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간류 유출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emoval of As(III) by Pilot-Scale Filtration System Separately Packed with Iron-Coated Sand and Manganese-Coated Sand (철 및 망간코팅사를 분리 충진시킨 파일럿 여과시스템에 의한 3가 비소 제거)

  • Kim, Kwang-Seob;Song, Ki-Hoon;Yang, Jae-Kyu;Chang, Yoon-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8
    • /
    • pp.878-883
    • /
    • 2006
  • Removal efficiency of As(III) was investigated with a pilot-scale filtration system packed with an equal amount(each 21.5 kg) of manganese-coated sand(MCS) in the bottom and iron-coated sand(ICS) in the top. Height and diameter of the used column was 200 cm and 15 cm, respectively. The As(III) solution was introduced into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system with a peristaltic pump at a speed of $5{\times}10^{-3}$ cm/s over 148 days. Breakthrough of total arsenic in the mid-sampling position(end of the MCS bed) and final-sampling position(end of the ICS bed) was started after 18 and 44 days, respectively, and then showed a complete breakthrough after 148 days. Although the breakthrough of total arsenic in the mid-sampling position was started after 18 days, the concentration of As(III) in this effluent was below 50 ppb up to 61 days. This result indicates that MCS has a sufficient oxidizing capacity to As(III) and can oxidize 92 mg of As(III) with 1 kg of MCS up to 61 days. When a complete breakthrough of total arsenic occurred, the removed total arsenic by MCS was calculated as 79.0 mg with 1 kg MCS. As variation of head loss is small at each sampling position over the entire reaction time, it was possible to operate the filtration system with ICS and MCS for a long time without a significant head loss.

Analysis on the Change of Haed Loss Coefficients at Four-Way Square Combining Manhole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변화분석)

  • Jo, Jun Beom;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6-176
    • /
    • 2017
  • 배수시설 내 맨홀에서의 과부하 흐름은 관거시설의 배수 능력을 저하시켜 우수의 역류로 인한 도시 침수피해의 가중 요인이 된다. 특히, 도시 유역 중 하류부의 저지대에서 주로 설치되는 합류 맨홀은 저지대 침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 분석 및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중간맨홀, $90^{\circ}$ 접합맨홀 및 3방향(T형) 합류맨홀 등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4방향 합류맨홀에 관한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만 수행되고 있다. 4방향 합류맨홀은 세 개의 유입관과 한 개의 유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유입관의 유입유량 변화에 따라서 맨홀에서의 손실계수가 다양하게 변화된다. 이와 같은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맨홀 내 흐름특성 분석 및 손실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변화특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 세방향에서 유입되는 각 유입유량의 유입비($Q_{in}/Q_{out}$)가 0.0~1.0으로 변화하는 조건에서 평균 손실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11)의 표준 1호 맨홀 및 연결관경을 1/5로 축소하여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유출유량은 $3{\ell}/sec$이고 각 유입관(주유입관 및 좌 우측면유입관)의 유입유량을 $0{\sim}3{\ell}/sec$까지 유입유량의 비율을 각각 10%씩 변화시키면서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주관거의 유입유량이 줄어들고 측면관거의 유입유량이 늘어나면서 손실계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쪽 측면 관거에서만 유입유량이 들어오는 $90^{\circ}$ 접합맨홀의 형태에서 손실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의 범위는 0.5~1.7으로 산정되었다. 이는 과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는 측면 유입관에서의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 평균 손실계수 값이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김정수(2010) 등이 산정한 $90^{\circ}$ 접합맨홀의 손실계수 및 중간맨홀의 손실계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전체적인 손실계수의 범위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Wang(1988) 등의 유사연구와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 경향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산정된 유입유량 변화 조건이 고려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는 XP-SWMM 등의 부정류 흐름이 고려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이나 관거 배수능력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and Their Health Conditions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가로림만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및 건강 상태)

