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요 정책과제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6초

STEPI 연구 소개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1권3호통권3호
    • /
    • pp.21-21
    • /
    • 1991
  • 당 연구소는 1987년 설립 이래 과학 기술 정책 연구 66건, 특정 연구 개발 과제 17건 및 기본 연구 과제 10건 등 주요 연구 과제와 현재 수행 중인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 PDF

제11회 KITAL 국제심포지움- 게임산업의 법적, 정책적 과제와 해결방안 논의

  • 신승철
    • 디지털콘텐츠
    • /
    • 7호통권134호
    • /
    • pp.86-87
    • /
    • 2004
  • 게임산업이 고도화되면서 기존 법적 해석만으로는 명확하게 매듭짓기 어려운 문제들이 속출하고 있다. 필요한 정책적 과제도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러한 게임산업의 법적, 정책적 과제와 해결방안을 짚어보기 위한 국제 심포지엄이 마련됐다. 지난달 15일 열린‘제11회 KITAL 정기 국제심포지엄-게임산업의 법, 정책적 과제’의 주요 발표내용을 요약했다

  • PDF

국내 대학도서관 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 개발 연구 (Exploring Key Strategy Areas for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ning in Korea)

  • 장윤금;이혜은;모영규;전경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97-11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주요 정책과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비전 및 역할, 정보자원, 연구지원, 교수학습 및 서비스 등의 기본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14개 대학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1계층 4개 분야, 2계층 12개 추진과제, 3계층 24개 세부과제가 도출되었다. 인터뷰에서 도출된 정책과제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계 및 현장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계층적 분석 방법(AHP)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요도가 높은 분야 및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학술정보자원 확충 및 공동 활용', '학습·연구지원 큐레이션 서비스 확대',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 도서관 서비스 강화', '법·제도적 기반 고도화' 등 4대 분야 및 대학도서관 진흥 및 가치 제고를 위한 분야별 11개 추진과제, 23개 세부과제가 도출되었다.

에너지정책에서의 원자력 역할에 대한 전략계획적 분석 (Analysis of Nuclear Role in Energy Policy with Strategic Planning Approach)

  • 김현준;정환삼;이태준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5-210
    • /
    • 1998
  • 최근 IMF 사태에 따라 에너지 수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을 통한 에너지부문 국제수지 개선이 주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SWOT분석에 의하여 에너지정책 환경을 분석하였고, 에너지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에너지정책 과제로서 자원외교역량의 강화 등 9개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응하는 원자력의 특성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성 재고, 안전성 향상 등을 포함한 원자력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혁신 브랜드과제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novative Brand Tasks by Local Government Type)

  • 김대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28-137
    • /
    • 2019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혁신정책을 브랜드과제를 통해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자치단체 브랜드과제 844개를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 8개 유형별로 브랜드과제의 정책분야를 분류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체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보았을 때 사회적경제/지역경제 분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치단체 유형별로 중점을 두고 있는 정책분야가 상이하다. 셋째, 혁신정책의 선정에는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고 있다. 넷째, 브랜드과제의 유형별로 중점을 두는 자치단체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지방자치단체 유형론의 이론적 적실성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혁신정책의 필요, 지역특성에 맞는 혁신정책의 수립, 우수 혁신정책의 전파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