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요 영역

검색결과 6,019건 처리시간 0.039초

CAM과 Selective Search를 이용한 확장된 객체 지역화 학습데이터 생성 및 이의 재학습을 통한 WSOL 성능 개선 (Expanded Object Localization Learning Data Generation Using CAM and Selective Search and Its Retraining to Improve WSOL Performance)

  • 고수연;최영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9호
    • /
    • pp.349-358
    • /
    • 2021
  • 최근 CAM[1]을 이용해서 이미지의 객체에 대한 주의 영역 또는 지역화(Localization) 영역을 찾는 방법이 WSOL의 연구로서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CAM을 이용한 객체의 히트(Heat) 맵에서 주의 영역 추출은 객체의 특징이 가장 많이 모여 있는 영역만을 주로 집중해서 객체의 전체적인 영역을 찾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먼저 CAM과 Selective Search[6]를 함께 이용하여 CAM 히트맵의 주의 영역을 확장하고, 확장된 영역에 가우시안 스무딩을 적용하여 재학습 데이터를 만든 후, 이를 학습하여 객체의 주의 영역이 확장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단 한 번의 재학습만이 필요하며, 학습 후 지역화를 수행할 때는 Selective Search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실험에서 기존 CAM의 히트맵들과 비교했을 때 핵심 특징 영역으로부터 주의 영역이 확장되고, 확장된 주의 영역 바운딩 박스에 대한 Ground Truth와의 IOU 계산에서 기존 CAM보다 약 58%가 개선되었다.

얼굴 구성요소 검출을 통한 효율적인 얼굴 잡티 제거 (Efficient Facial Blemishes Removal with Face Feature Detection)

  • 박호준;차의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55-58
    • /
    • 2016
  • 본 논문은 사람의 얼굴 영상에서 잡티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받은 영상에서 Haar-like Feature 기반 Adaboost 알고리즘과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 잡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눈, 코, 입, 눈썹과 같은 얼굴의 주요부위를 검출하고 이 영역을 제외한 순수 피부 영역에 잡티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해야한다. 사람의 얼굴은 미세하게 명암도 차이가 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가우시안 스무딩을 적용한 후, 그래프 기반 분할 방법을 사용하여 눈, 입, 눈썹을 분할한다. 코 영역은 각 픽셀에 대해 인접픽셀과의 R 채널의 차이값을 가중치 맵으로 만들고 가중치 맵을 분석하여 영역을 분할한다. 분할된 영역에 사람 얼굴의 기하학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요부위를 검출한다. 얼굴의 주요부위를 검출하고 그 부위를 제외한 피부 영역에 잡티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잡티는 Edge와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잡티주변을 검사하여 잡티가 아닌 깨끗한 피부를 잡티 영역에 복사하여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피부 영역을 복원한다.

  • PDF

기업의 성공적 사업다각화를 위한 유망사업군 발굴 프로세스의 설계

  • 김은선;고병열;박창걸;황규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4-19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유망산업영역 발굴시 기술영역과 산업/사업 영역을 연계하고, 국가적 차원과 기업차원에서의 유망산업 영역을 연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즉, 주요기술을 중심으로 국가적 차원의 유망산업 발굴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기존의 연구로부터 출발하여, 국가차원으로부터 기업차원으로 대상을 세분화하고, 유망산업의 기술-산업간, 산업-사업간 영역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ISTI에서 개발한 새로운 유망산업/사업영역 발굴 프로세스를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시하고, 발굴된 유망산업 및 사업영역의 평가에는 내 외적 평가 7단계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였다.

  • PDF

의학대학 소속 연구자 발표 논문의 주제 분야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opic Areas of Medical School Researchers)

  • 김희정;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2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의과대학 소속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 주제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의학 주제영역의 학제적 성격에 대한 파악과 함께 국가별 연구 주제 영역의 특성과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저널 수로 파악된 한국 의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영역은 CLINICAL NEUROLOGY이며 논문수로 파악된 주요 연구영역은 RADIOLOGY, NUCLEAR MEDICINE & MEDICAL IMAGING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의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영역은 저널 및 논문 분석 결과 모두 동일하게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연구자들은 몇몇 주제분야에서 일부 저널에 논문을 다수 게재하는 출판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영역을 고려한 다양한 레벨의 Image Region Flattening (Salience based level of detail representation in image region flattening)

