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규모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1초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주택자금대출이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Financial Support and Housing Loan on Newlyweds' Housing Tenure)

  • 정관석;이재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4호
    • /
    • pp.7-22
    • /
    • 2018
  • 본 연구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결혼 후 5년 이내이면서, 40세 미만의 처음 주택에 입주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다양한 변수들을 달리 적용하면서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 신혼부부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주택구입을 위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은 가구보다 경제적 지원을 받은 가구가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높았으며, 부모의 경제적 지원 규모가 클수록 신혼부부의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구입자금대출 관련 변수는 주택구입자금대출을 받은 신혼부부 가구가 주택구입자금대출을 받지 않은 가구보다, 그리고 주택구입자금대출의 규모가 큰 신혼부부 가구일수록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의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빈번한 직장이동 등의 개연성으로 인하여 맞벌이를 할수록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산승계가 일반화된 상황에서 신혼부부에 대한 주거안정지원정책 및 대출정책은 부모의 경제력 지표도 적정수준 반영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정부정책 - 주택거래 정상화로 서민 생활안정 도모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63호
    • /
    • pp.46-49
    • /
    • 2012
  • 정부는 지난 5월 10일 '주택거래 정상화 및 서민 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지원방안은 주택시장 과열기에 도입했던 규제들을 정상화해 시장기능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는 한편 실수요자들의 내집 마련 지원을 확대하고 중소형 임대주책 공급 등 서민 주거안정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는 $\bigtriangleup$강남 3구에 적용되던 투기지역 지정 해제 $\bigtriangleup$일반공공택지내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 2년으로 단축 $\bigtriangleup$민영주택 재당첨 제한 사실상 전면 폐지 $\bigtriangleup$양도세 비과세 대상 주택보유기간 2년으로 단축$\bigtriangleup$2년 미만 보유주택에 부과하던 중과세 세율 부담 완화 등이 포함됐다. 또 자금지원과 중소 임대주택 공급확대를 위해 $\bigtriangleup$우대금리 보금자리론 지원대상 및 한도 확대 $\bigtriangleup$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 확대 $\bigtriangleup$동일인 대출보증 한도 증액 $\bigtriangleup$세대구분형 아파트 적용 범위 확대 $\bigtriangleup$2~3인용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한 주택기금 지원한도 증액 $\bigtriangleup$1대1 재건축 주택규모 제한 완화 등도 담겼다. 그러나 이번 대책에는 건설 부동산시장이 고대했던 DTI 규제 완환 방안은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 때문에, 취득세 추가 감면 조치는 지방자치단체 재정난에 대한 우려 때문에 포함되지 않았다.

  • PDF

디지털홈 디자인을 위한 아파트 거주가구의 요구에 관한 연구 - 부인의 취업여부 및 주택규모$\cdot$가족주기·부인연령에 따른 비교 -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Apartment Residents' Needs for Digital Home Design)

  • 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226-235
    • /
    • 2005
  • Since the late 20th century,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our environment in many ways. The representative advanced homes today embed digital facilities such as a sensor infrastructure, a networking system, and ubiquitous display.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fine the apartment residents' diverse needs for digital home design. The subjects are 400 wives who live in Busa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factors of the housing activities are extracted as 'guest hosting,' 'family entertaining,' 'digital network,' 'daily domestic affair,' 'non-daily domestic affair,' 'media using,' and 'bathing & exercising' activities. (2) The 'digital network activitie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households with non-employed wife and preschool children, and with employed wife and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3) The factors of the digital home system were extracted as 'safety & maintenance,' 'health & convenience,' 'educational & housekeeping,' and 'cultural & entertaining' systems. (4) The needs of non-employed wives for the safety & maintenance and the educational & housekeeping systems are varied by family life cycle and wife age. While, the needs of employed wives for the educational & housekeeping and the culture & entertaining systems are varied by dwelling-size and wife age.

공동주택규모와 옥내외 물리적 주거환경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Dwellers and the Size of Housing Unit in Apartment Housing)

  • 김기수;신진환
    • KIEA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01-10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size of housing unit in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1,619 samples of 36 housing estate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dwellers, based on the size of housing unit, in apartment housing. The second part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might have an influence on the differen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dwellers wa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housing unit except $39m^2$ under housing unit, and the size of housing unit was not proportional to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outdoor openness exactly, but the size of housing unit was proportional to increase of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 and building, and decrease of the building surface coverage ratio to outdoor area.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it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ing, while promoting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Korea.

국민주택 규모의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안의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Proposal for Condominium Housing Remodeling in National Housing Scale($85m^2$))

  • 최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9-129
    • /
    • 2007
  • This study illustrates a prototype proposal and its evalu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loor plans in the condominium housing remodeling. For this I evaluated the survey of the residents of the 'K' town in Joonge-dong, Nowon-gu, Seoul, against the proposal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ident's pre-survey. The result includes that the residents' preference for community actions such as the removal of fences which are reviewed as negative, whereas the introduction of a fitness center and community facilities in the library are reviewed as positive. The residents preferred the open space by the piloti structure, although which is the wall column structure, where they anticipated a rest area, sports facilities, and bicycle drop-off spots. The sidewall proposal in the main building and the full use of the roof floor were underestimated in terms of design concept. The research also illustrated the residents' desired space planning options, those tending to use of space 'B type', personalization 'C type' and spatial size 'A type'. Resi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troduction of the 'Alpha' space in which two households share one space that could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a rest area, an environment-friendly garden, and hobby room, etc, and also there is another possibility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the sociality in community.

