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국 고전 원림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8)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4 s.384
    • /
    • pp.105-110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9)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5 s.385
    • /
    • pp.83-88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4)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79
    • /
    • pp.51-59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7)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100-104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완)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86
    • /
    • pp.74-79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3)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7 s.375
    • /
    • pp.61-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2)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74
    • /
    • pp.62-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Waterscape Formation Techniques of China's Suzhou Classical Garden Based on the Water Inlet and Outlet (수구(水口)를 중심으로 분석한 중국 소주고전원림(蘇州古典園林)의 수경관 연출기법)

  • RHO Jaehyun;LYU Yua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7 no.3
    • /
    • pp.116-137
    • /
    • 2024
  • This study quantitatively explor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ater features and surrounding waterscape elem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observational study targeting nine waterscapes of Suzhou Classical Garden in Jiangsu Province, China, which is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e purpose was to understand the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gardens and seek a basis for their differences from Korean gardens. The average area of water space in Suzhou gardens was 1,680.7㎡, which accounted for 21.3% of the total garden area, showing large variation by garden. Most of the Suzhou Gardens use springs and wells as their water sources. The Surging Waves Pavillion uses surface water, and Retreat & Reflection Garden uses seasonal water as its water source. The water pipes in Suzhou Garden are divided into a water outlet and a water outlet(water holes). Of these, the water outlet is a water outlet that imitates the water outlet just to induce a visual effect, and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water system. It is judged to have been combined with the trend of Suzhou garde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emantically, the arrangement of the water polo in Suzhou Garden is based on the traditional 'Gamyeo(堪輿) theory'. Meanwhile, there are five types of methods for bringing water to Suzhou Garden: Jiginbeop(直引法), Myeonggeobeop(明渠法), Invasionbeop(滲透法), Gwandobeop(管道法), and Chakjeongbeop(鑿井法). Suzhou Classical Garden mainly applies the infiltration method and the irrigation method as a method of securing water in the garden, which can be classified and defined as the water catchment method(集水法) and the water pulling method(引水法) in the domestic classification method. Among the watering techniques in Korean traditional gardens, watering methods such as 'suspension waterfall(懸瀑)', 'flying waterfall(飛瀑)' and water eluted(湧出), have not been found,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mainly 'rely on hide with dignity(姿逸)' and 'submerged current(潛流)' techniques. As for the watering technique, no watering technique was found that uses a Muneomi, which is applied in traditional Korean gardens. As this was applied, the seal method, penetration method, and Gwandobeop were also used in water extraction techniques. And at the inlet and outlet of Suzhou Garden, the main static water bodies were lakes, swamps, and dams. While the eastern water bodies are classified into streams, waterfalls, and springs, the water spaces in the three gardens reflect the centrifugal distributed arrangement, and the water spaces in the six places reflect the water landscape effect due to the centripetal concentrated arrangement. And as a water space landscape design technique, the techniques of 'Gyeok(隔)' and 'Pa(破)' were mainly applied at the inlet, and the techniques of 'Eom(隔)' and 'Pa(破)' were mainly applied at the outlet. For example, most bridges were built around the inlet, and sa(榭), heon(軒), gak(閣), pavilion(亭), and corridor(廊) were built, and the outlet was concealed with a stone wall. Therefore, it is understood to have embodied Suzhou Garden's idea of water(理水), which says, "Although it was created by humans, it is as if the sky is mine(雖由人作,宛自天開)."A trend was detected.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concealment and exposure in the visual composition of the inlet and outle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outlet was exposed only at the Eobijeong and Mountain Villa with Embracing Beauty view points of The Surging Waves Pavillion and the water outlet was hidden at other view points. Looking at these results, the 'Hyang-Hyang-Ba-Mi-Bob(向向發微法)' from the perspective of left-orientation theory of Feng Shui, which is applied in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classical Chinese garden water management, "makes water visible as it comes in, but invisible as it goes out." It is judged that the technique was barely matc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