  • 남장우;강행봉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3-474
    • /
    • 2011
  • Image quantization 기술은 영역 평탄화 기술중 하나로서 NPR과 같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의 image quantization은 중요부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detail한 칼라 정보를 가지는 주요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Sailency map을 이용해 영상의 주요 영역을 고려한 image Flatten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검출된 주요 영역을 좀 더 세분화해서 표현하므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주의 깜박임 현상의 검증: 주의 자원의 반시야 독립성과 상호작용 (A Test of Attentional Blink: Hemifield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 김정열;이국희;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27-136
    • /
    • 2017
  • 주의 깜박임이란 RSVP상에서 두 개 이상의 표적을 탐지할 때 먼저 제시 된 표적(T1)에 대해서는 정확성이 높지만 이후 500ms 이내의 표적(T2)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수행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은 주의용량결핍 모형과 주의여과지연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주의 용량은 좌우 시각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반시야 독립성으로 인해 다양한 과제에서 양측영역이득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주의 용량의 반시야 독립성을 이용하여 주의 깜박임을 설명하는 두 갈래의 이론을 검증하였다. 실험 1은 T1과 T2를 포함하는 두 개의 RSVP를 양쪽 시야 영역에 나누어 제시하거나 한쪽 시야 영역에 제시하여 주의 깜박임과 양측영역이득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실험 2는 하나의 RSVP에서 T1을 제거함으로써 양쪽 시야 영역에 T1과 T2가 독립된 주의용량을 사용할 때에도 주의 깜박임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RSVP를 양쪽 시야 영역에 나누어 제시하였을 때 더 우수한 수행을 보여주었으나 (즉, 양측영역이득) 주의 깜박임과 양측영역이득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1이 제시되지 않은 RSVP의 T2에서도 주의 깜박임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주의 깜박임에 대한 주의여과지연 모형을 지지한다.

커널 기반 객체 추적 및 Grab-Cut 알고리즘을 이용한 액티브 스트로모션 영상 생성 (Generation of Active Stromotion Images using Kernel-based Tracking and Grab-Cut Algorithm)

  • 오경석;최유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133
    • /
    • 2016
  • 본 논문은 연속적인 비디오 시퀀스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커널 기반 객체 추적과 Grab-Cut 알고리즘을 결합한 비디오 영역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추적 목표 객체의 초기 위치를 사각영역으로 선택하면, 사각의 외부 영역을 배경색상으로 인지하고, 배경 색상을 고려한 목표 객체의 주요 색상을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커널기반 객체 추적 기법을 적용하여 빠르게 객체의 영역을 추출한다. 추적한 각 객체의 영역에서 중앙 객체 영역과 배경 영역의 색 정보를 초기값으로 하여 Grab-Cut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사각형 형태가 아닌 객체의 실루엣 최적화된 영역으로 분할한다. 제안 방법을 스포츠 방송, 광고, 영화 등의 특수 효과로 활용되고 있는 stromotion 영상 생성에 적용하기 위하여 프레임별 추출된 객체의 영상을 새로운 프레임 영상에 합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초당 10 프레임의 처리 속도에서 원하는 스트로모션 효과 영상을 생성하였다.

  • PDF

저자 동시인용 분석을 이용한 북한 과학기술의 지적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North Korea using by Author Co-citation Analysis)

  • 노경란;최현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9-190
    • /
    • 2020
  • 본 논문은 북한 과학자들이 발표한 학술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과학기술의 주요 연구 영역을 밝혀내고, 과학기술 연구의 기반이 되는 지적 구조를 밝혀내는 데 목적이 있다. 정량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 주체가 누구인지, 어떤 분야를 주로 연구했는지,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는 연구 영역과 중단된 연구 영역과 최근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연구 영역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북한 과학기술의 주요 연구 영역, 지적 기반, 연구개발 주체 분석을 위해 Web of Science (SCIE)에 색인된 북한 과학자 논문을 수집하고, 과학계량분석 툴인 CiteSpace를 사용하였다. 저자 동시인용 분석 기법을 이용해 찾아낸 북한 과학기술의 주요 연구 영역은 material properties, vibration analysis, incline matrice, sodium cointercalation, external magnetic field 등으로 나타났다.

정보조직분야의 주요영역 및 내용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ajor Areas and Content Elements in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 최예진;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49
    • /
    • 2020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설문조사 및 전문가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조직분야를 정보조직일반, 분류, 목록, 실습이라는 4영역으로 구성하고, 총 31개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역별로 도출된 내용요소들은 정보조직분야 교과목에 대한 강의계획안이나 교수 요목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별 내용요소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조직분야 교육내용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객체지향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퍼시스턴스 레이어의 객체-관계 매핑 아키텍처 평가 (Object-Relation mapping System Architecture Evaluation as Persistence layer for Object-Oriented Applications)

  • 이재성;신성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1-264
    • /
    • 2008
  • 객체 중심의 개발방법은 오브젝트(Object)를 중심으로 프로세스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에 반해 관계형 DBMS 로 표현 되는 데이터 영역에서는 테이블(Table)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집합체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상호 영역이 맺어지는 영구 저장 영역(Persistence Layer)의 구현과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대두된 Object-Relation Mapping(ORM) 기술은 이러한 영구 저장 영역의 구현을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해 준다고 하나 이 또한 기술 적용의 어려움과 테이블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조회와 같은 주요 아키텍처 품질 요소를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구 저장 영역을 ORM 으로 설계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정리하여 시스템 별로 적절한 아키텍처 선정에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동통신사의 실제 비즈니스 사례를 들어 ORM 이 적용되지 않은 시스템을 대상으로 제안한 기준에 의해 해당 아키텍처를 선정하고 구현하였으며,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비교하여 주요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지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