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준천(濬川)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ase Study on the Willow Tree Fence(樹柵) in Gasan(假山) of Cheonggyecheon, Hanya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조선시대 한양 청계천 가산(假山)의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관한 연구)

  • SHIM Sunhui;KIM Choongsi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7 no.2
    • /
    • pp.118-141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ancient literature records and iconographic materials to examine the Willow Tree Fence(樹柵) built on Gasan(假山) Cheonggyecheon(淸溪川) within the Hanyangdoseong, which was deliberately created to prevent flood dam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re have been research cases related to the willow tree,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its archetypal valu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specific use cases of the willow tre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xamples of the Willow Tree Fence(樹柵) created in Cheonggyecheon(淸溪川)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reinterpret their value by illuminating the background of construc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presumed that flood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a great hazard. Betwee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Joseon suffered severe damage from floods. By the time of King Yeongjo, all Four Mountains(四山) of the capital had become bare mountains, which was the cause of frequent floods. In the year of Gyeongjin(庚辰, the 2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60), King Yeongjo dredged the channel bottom of Cheonggyecheon(淸溪川), which overflowed every rainy season, with the Juncheon Project(Channel-Dredging, 濬川事業) and planted willow trees on the mountain on both sides of the Ogan Water Gate(五間水門), as measures to prevent flood damage and soil loss. was implemented. In the <Doseongdo(都城圖)> in 《 Gwangyeodo(廣輿圖)》 p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Gasan(假山), built in front of the Ogan Water Gate(五間水門) is visible, and in the record 『Sinjeung Donggukyeoji Seungnam(新增東國輿地勝)』 In the record, it appears that willows were pla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ain in the year of Gyeongjin(1760). With <Hanyangdoseong Map(漢陽都城圖)> produced in the 4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70), it is confirmed that willow trees formed a thick forest on Gasan Mountain near the Ogan Water Gate(五間水門) in the late 18th century. In addition, the Juncheon Project(Channel-Dredging, 濬川事業) and the creation of the Willow Tree Fence(樹柵) continued from the 15th century,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前期),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後期), through the records of ancient literature such a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eungjeongwon Diary(承政院日記)』, and 『Records of Daily Reflections(日省錄)』.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forming that the willow tree was a unique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landscape resource by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and use of the Willow Tree Fence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a great basis for preventing floods and flood damage, as well as forming a beautiful landscape.

Analysis & Evaluation of extreme flood in Cheongye-stream by the historical records (역사기록에 의한 청계천의 극한홍수 분석 및 평가)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51-1355
    • /
    • 2009
  • 과거에 발생한 극한홍수기록을 역사기록에서 확인하고, 재해석하는 것은 근대적 관측기록에 100년 내외의 극한홍수 자료 기간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정성적, 정량적 극한홍수기록으로부터 극한홍수의 발생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설계에도 반영하여 극한홍수에 안전한 기준을 작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홍수의 변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청계천 유역에 대한 극한홍수 사례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즉, 유역홍수유출모형 및 하천수리모형을 활용하여 청계천에서 발생한 과거 극한홍수를 평가하고 역사기록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거 청계천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을 역사문헌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과거 청계천의 토지이용은 산림, 주거지역, 하천, 도로, 공원 및 녹지 등 총 5개로 분류하였다. 과거 청계천의 극한홍수량 산정은 HEC-HMS를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강우자료는 과거 측우기 우량 중 최대강우량인 1885년 7월 16일의 392 mm와 200 mm를 넘는 최저강우량인 1828년 7월 4일의 202 mm를 이용하였다. 또한, HEC-RAS를 이용하여 최하류인 오간수문에서 최상류인 송기교까지의 본류구간에 대하여 과거 청계천 유역의 홍수량에 따른 홍수위를 계산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하도구간 및 하천단면, 조도계수, 경사, 상 하류단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의 상세 하도 구간 자료 및 종단도 자료를 이용하여 모의 분석하였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Cheongye-stream by The Historical Records (역사기록을 이용한 청계천의 홍수범람해석)

  • Yun, Gyeong-Ho;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08-1812
    • /
    • 2010
  • 과거에 발생한 극한홍수에 대해 역사기록 혹은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경향성을 연구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시추 자료 분석에 의한 연구는 과거에도 극한홍수가 발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기와 같은 개인적인 기록물에도 이런 재해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기록은 측우기의 앞선 발명과 맞물려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매우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고려사에는 그 시대에 발생하였던 주요 홍수에 대해서는 정성적인 기술이 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왕조가 개국된 이래로 500년간 발생한 홍수와 피해지역 및 피해규모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과거 청계천에서 관측된 측우기 기록을 이용하여 홍수수문분석을 수행한 후 과거 청계천의 극한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량 산정결과를 토대로 HEC-RAS를 이용하여 과거 청계천에 대하여 각 홍수사상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홍수위를 과거 역사기록상의 피해기록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의 이용으로 공간적 피해규모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입력 자료로는 하도구간 및 하천단면, 조도계수, 하상경사, 상 하류단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과거 청계천에 대한 하천 단면자료 및 조도계수 등이 필요하나 대상지점의 과거 실측자료가 없는 바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년), 경성지적도(1912년),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년) 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계천 본류 구간에 대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구성하였다. 또한 실제 청계천의 주변부 피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계천의 지류구간에 대해서도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영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등의 자료와 함께 근대까지의 기록물들을 활용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