'로 드러나는 혜성의 비밀/ 물을 위로 흐르게 하는데 성공/ 뇌세포-컴퓨터칩 결합시킨 '뉴로칩' 개발

  • PDF

Breaking the cosmic degeneracy with the supercluster straightness

  • Shim, Junsup;Lee, Jounghun;Baldi, Marc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44.1-44.1
    • /
    • 2014
  • 최근 연구에서 발디 등은 우주론적 축퇴라는 이슈를 부각시켰다. 우주론적 축퇴는 실제 우주가 다수의 대안 우주론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가질 때 거대 구조를 이용한 기존의 통계적인 방법만으로 우주론을 단정적으로 구별해 내기 충분치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초은하단 스파인(spine)의 비크기(specific size)가 우주론적 축퇴를 완화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f(R) 중력과 무거운 중성미자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다체 수치실험의 헤일로들을 분석한 결과, f(R) 중력이 비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는 ${\sum}_im_{{\nu}_i}$의 값이 기존의 통계적인 방법들에서 얻은 값과 다름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z=0.3 이상의 높은 적색편이에서는 f(R) 중력과 ${\sum}_im_{{\nu}_i}$ 조합한 모든 우주에서의 초은하단 평균 비크기가 표준 우주론인 ${\Lambda}$ CDM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rXiv:1404.3639v1)

  • PDF

지상 단거리 중성미자 검출기를 이용한 원자로 모니터링 기술 연구

  • Han, Bo-Yeong;Seon, Gwang-Min;O, Yu-Min;Lee, Jae-Seung;Kim, Yeong-Deok;Park, Gang-Sun;Lee, Jeong-Yeon;Jeon, Eun-Ju;Park, Hyang-Gyu;Lee, Mu-Hyeon;Park, Hyeon-Seo;Kim, Hong-Ju;Lee, Ju-Yeong;Seo, Gyeong-Min;Ju, Gyeong-Gwang;Kim, Ba-Ro;Yeo, In-Seong;Kim, Si-Yeon;Go, Yeong-Ju;Kim, Hyeon-Su;Kim, Jin-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87-488
    • /
    • 2015
  • PDF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nigra Maxim. (흑오미자의 성분분석)

  • 현규환;김학진;신수철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3 no.1
    • /
    • pp.35-40
    • /
    • 2000
  • The results from the determination of contents of components in Schizandra nigra are as follows. The contents of malic acid and citric acid in Schizandra nigra was 38,691 and 3,330 ppm/dry weight 100g.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Schizandra nigra was 1.560%. The predominating phenolic acid was cinnamic acid, gentisic acid, coumalic acid, chlorogenic acid and ferulic acid. Contents of crude lipids in Schizandra nigra was 160.5mg/g. Most of fatty acid in lipids was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s a unsaturated fatty acid, and palmitic acid as a saturated fatty acid. In case of essential oils, The predominating components in Schizandra nigra was caryophyllene, calarene, cubebene, acoradiene and $\beta$-himachale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