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 동북지역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8초

중국 동북3성의 물류현황 및 시사점 (Logistics of the Dongbei Area in China)

  • 박병인;김창현;신승식;배종욱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7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동북3성지역의 물류현황과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해보고 관련 기업들에게 간략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중국 본토는 광대하여 지역마다 사정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중국의 물류현황을 각 지역별로 별도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인 동북지역도 면적이 한반도의 3배가 넘으며, 인구 또한 남북한을 합친 것보다 2배가 넘는 광활한 지역이다. 따라서 동북아의 물류허브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는 경쟁상대이며 우리의 주요 시장이 되는 중국에 대해 항상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동북3성 지역 중 랴오닝성을 중심으로 분석할 수밖에 없었다. 추후에는 랴오닝성 외에 지린성 및 헤이룽장성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중국산 밤나방과(나비목) 3 미기록 종과 동북지역 1 미기록 종에 관한 보고 (Three Species of the Noctuid Moths New to China, and a Newly Recorded Species from Northeast China (Lepidoptera, Noctuidae))

  • 한휘림;강준청;정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8
    • /
    • 2008
  • 본 연구를 통해 밤나방과의 Anorthoa angustipennis (Matsumura), Harutaeographa stenoptera (Staudinger), Cerastis pallescens (Butler) 등 3종은 중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며 Nikara castanea (Moore)는 처음으로 중국 동북지역에서 보고된다 새로이 보고되는 중국 미기록 3종과 동북지역 미기록 1종 성충을 대상으로 외부형태적 특징과 암수생식기 또는 분포를 간략한 기술과 함께 도해하였다.

동북아 산성비 문제와 환경협력

  • 신의순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7권1호
    • /
    • pp.119-150
    • /
    • 1997
  • 1990년 동북아 23개 지역의 이산화황 총배출량은 14.7백만톤이었다. 이중 중국동북부가 81%, 한국이 12%, 일본이 5%, 그리고 북한이 2%를 배출하였다. 기본시나리오하에서 동북아지역의 이산화황 배출은 2020년에 40.5백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에서 배출된 장거리 월경성 대기오염물질은 한반도와 일본으로 이동하며 특히 산성강우는 중국으로부터의 이산화황 배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산성강우는 자연생태계와 농작물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심각한 피해를 준다. 따라서 미래의 산성강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국뿐 아니라 인접국의 이산화황 및 질소산화물 배출도 함께 감소되어야 한다. 동북아지역 국가들은 경제발전단계 및 환경협력 논의에서의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내에 환경협력을 위한 다자간 협약을 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ESCAP, APEC 등 기존의 지역협력기구를 이용하거나 IBRD, ADB 등의 다자간 외부금융기관이나 공적개발원조 (ODA) 등을 통해 개선된 환경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고 지역환경개선을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성비와 관련한 동북아 환경협력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정치, 경제, 과학, 외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와 NGO도 포함하는 다차원적, 포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 PDF

동북아지역에서의 대기오염물질 장거리이동과 침적현상 연구현황 및 향후전망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the Long-range Transport and Deposition Process in Northeast Asia)

  • 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8-345
    • /
    • 1999
  • 동북아시아 지역은 최근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오염물질의 배출량도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다. 중국의 배출량이 동북아지역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출자료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그 중 아황산가스는 80%이상을 중국이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김용표, 1999). 강수나 에어로졸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도적인 물질인 황화합물은 대류권 하부에 주로 2일에서 1주일정도 체류하면서 보통 수백에서 수천 km까지 이동이 가능하다.(중략)

  • PDF

중국내 Perigrapha extincta(나비목: 밤나방과)의 최초 보고 (A New Record of Perigrapha extincta (Lepidoptera, Noctuidae) from China)

  • 주영천;한휘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89-91
    • /
    • 2010
  • 중국 동북지역의 밤나방과 Perigrapha 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총4종이 조사되었다. 이 중 Perigrapha extincta Kononenko, 1989는 중국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이다.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 수컷생식기의 도해를 포함해서 검색표, 재기재, 및 분포 등을 포함해서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중국 동북3성 기점 국제복합운송루트 개발과 발전 방안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ation Route from Northeast 3 Provinces in China)

  • 이충배;박선영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1-114
    • /
    • 2007
  •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추세는 물동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와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동북아 나아가 국제물류시장의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동북아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물류수요를 창출하는 원천이며, 이에 따라 글로벌 물류네트워크가 중국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중국의 동북3성(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은 중국의 동북부, 동북아 지역의 중심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국제무역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동북3성은 지리적 환경의 제약으로 물류환경이 열악한 상태이며, 중국 동북부에 위치한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은 항구가 없는 내륙지역으로 두 성은 대외거래화물의 대부분을 랴오닝의 다롄항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 성으로부터 다롄항까지는 거의 1,000km이상 되기 때문에 많은 운송시간과 비용이 들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극동지역에 위치한 자루비노항을 통한 새로운 국제운송모델은 내륙운송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시켜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 단계별 비용과 시간을 추정하여, 새로운 국제복합운송루트의 경쟁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자루비노항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국제복합운송의 구축은 동북3성의 화물에 경쟁력을 증가시켜 줄 것이며, 또한 우리나라는 극동러시아의 항만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게다가 부산항은 새로운 국제운송루트로부터의 증가하는 물동량의 이익을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사특집 - 동북아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와 타이어산업의 대응 전략

  • 이항구
    • 타이어
    • /
    • 통권247호
    • /
    • pp.10-19
    • /
    • 2011
  • 그 동안 세계 자동차산업의 중심이 빠른 속도로 동북아지역으로 이동해 왔다. 일본이 친환경 기술을 비롯한 자동차 첨단기술의 개발과 상용화를 주도해 왔고 중국이 높은 경제성장세를 바탕으로 세계 최대의 자동차 수요국이자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우리 자동차산업이 일본과 중국 사이에 낀 넛 크래커(Nut cracker) 형국에 빠지는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도 일었다. 그러나 중국 자동차산업의 고속 성장에 따른 임금상승과 취약한 부품산업 및 일본 지진사태로 인한 글로벌 부품 공급망의 위험이 노정되면서 동북아 자동차산업의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한중일 3국의 자동차산업과 타이어산업의 수급 현황 및 자동차산업정책 동향을 살펴본 후 국내 타이어업계의 대응 전략을 제시해 보기로 한다.

  • PDF

동북아시아 권역 형성과 이의 문제점

  • 홍시환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5년도 동북AISIA 지리학술국제토론회
    • /
    • pp.77-77
    • /
    • 1995
  • Ⅰ. 동북아시아권 형성의 배경 1. 동해바다를 통한 동북아시아의 권역 형성의 필요성은 19세기 후반에 벌써 본격화 시작 2. 최근 1990넌 이후부터 일본,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등 동해바다를 둘러싸고 있는 국가들의 경제문화교류등에 관한 관심이 커져감 3. 동북아시아 지역에 해당하는 환동해권역은 모두가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미개발 지역이므로 앞으로 권역형성으로 개발이 요구되는 지역 4. 세계 각 지역은 각기 저마다의 경제권역을 조성하고 있는터임(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