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요종

Search Result 3,1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

  • 문성기;최철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85-87
    • /
    • 2003
  • 문헌 32편에서 조사된 출현종수는 43종에서 200종까지였고, 그 중에서 주요종수는 2종에서 27종까지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주요종은 모두 50속 116종이었고, 규조류 34속 89종(76.6%), 와편모조류 11속 22종(18.9%), 황갈색조류 2속 2종(1.7%), 남조류, 라피도조류, 유글레나조류가 각각 1속 1종(0.9%)이었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종으로서는 우점종이 Actinoptychus serunius를 비롯하여 79종, 출현빈번종이 Coscinodiscus centralis를 비롯하여 50종, 적조원인종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비롯한 36종이었다. 또한 3가지의 주요 특성을 모두 지닌 종은 Prorocentrum micans를 비롯한 11종이었다. 여러 문헌에서 주요종으로 언급했던 종은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었고 단일 속(genus)으로서 18종의 많은 종이 조사된 속은 Chaetoceros속이었다.

  • PDF

A List of Important Species and Distribution of Marine Phytoplankton in Korea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 문성기;최철만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2 no.7
    • /
    • pp.725-733
    • /
    • 2003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assess import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the ocean and bay in Korea from 32 references. The number of important species assessed from 50 genera 116 species. Of them, Bacillariophycea(diatoms) 34 genera 89 speceis(76.6%), Dinophyceae(dinoflagellates) 11 genera 22 species(18.9%), Chrysophyceae 2 genera 2 species(1.7%), Cyanophycea(blue-green algae), Raphidophyceae, Euglenophyceae(euglenoids) 1 genera 1 species(0.9%) respectively. By ecological characters, the number of dominant species were 79 species including Actinoptychus seranius, 50 species including Coscinodiscus centralis were recorded as frequently apperaing species and 36 species includ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were recorded as red-tide causative organism. Also, 11 species including Prorocentrum micans were surveyed as the indicator including all ecological characters.

Colonizing Aphid Species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s in Some Vegetable Crops (주요 채소에서 발생하는 진딧물의 종류와 발생소장에 관한 연구)

  • Kim, S.H.;Kim, I.S.;Lee, M.H.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5 no.3 s.68
    • /
    • pp.129-132
    • /
    • 1986
  • Colonizing aphid species on Chinese cabbage, radish, red pepper and cucumber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s were investigated without insecticide treatment during $1982{\sim}1984$ at an experimental farm in Suweon. The major species among the colonizing aphids in each crops were Myzus persicae (Sulzer) and Lipaphis erysimi (Kaltenbach) on Chinese cabbage and radish; M. persicae (Sulzer) and Aphis gossipii Glaver on red pepper; and A. gossipii Glover on cucumber, respectively. Over 200mm of rainfalls within a 10-day period reduced the aphid populations drastically. Relative abundance of the two major aphids on Chinese cabbage and radish, and on red pepper showed inver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ring and autumn densities within the same year.