  • Wi, Chan Woo;Lee, Jung Ho;Shin, Hyun Choo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9 no.4
    • /
    • pp.256-26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benthic environments and polychaetous community in Garolim Bay, through five field surveys from April 2006 to April 2007. Garilim Bay is a semi-enclosed bay and composed of a biramous tidal channel and nearby wide tidal flats. Surface sediment in the inner bay was composed of fine grained particles whereas that in the mouth area of bay was of coarse grained ones. Benthic polychaete worms were the most dominant taxa occupying 65.1% of total benthic macrofauna. Species number was higher in the inner bay than mouth and outer area of bay, and in the bay higher on the tidal flat than channel area. Density was higher on the tidal flat than channel area. Dominant polychaetous species were Prionospio sp., Heteromastus filiformis, Lumbrineris longifolia and so on, which is known as opportunistic species. Prionospio sp. and H. filiformis inhabited mainly on the tidal flats in inner bay, while L. longifolia in the channel area and mouth of the bay. Cluster analysis and nMDS showed the typical inner-to-outward distribution of station groups, which indicated the sequential difference of the species composition of each station group. To assess the benthic healthiness of Garolim Bay by AMBI and BPI analysis, the benthic condition was analyzed from slightly polluted in the outer and mouth of the bay to moderately polluted in the inner bay. Assumed from dominant species composition and benthic healthiness condition, benthic environments of Garolim Bay was slightly unstable and disturbed and organic enrichment was currently underway by massed fisheries farms.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Gyeongan-cheon Watershed Using WEP Model (WEP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토양수분 모의)

  • Noh, Seong-Jin;Kim, Hyeon-Jun;Kim, Cheol-Gyeom;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20-725
    • /
    • 2006
  •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m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과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징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강우 등으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 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2005)).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 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가 증발, 침투, 유출될 지는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되며,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인 WEP 모형을 경안천 유역(유역면적: $575km^2$, 유로연장: 49.3㎞)에 적용하여 토양수분의 시공간분포를 모의하였다. 지점별 토양수분 모의결과, 토양 매개변수의 최대, 최소값 내에서 적절히 모의됨을 확인하였으나, 관측값이 없어 실질적으로 타당한지 여부는 검증하지 못하였다. 토양수분비율, 연간 증발산량, 지표면 유출량 공간분포를 비교한 결과, 토양수분비율이 연간 증발산량 모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격자에서는 토양수분이 지나치게 높게 모의되었는데, 지하수위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축된 자료가 부족한 지하대수층에 대한 정보부족이 토양수분 계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WEP 모형의 토양수분 해석능력에 대한 시험적용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토양 및 지표하 매개변수 정보가 충분히 갖추어지고, 토양수분 관측결과 있는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이 요구된다.-Moment 방법에 의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Power 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이들 분포의 적합도를 PPCC Test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낙동강 유역에서의 저수시의 유출량 추정에 대한 Power 분포의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M1), 무역적자의

  • PDF

Evaluation of Physiological Changes in Watermelon Stalk during Storage under Various Conditions of Treatments after Harvesting (수확 후 저장환경에 따른 수박줄기의 생리변화)

  • Park, Shin;Kang, Sun-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4 no.1
    • /
    • pp.56-60
    • /
    • 2005
  • In order to increase the storage stability of watermelon stalk, storage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and other treatments such as vaseline, mixture of soybean oil and wheat flour, and coated paper label were tested separately after harvesting.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7, 18 and $30^{\circ}C$) shelf-life of stalk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emp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storage at $30^{\circ}C$ they were completely wilted in 7 days, at $18^{\circ}C$ in 15 days and at $7^{\circ}C$ in 19 days. Our data also showed that stability of watermelon stalk depending on temperature was very closely correlated with water content of watermelon stalk; during storage at $30^{\circ}C$ the water content of watermelon stalk was decreased to 21.1 % in 7 days, whereas at $7^{\circ}C$ the water content was decreased gradually to 71.2 % for 19 days of storage. In order to reduce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watermelon stalk at $30^{\circ}C$, following treatments such as vaseline, mixture of soybean oil and wheat flour, and coated paper label were tested. As a result, watermelon stalk without any treatment was completely wilted in 9 days, while stalks treated with vaseline and mixture of soybean oil with wheat flour were wilted in 15 and 12 days, respectively. The wilt delay was noted in the watermelon stalk for $3{\sim}6$ days during both treatments but the outward quality was found detracted, whereas when treated with coated paper label, the wilt of stalk was delayed for 3 days along with the improvement in the outward quality. Therefore this data indicate that the treatment of coated paper label during storage at $30^{\circ}C$ can be considered as a potent method for maintaining the physiology of watermelon s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