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에너지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7초

기획특집 - 미래형 도시, 꿈꾸는 탄소 제로도시 개발

  • 환경보전협회
    • 환경정보
    • /
    • 통권389호
    • /
    • pp.8-24
    • /
    • 2010
  • 도시생활과 관련된 교통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3%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을 확충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의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녹색도시와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원순환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을 주장하고, 탄소상쇄를 위한 에너지 및 자원절감 전략을 중요시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거단지내 소비되는 난방과 전력은 단지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든 주택의 지붕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단지 내 열병합 자가발전소에서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제로 에너지(Zero Energy)를 실현하고 있다.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저탄소 녹색도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그린홈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주택분야 보급가능 신재생 에너지원을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으로 다양화하여 안정적 보급 기반을 확보해 가고 있다.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주택, 저탄소 에너지, 녹색교통, 생태녹지, 물 및 자원순환등 핵심요소들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지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의 해외사례와 국내 적용방향",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그간 성과와 발전방향", "온라인 전지자동차의 기술 개발 동향"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공동주택에서의 효과적인 난방열량제어 관리방안

  • 이태원;김용기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2호
    • /
    • pp.11-21
    • /
    • 2004
  • 공동주택에서 난방용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난방제어기와 난방계량기의 효과적 활용방법을 중심으로 난방열량 제어 관리방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리나라 공동주택 난방방식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바닥패널 이용 복사난방시스템은 공간의 단열특성, 난방패널의 열적 및 수력학적 특성, 열원공급 및 제어방법에 따라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적절한 설계 및 운영방법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국가적인 차원에서 많은 양의 난방용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바닥패널 난방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점들로는 실내온도 및 난방열량의 제어방법과 난방용 열량의 계량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1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난방제어기와 난방계량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 평가를 위한 공동주택 단지별 에너지사용량 Database 구축 (Establishing a Energy Utilization Database for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Family Housing using District Heating)

  • 정재욱;홍태훈;지창윤;이승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05-113
    • /
    • 2015
  •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의 신뢰도 높은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 분류체계에 따라 도출된 일정규모이상의 모집단을 갖는 database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반영하고, 서울 및 수도권 도시에 대한 폭넓은 조사로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며, 다양한 Data source를 이용한 상호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1차 에너지사용량과 $CO_2$ 배출량을 포함한 325개 단지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한 공동주택정보관리시스템의 개선 필요사항을 제안하였다.

환경과 첨단기술 결합의 세계-에너지 절약형 아파트가 뜬다

  • 최보윤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7호
    • /
    • pp.78-79
    • /
    • 2007
  •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국내유가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설업계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중수도 활용 시스템,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이 적용된 친환경 아파트를 잇따라 선보이고 있는 것.

  • PDF

'살기좋은 아파트 만들기에 구심체 역할 맡겠습니다'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16호
    • /
    • pp.28-29
    • /
    • 2002
  • 에너지관리공단 등과 연대하여 공동주택의 폐열회수기 설치 및 고효율조명기기 교체운동을 펼쳐 공동주택 입주민들의 관리비절감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입주민 상호간에 신뢰 구축 및 살기좋은 아파트 만들기에 저희 협회가 구심체 역할을 해나갈 예정입니다.

  • PDF

소규모 주택 에너지 저감형 리모델링을 위한 에너지 성능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stimation of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Feasibility for Energy-Saving Remodeling of Small-sized Houses)

  • 김재욱;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92-102
    • /
    • 2014
  •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절감,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노후된 주택들이 많아 이에 대한 리모델링의 요구가 많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된 주택들의 유형을 분석하였고, 국내 외 사례와 기존 연구를 통하여 리모델링에 적합한 기술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창호, 단열, 문 등과 관련된 기술에 에너지 시뮬레이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소규모 주택 리모델링에 적합한 기술의 조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규모 주택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성능, 경제성을 위한 기초연구이며 이외의 더욱 많은 기술의 분석의 기초가 될 것이다.

웹 기반의 공동주택 에너지 정보시스템 개발 및 시험평가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Web-based Apartment Buildings Energy Information System)

  • 김종엽;황하진;이종성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3호
    • /
    • pp.249-261
    • /
    • 2012
  • 건물운용단계의 에너지사용량은 우리나라 전체에너지 사용량의 약 25%이다. 지금까지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로 설계단계에서 단열을 강화하고 고효율 기기를 사용해왔다. 이러한 노력들은 에너지절약 측면에서 그 한계가 있으며, 사용단계에서의 에너지절약생활이 큰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입주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인한 에너지절약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사용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에 동참시키기 위해 본인들이 사용한 에너지실적 정보를 웹상에서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사용의지를 조사하고 시범 적용하여 유효데이터의 수집가능성과 프로그램의 사용 용이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도시·주택 적용 미관용 에너지 블록의 발전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Power Generation of Energy Harvesting Blocks for Urban and Housing Application)

  • 노명현;김효진;박지영;이상열;조영봉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87-193
    • /
    • 2012
  • 최근 에너지 관련 연구분야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것이 주변의 에너지를 수확하는 에너지 하비스팅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에너지 하비스팅 기술들 중 압전 기술과 전자기 유도 방식을 조합한 에너지 블록의 발전성능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에너지 하비스팅 블록의 주택 도시 분야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다층 에너지 하비스터의 현 발전수준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증폭기술이 적용된 프로토타입의 특징을 설명하고 개발된 프로토타입 모듈의 발전성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개발된 에너지 블록은 기존 상용 제품에 비해서 255%와 505%까지 성능이 향상되었고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하비스팅 블록의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주택보급 사업의 현황 고찰 (Korean Residential New and Renewable Energy Propagation Program)

  • 이동건;김화영;이슬기;허은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8-191
    • /
    • 2009
  •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 계획에서는 기존의 태양광10만호 보급사업을 확대하여 모든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부존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통합형 보급 사업으로서의 "2020 그린홈(Green Home) 100만호 사업"이 새로이 추진 중에 있다. 이 사업의 핵심 내용으로는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주택공급과 이로 인한 민간시장의 활성화, 그리고 하이브리드형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개발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2차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기본 계획"에서 추진된 주택용 신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결과와 일본, 독일 등의 해외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중인 제 3차 기본계획 추진 과정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 있다. 즉, 향후 신재생에너지 주택보급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치밀한 준비를 통해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해야 하고, 계획된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사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합리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체계적인 보급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기술개발과 보급 양 부문에 대한 적절한 균형을 도모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