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립대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1초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pproach for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rophic maxillary and mandibular ridges: A case report)

  • 이자연;최순영;이지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07-412
    • /
    • 2016
  •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를 지닌 환자에게 적절한 의치를 제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중립대 인상 기법을 이용한 의치의 제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립대 내에 인공 치아를 배열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함이다. 첫째, 치아가 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둘째, 의치에 저항하여 가해지는 근육 조직의 힘이 안정과 유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심한 잔존 치조제의 흡수를 보이는 78세 여자 환자로 오랜 기간 불안정한 상 하악 총의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의치의 안정과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립대 인상 기법을 통한 새로운 의치의 제작을 계획하였다. Modeling compound를 이용하여 중립대를 인기하였으며 치아 배열 후 external impression을 시행함으로써 정확한 연마면을 형성할 수 있었다. 완성된 상 하악 총의치는 보다 향상된 안정과 유지를 보였으며 환자 역시 새로 제작된 의치에 만족감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골 이단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활용한 상하악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pproach for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ho underwent mandibulotomy: A case report)

  • 신희도;이학영;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8-25
    • /
    • 2023
  • 본 증례는 65세 남환으로, 10년 전 편도암으로 하악골이단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활용한 상하악 총의치 수복 증례이다. 본 환자는 무치악 기간이 짧아 치초제의 흡수가 거의 없으며, 혀의 운동기능에도 이상이 없었지만, 수술 이후의 변화로 인해 하악의 후구치 삼각융기가 상악의 구상절흔보다 안쪽에 위치해 있으며 하악의 구치부 치조제는 상대적으로 설측으로 돌아간 구조를 보였다. 만약 통상적으로 해부학적 지표를 참고하여 치아를 배열한다면, 혀의 기능 공간을 침범하게 되며, 이는 의치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것이다. 이런 경우 중립대 개념을 적용한 의치의 제작은 좋은 참고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성 이장재를 사용하여 중립대를 인기하였으며, 이를 인덱스로 제작하여 치아배열을 시행하였다. 중립대의 가장 큰 장점은 의치의 안정을 얻는 것에 있다. 본 환자의 경우 하악 좌측 구치부가 혀 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구치 치아의 설측배열 한계를 얻기 위해 중립대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치조제의 흡수로 의치의 안정성을 얻기 어려운 난증례 환자의 경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다면 의치의 안정성 면에서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보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환자에서 중립대 인상을 통한 총의치 수복 증례 (The neutral zone approach for restoration of patient with severe mandibular ridge resorption: A case report)

  • 남궁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5
    • /
    • 2023
  • 심하게 위축된 하악 치조제의 경우, 총의치의 통상적인 기능인상 과정을 통해서는 의치의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중립대 인상기법을 사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중립 영역은 근육 신경계의 정상적인 구강 기능 동안 입 바깥쪽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안쪽으로 향하는 뺨과 입술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영역으로 정의됩니다. 중립 영역 인상을 통해 만들어진 총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치 부위에 적절한 혀 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공치아 주변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줄어들고 적절한 안면 지지대를 통해 미관이 개선됩니다.

해저관로의 대 변형 굽힘에 의한 소성 모멘트 추정 (Estimation of Plastic Bending Moment of Offshore Pipelines)

  • 이종현;최한석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5
    • /
    • 2002
  • 본 논문은 대 변형 굽힘에 의한 소성 모멘트의 계산시 ovality를 고려한 파이프의 중립축에 대한 모멘트에 관해 논한다. 기존의 계산방법에 의한 중립축에 대한 모멘트 계산결과와 새로운 방법에 의한 계산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파이프가 길이방향의 모멘트에 의하여 굽어질 때, 증가하는 모멘트에 따른 ovality 변화를 고려하여 중립축에 대한 모멘트 계산에 적용해 보았다. 모멘트 계산은 타원형의 파이프 단면을 미세한 단면으로 나누어서 각 단면에 대한 응력을 비선형 strain-stress 식을 이용하여 구한 다음 중립축에 대해 계산을 수행하였다. 대 변형 굽힘에서 일어나는 실제현상 중 하나인 ovality를 파이프의 계산에 적용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중립축에 대한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을 reel에 의한 해저배관의 설치 공법에서 사용되는 reverse bending radius 계산에 적용해 보았다.

  • PDF

치성 점액종 환자의 총의치 수복증례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s for a patient with odontogenic myxoma: A case report)

  • 정다운;김현희;배정윤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4-69
    • /
    • 2018
  • 치성점액종은 악골에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 치성 종양이다. 본 증례의 60대 무치악 남성은 전상악부에 발생한 연조직 종괴 제거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절제 생검 결과 치성 점액종으로 확진되었다. 외과적 제거 후 잔존한 가동조직의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고안된 투명 레진 트레이로 인상을 채득하였다. 악간관계기록 및 납의치 시적시에 중립대 영역을 설정하고 기능적 연마면 형태를 인기하여 총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치성 점액종 제거 후 가동조직과 중립대를 고려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총의치를 제작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보철물 제작 후 부정확한 발음을 가진 환자에서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을 통한 보철 수복 증례 (Prosthetic restoration of the patient with inaccurate pronunciation after prosthesis fabrication through systematic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dure: A case report)

  • 최유성;이성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13-422
    • /
    • 2016
  • 최근 들어 치아의 심미적 개선을 위해 전치부 심미 보철물을 제작하는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심미적인 요소에 치중하여 생물학적, 기계적 요소를 간과하기 쉽다. 이로 인해 중립대 공간 및 치열에 변화가 발생하고, 혀와 구순의 위치가 변화하고, 교합 및 전방유도 변화로 인해 부정확한 발음문제가 유발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증례에서는 10년 전 제작한 고정성 보철물로 인해 부정확한 발음 및 비심미성으로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음향학적 분석, 심미적 분석, 교합, 중립대 라는 4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을 통하여 보철물을 재수복하였고, 이에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도모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중립대 및 연마면 인상을 통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pproach and external impression for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rophic maxillary and mandibular ridges: a case report)

  • 조유진;고창우;박상원;윤귀덕;박찬;임현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324-330
    • /
    • 2018
  •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합의 형성뿐만 아니라 주변근육 조직과의 조화를 고려한 적절한 연마면의 형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중립대 인상 기법을 통해 기능하는 동안 혀, 볼, 입술에 대한 근신경계가 평형을 이루는 잠재적인 영역을 고려하여 인공치아를 배열하고, 연마면 형태가 동적인 근육의 해부학적 형태를 따르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의치의 안정과 유지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증례는 심한 잔존 치조제의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게 중립대 개념을 적용하여 기능과 심미적인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중립대 및 치조제 관계를 고려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nd alveolar relation consideration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 in a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 case report)

  • 김형준;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14-221
    • /
    • 2023
  •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심하게 진행된 환자에서 안정된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그 중 하나는 중립대(Neutral zone)로, 기능하는 동안 구강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밖에서 안으로 향하는 볼과 입술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잠재적인 영역으로 정의된다. 만약 치조제의 흡수가 심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잔존 치조제 상방에 치아를 배열한다면 치아는 기존 위치보다 설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혀의 기능공간을 침범하게 되어 혀가 후방으로 위치하게 되고, 설측 변연의 봉쇄가 깨져 의치를 탈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하악의 치조제를 잇는 치조정간선을 상정하고 저작력을 치조정간선에 일치시키도록 상·하악 인공치를 배열하는 것 또한 의치의 안정에 중요하다. 따라서 불량한 잔존 치조제를 지닌 환자에게 중립대 인상 및 치조제 관계 분석을 이용해 의치를 제작하여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