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검색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1인 가구를 위한 소형주택 사례조사 연구 (A Case Study on the Small House for one-person households)

  • 김현지;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9-250
    • /
    • 2017
  • 우리나라의 가구 구조는 2010년을 기점으로 1인가구로 급격하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 1-2인 가구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주거문화도 아파트 중심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간이 만들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지어진 소형주택의 사례조사 연구이다. 문헌조사와 정보검색, 사례조사를 통해 소형주택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한국의 소형주택 사례와 유렵과 일본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형주택의 소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소형주택은 효율적인 공간을 위해 스킵플로어의 형태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형주택의 개념과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소형주택 계획의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둔다.

  • PDF

공동주택의 상세주소 표기 표준화 모형 개발 : 대구시 중구를 사례로 (Developing standardized model for detailed address writing of apartment housing : A case of Jung-gu, Daegu)

  • 전우진;김준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9-383
    • /
    • 2010
  • 본 논문은 현재 공동주택에서는 주소를 표기할 때 지번 뒤에 상세주소를 표기하여 단지 내에서 개별적으로 일관성 없는 세부주소로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세주소 표기 표준화 모형을 제시하였다. 공동주택별로 그 표기방식이 다양해 같은 동을 가동, 101동, 1동, A동, 에이동 등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같은 층, 호를 지하1층, 지1호, 비01호, B01호,B1호, 1호, F02호 등과 같이 다양하게 표기하는 등, 비정형화로 인한 문제점이 제기 되고 있다. 비정형화로 인한 위치검색 및 위치파악 등의 애로사항으로 행정업무의 자료호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표준화된 모형개발이 현실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인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을 중심으로 상세주소 표기 건축물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세주소의 표기방식에 대한 표준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시맨틱 검색 기반의 부동산 지식 정보시스템 설계 (Design of a Real Estate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emantic Search)

  • 조재형;강무홍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1-124
    • /
    • 2011
  • 주택유형 중 아파트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자산가치 중 하나로 아파트가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검색이 활발한 상황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부동산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높지 않고, 부동산 검색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파트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세부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기존의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세부적 요인을 검색조건으로 통합 고려할 수 있는 지식정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가격, 면적 뿐 아니라 학군과 주거의 편리성, 주택관리의 용이성을 함께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파트를 검색결과로 도출해 주도록 설계하였다. 검색조건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공인중개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AHP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지식정보시스템은 매수인의 입장에서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람이 사용하는 부동산 검색조건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시맨틱 웹 검색기반의 정보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아파트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아파트 정보에 대한 다양한 용어를 표준화하였다. 부동산 지식 정보시스템의 전체 아키텍처를 설계한 뒤, 실제 아파트 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질의를 하였으며, 검색결과를 다요소 의사결정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요소 의사결정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매수인의 선호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검색 후 엔트로피(Entropy)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만족하는 아파트 후보지를 검색결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매수인의 아파트에 대한 가치만족도는 높이면서 탐색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파트가격지수와 네이버 트렌드지수 간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Price Index and Naver Trend Index)

  • 유한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45-5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가격'과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 논문들이 '공표된 아파트 가격'과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만을 검정했던 것에 비해, 본 논문은 '공표된 아파트 가격'을 '본질적 가격 요소'와 '일시적 가격 요소'로 구분하여 '본질적 가격 요소와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 '일시적 가격 요소와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했다는 것이 선행 연구들과의 차별적 측면이다. Granger 인과관계 분석 결과를 보면, '공표된 아파트 가격'과 '인터넷 검색량'이 서로 양방향의 Granger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논문들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부분으로서, 아파트 가격의 추세 요소인 '아파트 본질적 가격 요소'도 '인터넷 검색량'과 피드백적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아파트 일시적 가격 요소'는 '인터넷 검색량'에 대해 선행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일시적 가격 요소도 인터넷 검색량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아파트시장 참여자들의 '일시적 심리적 측면, 과잉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격 요소'도 인터넷 검색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이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를 제시하며, 부동산시장 분석 등에 있어서 가격의 움직임, 인터넷 검색량과 같은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정보검색 기법을 이용한 산업/직업 코드 분류 도구 (An automatic Industrial/Occupational Code Classification Tool Us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

  • 임희석;박두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5-78
    • /
    • 2001
  • 본 논문은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인구주택 총조사로부터 획득된 각 개인의 직업 및 직종을 기술하고 있는 자연어를 입력받아 입력된 자연어가 의미하는 한국 표준 산업/구업 분류 코드의 후보들을 생성하는 산업/직업 코드 분류 도구를 제안한다. 코드 분류는 분류할 코드를 문서 범주로 간주하면 문서 분류와 동일한 문제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산업/직업 코드 분류 문제는 입력되는 자연어의 길이가 한 두 문장 정도로 매우 짧아 문서 분류에 사용될 자질들이 개수가 주어 기존의 문서 분류 기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표준 코드를 기술하고 있는 내용을 미리 색인하고 입력된 자연어로부터 질의어를 생성하여 벡터공간모델로 질의어를 검색후 질의어와 일치율이 가장 높은 코드들을 분류될 후보 코드로 계시하는 정보검색 기법을 이용한 산업/직업 코드 분류 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지방정부의 주택정보서비스체계구축방안 및 사례연구 (Local Governments′ Housing Information System)

  • 윤혜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7-3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wo folds. For the local government it gives a guide to establish the housing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s various housing information in order to promote service to the public on Internet. It also gives a guide for the local government to collect the fundamental data from local housing market and provide them to the policy makers as well as the housing producers (landlords, builders and owner-occupiers). Contents of housing information system website for the local government consist of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provides housing policy and local housing market information to the upper level local government as well as housing producers. The second part provides housing information for the people who are looking for houses to move the own. Final part provides the procedures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lan for landlords to the public. In case of Pyongtaek-City, this study makes them by cluster analysis of houses and households moving pattern as the Internet contents. Housing markets of Pyongtaek-City divide 3 sectors by housing type, tenure type and housing supply ratio etc. And populations prefer to move intra sectors. According to this information, policy-makers should define local housing problems and find solutions and housing producers can supply the house just in sites and in time. In conclusion,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valuable housing information based on local housing market research to the public for the effective housing policy. As local housing market is formed by various factors it is needed for local government to research housing sub-markets due to apply these research results to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future.

국내 특허 사례 연구를 통한 임시 주거용 프리패브 모듈라 구조 분석 (Analysis on Temporary Residential Prefabricated Modular Structure through Domestic Patent Case Study)

  • 한현석;강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25-232
    • /
    • 2019
  • 본 연구는 재난 상황 발생 후 이재민들에게 임시 주거용 공간을 손쉽게 제공하기 위한 임시 주거용 프리패브 모듈라 구조를 제안하기 위해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디자인 개념 및 실행을 위해 국내에 등록된 조립식 구조물이나 프리패브 구조와 관련된 다양한 특허를 검색하고 수집하였으며, 이를 특성별로 분류하였다. 결과적으로 임시 주거용 프리패브 모듈라 구조의 공간은 "확장성", "조립 및 해체의 용이성", "빌트인 구조",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과 같은 추가적인 주요 요인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하며, 각 사례는 "세부 조립 모듈형", "모듈형 확장형", "공간 유닛 확장형"의 3가지의 형식으로 구분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해외 특허를 대상으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가능한 낮은 생산 단가로 양산 및 제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