  • PDF

이기종 네트워크의 개요와 주요 이슈 분석

  • Nam, Chang-Won;Lee, Jong-Uk;Park, Se-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2
    • /
    • pp.68-76
    • /
    • 2012
  • 최근의 무선 통신은 LTE, WiMAX, 무선랜 등이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와 멀티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멀티 모드 단말로 인하여 큰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기종 네트워크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갖는 통합 네트워크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네트워크의 구성과 연동 레벨 및 구조를 살펴본다. 또한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주요 이슈인 이동성 제공, 무선 자원 관리,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대해서 분석하고 최신 연구 및 표준화 통향을 소개한다.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Prunus mume, Rosa spp. and Rosa rugosa (매화, 장미 및 해당화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10-110
    • /
    • 2020
  • 꽃을 우려내어 차로 마시는 꽃차(flower tea)는 꽃이 가진 색과 향, 맛과 모양을 즐길 수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화(Prunus mume), 장미(Rosa spp.), 그리고 해당화(Rosa rugosa) 등 3종의 장미과 식물의 꽃차의 향기 성분 특성을 구명코자 꽃차를 headspace vial에 담은 후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성분은 deconvolution 과정을 수행한 후 NIST masss spectral librar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매화꽃차에서는 총 58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benzaldehye와 nonane, 그리고 phenylmethanol이 주요 구성 성분으로 검출된 전체 휘발성 성분의 각각 64.7%, 16.1% 및 4.7%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미 꽃차의 경우 검출된 35종 중 주요 구성 성분은 nonane과 2-phenylethanol, 그리고 phenylmethanol로서 각각 전체 성분 중 54.0%, 18.0% 및 4.6%를 구성하고 있었다. 해당화 꽃차의 경우는 장미 꽃차와 동일하게 2-phenylethanol(62.2%)과 nonane(20.1%)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2 성분의 합이 전체 43개 휘발성 성분의 8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매화, 장미, 해당화 등 장미과 식물 3종의 꽃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휘발성 성분은 앞서 각 꽃차 종류별 주요 성분으로 언급된 4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19종이었으며 매화꽃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29종으로 장미꽃차(6종)와 해당화 꽃차(8종)보다 향기성분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Chrysanthemum morifolium, Tagetes erecta, and Matricaria chamomilla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및 캐모마일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9-109
    • /
    • 2020
  • 꽃차(Flower tea)는 최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소비가 확대되는 등 그 산업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꽃차의 향기 특성은 우렸을 때 나타나는 색깔 및 인체에서의 생리활성과 더불어 주요한 꽃차 품질결정 요소이다. 본 연구는 꽃차로의 이용이 활발한 국화과 식물 중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노랑색 및 주황색 마리골드(Tagetes erecta 'Yellow' and 'Orange'), 그리고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의 향기 성분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조된 꽃차를 headspace-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S-SPME/GC-MS)를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국화과 꽃차로부터 총 117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각 꽃차 종류별 동정된 휘발성 성분의 개수, 주요 3개 휘발성 성분과 전체 향기성분 peak중 이들이 차지하는 구성비율(%)은 다음과 같았다: 구절초 64종, camphor (31%), α-pinene(14%), camphene(14%); 국화 60종, camphor(15%), chrysantheny acetate(13%), eucalyptol (11%); 마리골드 '옐로우' 53종, 2,4-heptadienal(26%), trans-isocarveol(21%), cis-β-Copaene(18%); 마리골드 '오렌지' 61종, β-caryophyllene(16%), β-ocimene epoxide(12%), β-ocimene(12%); 캐모마일 50종, β-farnesene(63%), nonane(9%), spathulenol(5%). 국화과 꽃차 5종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β-caryophyllene, α-pinene, β-farnesene 등 10종이었으며 마리골리 '옐로'는 '오렌지'와 주요 향기성분의 조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록 그 함량은 낮았으나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오렌지', 그리고 캐모마일은 각각 10종, 12종, 3종 및 13종이었다. 마리골드 '엘로'의 경우 검출된 모든 향기성분은 마리골드 '오렌지'나 다른 국화과 식물의 꽃차에서도 검출된 바, 향기 성분이 다양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Temporal variation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een tide forming macroalgae(Chlorophyta; genus Ulva) on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based on DNA barcoding (DNA 바코드를 이용한 제주도 연안 파래대발생(green tide)을 형성하는 갈파래(genus Ulva) 군집구조 및 주요 종 구성의 시간적 변이)

