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학교 교사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132초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or without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 지덕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 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중등과학교사들의 과학관과 학습관 (Secondary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and Learning)

  • 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4-24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직 중등학교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과학관과 학습관을 조사하였고 이 둘이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는가를 알아 보았다. 교사들은 1정 자격연수에 참여한 83명의 교사들이었는데, 평균 연령 28.7세, 평균 경력 4.0년이었으며, 근무하고 있는 지역과 학교가 다양하였다. 사용한 설문지는 권성기와 박승재(1995)가 사용하였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조사지'와 '구성주의 학습관 조사지'였다. 이 조사지들은 11등급 척도로 -5에서 5까지 표시하게 되어 있었는데, 자료의 분석은 t 검증과 ANOVA를 사용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중등 과학교사들은 상대주의, 연역주의, 도구주의, 과정주의적인 과학관과 구성주의적인 학습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들의 과학관과 학습관 간에는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 PDF

중등 과학 교사의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Needs for Education)

  • 차정호;김경은;강석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17-52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교사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 중 선호하는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전국 106개 중등 학교의 과학 교사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모든 교육 내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교육 요구를 보였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던 반면, 과학사 및 과학 철학 분야에 대한 요구가 가장 낮았다. 숙련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평가 문항 제작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비숙련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한 효과성 평가 방법이나 과학에 대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육 방법의 측면에서는 실험 활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 내용에 대하여 온라인 교육을 선호하였다.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측정도구 타당도 검증 (Verification on Validity of Teacher Efficacy Scale in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4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Tschannen-Moran(2000)이 개발한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를 중등학교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효능감 하위 요인들을 알아보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사 효능감 문항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규명하여 교사 효능감 문항들의 모형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교사 효능감의 요인들에 대한 심리 측정학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263명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효능감 요인의 신뢰도와 요인 구조를 검사하였다.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은 학급운영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학습지원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인구조로 나타난 문항들의 요인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교사 효능감의 5개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하위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지지되었다.

  • PDF

수학교사를 위한 보조자료인 러시아의 '교수학적 자료'에 대한 연구

  • 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45-36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에서 출판된 중등학교 수학교사용 보조자료인 교수학적 자료의 목적, 구조, 내용을 분석하여, 수학교사가 효율적인 수학 교수-학습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참고도서의 내용 및 구성에 관련된 다양한 관점을 도출하였으며, 러시아의 구체적인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교과서의 교사용지도서 체제나 내용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학교사용 참고도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모델의 활용 양상 분석: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 관련 수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Manners of Using Scientific Models in Secondary Earth Science Classrooms: With a Focus on Lessons in the Domains of Atmospheric and Oceanic Earth Sciences)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45-66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모델이 활용되는 양상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에 관련된 총 13개의 비디오 녹화 자료와 그것들의 전사본을 계량적인 방법과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3명의 현장 교사들과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서로 연관된 여섯 가지 주장들로 요약되었다. 즉, 1) 우리나라 중등학교의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 관련 수업에서는 평면적 그림 모델과 기호 모델, 모상 모델과 도해적 모델이 주로 활용된다. 2) 지구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은 모델을 교과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표상 형식으로서 활용한다. 3) 우리나라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은 이미 그 구조가 결정된 전형적인 모델을 집중적으로 활용한다. 4) 지구과학 수업에서 종종 학생들이 직접 모델을 다룰 때에는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모델을 가지고 유사한 절차에 따라 활동에 참여한다. 5) 지구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과학적 모델의 본성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학생들이 과학적 모델의 본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 또한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6) 교사들은 지구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모델을 활용하는 일의 가치가 교사의 교수법적인 의도에 비추어 판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을 활용한 과학 수업과 과학 교육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