91년 3/4분기 전국 지가변동률조사 결과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2호통권19호
    • /
    • pp.83-88
    • /
    • 1991
  • [ $\circ$ ]''91년 3/4분기 중 전국평균지가상승률은$ 2.71\%$(''91년 누계: $11.18\%$) $\circ$ 도시규모별: 6대도시-$2.73\%$, 중소도시-$3.21\%$, 녹지-$3.11\%$, 비도시-2.01$\%$ $\circ$ 용도지역별: 주거-2.71$\%$, 상업-2.78$\%$, 공업-$3.61\%$, 녹지-$3.11\%$, 비도시-$2.01\%$ $\circ$$\cdot$도별: 대전($7.14\%$), 인천($4.78\%$) 등이 많이 올랐고, 서울($1.93\%$), 전남($1.09\%$) 등의 상승률이 낮았음.

  • PDF

초고층 공동주택의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

  • 김용식;박민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1호
    • /
    • pp.32-35
    • /
    • 2002
  • 도시로의 인구집중, 도시의 대규모화에 따라 고가의 부지에 대한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주거부문에서는 그 대응 수단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설이 증가 하고 있다. 부언하면, 대도시 도심부의 높은 지가 상황에서 가구당 건설비의 저감을 위한 고용적률화의 필요성, 새로운 도심지 주거스타일의 발생 및 그에 대한 대응, 도심지역 기능 재편 대책으로서 도심지역에 있어서의 상주인구 확보 등의 대응 수단으로서, 도시 주택의 한 타입인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심지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의 기반에는 근년의 초고층 건설기술의 진보 및 발전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본고에서는 초고층 공동주택에 필요한 각종 설비시 스템중에서, 주거환경의 위생성및 쾌적성을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아파트선택가구의 사회$\cdot$경제 및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 장성수;윤혜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04호
    • /
    • pp.177-204
    • /
    • 1999
  • 본 논문은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이주시 아파트를 주택유형으로 선택하는 입주자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파트를 선택하는 주민의 인구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주거상태와 향후 희망하는 주거상태가 아파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로짓모형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시의 주민 2000가구의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향후 아파트로 이주하고자 희망하는 주민의 특성 및 현 주거와 향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가구의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그 가구의 현주거상태와 희망하는 주거수준, 그리고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이 작용하는데 현주택상황과 관련하여서는 현 주택규모가 클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희망하는 주거수준과 관련해서는 희망하는 주택의 방수가 적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한다. 이밖에 가구의 월평균소득과 월평균 저축도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가구구조의 변동과 시.도별 가구수 추계

  • 김유경
    • 한국인구학
    • /
    • 제18권1호
    • /
    • pp.119-165
    • /
    • 1995
  • 가구는 주택과 내구소비재 구입의 단위가 되기 때문에 장래의 가구수에 대한 자료는 정부가 주택정책을 수립하거나, 기업체가 가전제품이나 가구를 생산하는 장기 계획을 짜는 데 필요불가결한 정보 중 하나이다. 우리 나라는 현재 심각한 주택난을 겪고 있으며 이 주택난은 가구의 급증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다. 최근 우리 나라의 주택난 해소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을 수립하자면 정확하고 상세한 가구추계가 요청된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인 노년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 노인가구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사회복지정책의 수립에는 전반적인 가구구조와 노인가구에 관한 정확한 예측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단순한 가구수 추계뿐만 아니라 가구구조 및 혼인상태별로 다양하게 가구수를 추계할 수 있는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 고노(Kono)의 확장된 가구주율법을 사용하고 최근의 센서스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수 추계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30년간의 가구구조의 변동을 분석하고 1990년 이후 10년간 우리 나라의 시·도별 가구수를 전망하며, 노인가구를 위시한 가구형태별, 가구규모 및 혼인상태별로 가구수를 추계하고 있다. 아무쪼록 이 연구결과가 지방자치화에 따른 지역 주택정책 수립 및 노인복지 등 각종 사회복지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자료로써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

  • PDF

대규모 협동조합형 임대주택 입주예정자의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Sense and Needs of Community Programs for Large-scale Cooperative Rental Housing Resident)

  • 김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81-591
    • /
    • 2021
  • 본 연구는 대규모 협동조합형 임대주택의 입주예정자가 느끼는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프로그램의 요구를 파악하여 대규모 협동조합형 임대주택의 건축계획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위스테이별내 모델하우스 방문자와 입주예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델하우스 방문자는 20대와 30대가 가장 많았으나, 입주예정자는 30대가 가장 많았다. 모델하우스 방문자 대부분은 현재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나, 입주예정자는 주1회 정도 이웃과 교류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입주예정자들은 운동시설과 육아관련 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생활협동조합 및 아이돌봄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다만, 연령별로 요구하는 이웃의 범위, 만남정도, 공동시설 및 요구 프로그램이 달랐다. 본 연구는 방문자와 입주예정자가 동일한 설문을 실시하지 않은 점, 수도권에 한정된 하나의 사례만을 분석한 점이 한계이며, 입주 후의 공동체 의식과 운영 중인 공동체 프로그램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