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공미세구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6초

폐 Polystyrene을 이용한 중공 미세구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Hollow Microspheres Using Waste Polystyrene)

  • 권순영;우제완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205-2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 polystyrene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적의 정제조건을 확립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Polystyrene 중공 미세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회수된 PS를 이용하여 다중유화법($W_1/O/W_2$)에 의해 PS/PVA 두층을 갖는 중공 미세구를 얻을 수 있었다. 1단계 반응인 $W_1/O$ emulsion 생성 시 초음파처리는 입자 크기와 분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20초 처리하였을 때 평균입자크기 $1.35{\mu}m$, 입도분포 $0.8{\mu}m{\sim}2.8{\mu}m$인 고분자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W_2$상 계면활성제로 gelatin 또는 Tween 80을 사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도 작고 균일한 고분자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Porous한 물유리 기반 실리카 중공 미세구 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 농도의 영향 (Effect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Water Glass-based Porous Hollow Silica Microsphere)

  • 이지훈;김영훈;김태희;박형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9-8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ilicon alkoxide(tetraethyl orthosilicate, TEOS)에 비해 단가가 저렴하여 상업화에 유리한 물유리를 전구체로 사용하여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라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hollow silica microsphere, HSM)를 합성하였다.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형성에 대한 물성을 퓨리에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measurement), Brunauer-Emmett-Teller 및 Barrett-Joyner-Halenda 분석기와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를 적정량의 농도로 투입하여 porou s한 물유리 기반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경우 비표면적은 169 m2/g, 평균 입자 크기 25.3 ㎛ 및 표준편차는 6.25로 우수한 실리카 중공 미세구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농약 방출 조절제 소재로서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물성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llow Silica Microspheres for Controlled-release Pesticide Formulation)

  • 정병수;박용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9-324
    • /
    • 2004
  •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이용하여 방출 조절형 입제 농약을 제조합에 있어 실리카 중공 미세구 제조시 핵 제거 방법으로 열분해법을 사용하면 benfuracarb를 실리카 중공 미세구 중량의 2.67배까지 함침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방출 조절형 입제 농약을 수중 방출 실험한 결과, 점결제로 ESO를 사용하였을 때 일정한 benfuracarb 방출 속도를 유지하여 10일부터 용액 중의 benfuracarb의 농도를 1.65 ppm 정도를 30일까지 유지되었다.

PBAST/PVA 이중층 중공미세구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BAST/PVA Double Layered Hollow Microspheres)

  • 송명숙;우제완
    • 청정기술
    • /
    • 제14권4호
    • /
    • pp.256-2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가 가능하여 친환경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에스터 중에서 PBAST를 이용하여, 다중유화법($W_1/O/W_2$)에 의해 PBAST/PVA 두층을 갖는 중공미세구를 제조하였다. 최적의 이중층 중공미세구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은, 유기상에서 의 PBAST고분자의 농도 5 wt%, 내부 수용액 상에서의 PVA의 농도 5 wt%, $W_1/O$ emulsion과 외부 수용액상의 비율이 1:4.5이었고 계면활성제는 단일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HLB 값의 차이가 큰 보조계면활성제(co-surfactant)를 사용하는 경우였으며, 이때 PBAST/PVA 이중층중공미세구(double-layered microsphere)의 제조 수율은 30.92%, 미세구의 총괄밀도(bulk density)는 0.180 g/ml이며 입자크기는 $1.5{\sim}3\;{\mu}m$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저밀도 실리카 중공미세구 표면에 Co 박막의 코팅에 의한 경량 전파흡수체 제조 (Fabrication of Lightweight Microwave Absorbers with Co-coated Hollow Silica Microspheres)

