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학교 교사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6초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밀도에 관한 내용교수지식 수준과 그에 따른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 (The Level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CK on Den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ight Aspects of CoRe by the Level of PCK)

  • 곽상원;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28-13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밀도에 대한 내용 표상을 조사하여 각 교사의 밀도 수업과 관련된 내용교수지식 수준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판명되었다.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은 '학습자의 선개념에 대한 이해'를 제외한 7개의 구성 요소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그 차이를 구성 요소별로 분석하고, 그 특징을 추출하였다. 또한, 내용교수지식 수준이 중간인 교사들에게서 나타난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은 내용교수지식 수준이 높은 교사들 보다는 낮은 교사들과 대부분의 구성 요소에서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특별재난 일개 지역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among School Teachers in COVID- 19 Special Disaster Area)

  • 김은휘;하영선;박용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39-24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특별재난지역에 근무하는 중등학교 교사의 우울, 불안과 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5월 9일부터 16일까지 D시 중등학교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만족도(β=0.27, p=.002), 경제 수준(β=0.18, p=.022), 학력(β=0.18, p=.022), 주관적 건강상태(β=0.16, p=.047), 스트레스(β=-0.16, p=.044), 성별(β=0.16, p=.042)이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35%이었다(F=11.80, p<.001). 우울(β=-0.09, p=.468)과 불안(β=-0.12, p=.320)은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스트레스 관리뿐만 아니라 직무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와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351-368
    • /
    • 2024
  •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공지능을 수용하는 교사의 인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인공지능의 정의와 활용 태도, 수학 교수 도구, 수학 학습 도구, 수학 평가 도구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한 뒤, 초등 교사 161명과 중등 수학 교사 157명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수학 교수 및 학습의 도구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자신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또한 모든 문항에서 초등 교사가 중등 수학 교사보다 긍정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고, 중등 교사의 경우 중립적 인식에 가진 교사의 비율이 초등 교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교수학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 분석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Teaching Competency)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2
    • /
    • 200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에서 규명된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자료는 전국의 중ㆍ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지역과 학교 급별,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유층 표집 방법으로 1,104개교를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417개교로부터 접수된 설문조사 자료 616 부가 활용되었으며. 조사 도구는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각각 7단계,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가정과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 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기초로 교수 능력 향상에 필요한 교육 요구를 분석한 결과 7가지 영역 중 ‘지역 사회 및 다양한 인적 자원과의 연계 능력’, ‘학습 공간 및 학습 자료 구성 관리 능력’, ‘다양한 수업 전개 및 평가 능력’ 등 세 영역에서 교육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을 위한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가정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4.13)’보다 ‘현직 가정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전문화(4.50)’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았다. 가정과 교사들은 이들 두 가지 요구에 대하여 교직 경력과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PDF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 미국 초임 과학 중등교사 비교 연구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Teachers: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U.S. Beginning Science teachers)

  • 김경진;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3-26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에서의 초임 과학 교사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참여교사는 한국 수도권 지역과 미국 중서부지역에서의 초임 과학 중등교사 각각 네 명이다. 자료는 수업관찰 및 녹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업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수업관련 자료와 학생 활동 자료도 같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으로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추구하는 교사상과 평가, 시험대비와 같은 학교 맥락이었다. 또한 한국 초임 교사들에게는 과학교과서와 행정적인 업무와 같은 맥락적인 요인이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 반면, 미국 초임교사들은 교생실습에서의 멘터 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둘째, 참여교사들이 공통적으로 느낀 어려움이나 관심은 수업 관리와 교과 내용지식을 넓히는 것이었다. 셋째, 모든 참여교사들은 전문성 발달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추구하는 교사상이 현재와 미래의 교수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넷째, 미국 참여교사들은 교생실습 때의 멘터 교사에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 한국 참여교사들은 멘터 교사보다는 다른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재봉;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3-271
    • /
    • 2017
  •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자격종별로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과학교육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구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 특징과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추가되어야 할 교사 역량을 탐색하여, 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2015 개정 통합과학의 이해 직무 연수(A형), 통합과학 직무연수(B형), 통합과학 부전공 자격연수(C형) 등 3가지 유형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연수 프로그램 유형별로 교사 자격증별 대상자, 운영시간, 연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에 기초하여 현직 교사뿐만 아니라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안과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상의 유의점 및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초 . 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 양일호;김석민;조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5-241
    • /
    • 2007
  • 이 연구는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을 사용하여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실험수업의 유형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의 타당도는 4.23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100차시, 중등학교에서 30차시의 실험수업이 분석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실험수업들의 유형을 분석결과, 분석자간 일치도는 0.91이었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발견실험수업과 확인실험수업이 주요 수업 유형임이, 중등학교에서는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이 주요 수업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대부분 실험절차가 교사나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주어지고 있었다. 실험의 접근방식은 초등에서는 귀납적인 형태가 많았고, 중등에서는 연역적인 형태가 많았다.

교사의 교원성과급 등급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n the Effect of Incentive Gap of Teacher's Merit-pa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이재운;강경석
    • 한국교육논총
    • /
    • 제37권1호
    • /
    • pp.47-6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원성과급 등급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초 중등 교사 7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 수준은 3.44,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 수준은 3.99로 나타났다. 또한 배경 변인에서는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모두 부장교사, 21년 이상고경력교사, 한국교총 가입 교사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조직몰입은 상대적으로 중등학교 교사와 남교사의 인식 수준이, 조직시민행동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원성과급 등급에 따른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과급의 등급과 하위변인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S등급 교사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은 A등급 교사, B등급 교사의 순이었다. 셋째, 교원성과급 등급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원 성과급 등급은 조직몰입에 3.623-.218(A등급)-.392(B등급)만큼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시민 행동에 4.132-.166(A등급)-.279(B등급)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Measuring and Analy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s)

  • 문진수;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69-492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함수 영역에서 현직 중등 수학 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을 영역별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영역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에서 함수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 지역의 총 5개의 고등학교 현직 수학 교사 3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67.4점으로 나타났는데, Common Content Knowledge[CCK],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영역의 점수에 비해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 총점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SCK, KCS 그리고 KCT 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와 다르게 CCK와 나머지 영역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