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산 오리고기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일본의 오리산업 실태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50호
    • /
    • pp.62-67
    • /
    • 2007
  • 일본의 상시 오리사육수는 50만수에 불과하며 연간 250만수 정도가 생산되고 있으며, 오리고기 자급율은 17% 수준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로 중국에서 80% 이상을 수입하여 왔으나 중국산 수입금지 이후 태국, 대만, 프랑스 등에서 수입되었고 한국산은 2004년도 1.4%로 미미하였다. 또한 자체 수입량의 90% 이상이 냉동품으로 수입되고 있고 신선 또는 냉장은 극히 일부 수입되고 있으며 오리고기 이용은 우리나라에 비해 다양하다.

  • PDF

이달의 인터뷰 - 오리고기 원산지 거짓표시 신고, 소비자가 앞장선다! 양은선 감시원.김순이 감시원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98호
    • /
    • pp.94-97
    • /
    • 2011
  • 2010년 8월 오리고기 원산지 표시제가 제도화되어 시행중이다. 그러나 지난 연말 발생한 AI로 인해 오리고기 수급상황이 악화되면서 오리가격이 상승하였다. 그에 따라 중국산 훈제오리고기와 대만산 냉동오리의 수입량이 증가, 값싼 수입 오리고기를 재포장하여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거나 원산지 미표시 등 부정유통 사례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협회는 국내 오리산업을 스스로 지키자는 취지에서 지난 5월 25일, 오리고기 유통 감시단을 발족하고 오리고기 원산지표시제의 조기정착을 위해 부정 유통 신고센터 운영을 본격 가동하고 있다. 지난 5월 전임 유통감시원으로 위촉된 김순이 양은선씨는 소비자 시민모임 회원으로 오리고기의 주요 소비처인 서울, 경기를 집중적으로 홍보 감시하면서 오리고기 원산지 표시제의 유통거래질서 확립에 기여하고 있다. 오리고기 유통감시원은 오리고기 원산지 표시 점검 및 부정유통을 감시함으로써 불법유통을 차단하고 오리고기 원산지표시제 정착을 위해 노력함은 물론 판매점 출입 시 명예감시원증을 제시, 방문목적을 밝히고 감시원으로서 품위를 유지하는 임무를 갖고 활동하고 있다. 오리고기 부정유통 사례를 막는 이들의 활동은 소비자와 오리 사육 농가를 보호하고, 올바른 정보전달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오리고기 소비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촉매의 역할이다. 평소 자발적으로 소비자 시민모임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김순이 양은선씨를 본지에서 만나봤다.

  • PDF

KBS 1TV "과학카페" - 웰빙시대, 오리날다!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67호
    • /
    • pp.98-100
    • /
    • 2009
  • 중국 최고의 미식가인 서태후가 미용식으로 즐겼다는 오리, 그만큼 비만예방과 고혈압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다이어트 식품이라고 하는데...타 육류와 달리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필수지방산인 리놀산과 아라키돈산이 함유되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역할을 해 스태미너 식품으로 꼽히는 오리. 또, 오리고기에는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성분이 있어 유황을 먹인 오리는 해독복원의 으뜸으로 꼽힌다. 오리고기 속에 숨겨진 비밀을 알아본다.

  • PDF

제주도 청수공 시추코아에서 산출된 플라이스토세 포자·화분화석의 화분층서 및 고기후적 의미 (Palynostratigraphic and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the Pleistocene Cheongsu Core sediments, Jeju Island, Korea)

  • 문병찬;정철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82
    • /
    • 2005
  • 제주도 청수공에서 산출된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낙엽활엽수와 초본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풍부하게 산출되는 종류로는 소나무과, 오리나무속, 밤나무속/구실잣밤나무속,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명아주과 및 국화과 등이다. 전체적인 식생 조성에 근거하여 2개의 화분 분대를 설정하였다. 하부의 Zone I에서는 오리나무속, 명아주과 등이 우세하며 전반적으로 초본류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상부의 Zone II에서는 전나무속,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벼과 등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낙엽활엽수가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산출된다. 청수공의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그 조성에 있어 중국의 동지나해 대륙붕에서 설정된 Alnipollenites(Alnus)-Chenopodipollis(Chenopodiaceae)-Compositae 군집대와 잘 대비되며 그 지질시대는 Pleistocene으로 해석된다. 오늘날 식생분포와의 비교 및 우세종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청수공 코아는 한랭한 온대 기후 하에서 형성되었으며 당시의 제주도에는 오늘날의 한라산과 같은 지형적 기복은 아직 발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