  • 김선태;김성수;안준모;김근홍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5
    • /
    • 2005
  • 경량 전파흡수체 구현 방안의 하나로 저밀도(약 0.2g/cc) 중공미세구 표면에 수 ${\cal}um$ 두께의 Co 피막을 무전해 도금에 의해 코팅하고, 고주파 전자기 특성 및 전파흡수특성을 조사하였다. Co 도금은 활성화 처리와 도금공정 2단계 과정을 거쳐 시행되었다. 도금공정의 반복에 의해 두께 $2{\~}3\mu$m의 균일한 Co 피막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을 실리콘 고무와 혼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고, 고주파 전자기 물성 및 전파흡수특성을 회로망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Co 피막의 강자성 특성 및 전도 특성에 의해 높은 자기손실 및 유전상수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자기적 특성에 의해 GHz 대역에서 우수한 전파흡수특성(두께 2.0$\~$2.5mm, 전파흡수능 20dB 이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Co 도금 중공미세구의 밀도(0.84 g/cc)는 페라이트(5.0 g/cc)에 비해 약 1/6에 불과하기 때문에 경량 전파흡수체로서 응용가치가 매우 높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은도금 중공미세구를 이용한 경량 전파흡수체의 제조 (Fabrication of Light Weighted Microwave Absorbers Using Silver-Coated Hollow Microspheres)

  • 김욱중;김선태;김성수;권순길;안준모;김근홍;천창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11호
    • /
    • pp.941-946
    • /
    • 2001
  • Conductive microspheres with a density of 0.2 g/cc were fabricated by electroless silver plating for application to the light-weighted microwave absorbers. The silver plating was conducted with the variation of plating conditions (sensitizing condition, $AgNO_3$, concentration, amount of reducing agent). Specimens have very low electro-resistivity. Under an optimum processing condition, conductive microspheres with uniform silver plating layer can be produced. Rubber-sphere composites were fabricated and their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were measured by HP8722D Network Analyzer.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microsphere, the better the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Feasibility of microwave absorbers using this microspheres can be demonstrated with the result of microwave reflection loss of -15 dB and thickness of 1.44 mm.

  • PDF

MnO2 중공 미세구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nO2 Hollow Microspheres)

  • 문진희;박용성
    • 공업화학
    • /
    • 제17권6호
    • /
    • pp.648-652
    • /
    • 2006
  • $MnO_{2}$는 배터리, 촉매 및 capacitor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이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sacrificial core 법을 이용하여 $MnO_{2}$ 중공 미세구를 제조하였다. 이때 $MnO_{2}$ 나노입자는 manganese acetate의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험결과 물 0.2%, manganese acetate 0.65 mM, 촉매 0.02 mM를 실온에서 반응시켜 실험을 하였을 때 일정한 모양의 $MnO_{2}$ hollow microsphere를 제조할 수 있었다.

약물 담지 다공성 중공 실리카 미세구 주위 세포의 주화성 이동 (Chemotactic Cell Migration around Hollow Silica Beads Containing Chemotatic Reagent)

  • 김해춘;강미선;이석우
    • KSBB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44-350
    • /
    • 2010
  • This paper demonstrates a microfluidic chip incorporating patterned hollow silica beads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hemotaxis assay. The hollow silica bead has been exploited to develop a carrier for chemoattractant to induce cell migration. The microfluidic chip contains a patterned array of microfabricated docks which can hold only one bead per docking site. The hollow bead placed inside microfluidic chip releases chemotactic reagent (PDGF-BB) around its periphery in a controlled fashion which generates a signal for chemotatic migration of fibroblast cells. The number of cells migrated close to each bead has been assessed. On-chip cell migration assay showed a remarkable result proving the high efficiency and reliable accuracy in quantitative analysis. Therefore, the device could be extensively used in cell migration assay and other various studies related to cellular movements.

중공형 미세구를 이용한 마이크로셀룰라 지르코니아의 가공 특성 고찰 (Investigation on the Pore Properties of the Microcellular ZrO2 Ceramics Using Hollow Microsphere)

  • 이은정;송인혁;김해두;김영욱;배지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8-115
    • /
    • 2009
  • In this study, a novel-processing route for producing microcellular zirconia ceramics has been developed. The proposed strategy for making the microcellular zirconia ceramics involves hollow microsphere as a pore former which has extremely low density of $0.025\;g/cm^3$. Effects of hollow microsphere content and sintering temperature on microstructure, porosity, pore distribu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ing of microcellular zirconia ceramics.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hollow microsphere, it was possible to make the porous zirconia ceramics with porosities ranging from 45% to 75%. Typical compressive strength value of microcellular zirconia ceramics with ${\sim}65%$ porosity was over 50 MPa.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large and small zirconia powders, it was possible to control the pore structure from close to open p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