  • Hye Jin Park;Seo Yeon Byeon;Sang Rul Park;Hyuk Je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4
    • /
    • pp.464-476
    • /
    • 2022
  • In recent years, macroalgal bloom occurs frequently in coastal oceans worldwide. It might be attributed to accelerating climate change. "Green tide" events caused by proliferation of green macroalgae (Ulva spp.) not only damage the local economy, but also harm coastal environments. These nuisance events have become common across several coastal regions of continents. In Korea, green tide incidences are readily seen throughout the year along the coastlines of Jeju Island, particularly the northeastern coast, since the 2000s. Ulva species are notorious to be difficult for morphology-based species identification due to their high degrees of phenotypic plasticit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emporal variation in Ulva community structure on Jeju Island between 2015 and 2020, chloroplast barcode tufA gene was sequenced and phylogenetically analyzed for 152 specimens from 24 sites. We found that Ulva ohnoi and Ulva pertusa known to be originated from subtropical regions were the most predominant all year round, suggesting that these two species contributed the most to local green tides in this region. While U. pertusa was relatively stable in frequency during 2015 to 2020, U. ohnoi increased 16% in frequency in 2020 (36.84%),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ris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which U. ohnoi could benefit. Two species (Ulva flexuosa, Ulva procera) of origins of Europ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molecular genetic data of genus Ulva occurring in southern coasts of Korea, which will help mitigate negative influences of green tide events on Korea coast.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SouBaik (소백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 장용석;신창섭;양덕춘;정동준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7 no.1
    • /
    • pp.67-7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xus cuspidate communities in Mt. DuckYoo. The vegetation was consisted of 20 species in the T$_1$(tree) layer, 26 species in the T$_2$(subtall tree) layer, 26species in S(shrub) layer, and 56 species in the H(herb) layer. The dominant species of Mt. Duckyoo was Taxus cuspidata in the T$_1$ Layer,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in the T$_2$ Layer, Tripterygium regelii and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in the S Layer and Sasa borealis in the H Layer. According to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high ranking five species in T$_1$, T$_2$ layer at natural Taxus cuspidata communities, these forests may be gradually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Tripterygium regelii. The composition of biological type was Ph-D$_1$-R$\sub$5/-e.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DuckYoo (덕유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 장용석;양덕춘;정동준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7 no.1
    • /
    • pp.58-6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xus cuspidate communities in Mt. DuckYoo. The vegetation was consisted of 20 species in the T$_1$(tree) layer, 26 species in the T$_2$(subtall tree) layer, 26species in S(shrub) layer, and 56 species in the H(herb) layer. The dominant species of Mt. Duckyoo was Taxus cuspidata in the T$_1$ Layer,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in the T$_2$ Layer, Tripterygium regelii and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in the S Layer and Sasa borealis in the H Layer. According to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high ranking five species in T$_1$, T$_2$ layer at natural Taxus cuspidata communities, these forests may be gradually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Tripterygium regelii. The composition of biological type was Ph-D$_1$-R$\_$5/-e.

감천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 최철만;허만규;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9-251
    • /
    • 2004
  • 감천항 3개 지점에서 조사된 식물플랑크톤은 3강 46속 98종류였는데 Bacillario-phyceae가 34속 76종류(77.6%), Dinophyceae 9속 17종류(17.3%, Chrysophycese 3속 5종류(5.1%)였다. 항 내에서 출현한 종은 모두 85종류로 항 외에서 출현한 94종류보다 적은 종이 출현하였고 규조류는 항 내에서, 와편모조류는 항 외에서 많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별로는 가을에 62종류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겨울에 45종류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지점별 현존량은 1,434(Feb. 2003; st. 3)~최고 17,708 cell/ml(Aug. 2003; st. 1)의 범위였고 여름철에 규조류(특히, Pseudonitzschia pungens와 Chaetoceros curvisetus 등)의 현존량이 많았다. 그리고 Pseudonitzschia pungens는 여름에 항 내에서 8,133 cell/ml로 가장 높은 현존량을 보였고 항 외에서도 4,000 cell/ml 이상 높은 현존량을 보였다, 본 조사기산 동안 출현한 주요종은 1,000 cell/ml 이상 출현한 우점종으로,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debilis, Pseudonitzschia pungens, Skeletonema costatum, Stephanopyxis turris 등 5종, 출현빈번종은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lorenzianus,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hyalina 등 4종, 4계절 모두 출현한 종은 Chaetoceros didymus var. anhlica 외 13종이었으며 적조원인종도 Ceratium furca 외 13종으로 조사되어 항 내의 주기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분석으로 우점도지수는 최저 0.205~최고 0.616였고 종다양성지수는 최저 0.213~최고 0.597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