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요성분

Search Result 2,7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Efficient Fan Recognition by Denoising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잡음제거와 주요성분분석에 의한 효과적인 얼굴인식)

  • Cho Yong-Hyun;Hong Se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546-5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잡음제거와 주요성분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얼굴인식 기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잡음제거는 필터링과 1차 모멘트 평형이동을 조합하여 영상의 특징정보와 관계가 없는 배경을 제거함을 위한 것이고, 주요성분분석은 얼굴영상의 주요성분인 2차원의 중복성분이 제거된 특징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함이다. 제안된 기법을 768*576 픽셀 크기를 갖는 24개의 AR얼굴영상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제안된 얼굴인식이 잡음제거를 하지 않은 기존의 얼굴인식에 비해 주요성분의 개수에 따른 압축성능, 특징추출 시간, 그리고 city-block, Euclidean, negative angle(cosine)의 거리척도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Antiosidant Effects and Key Ingredients of Paeonia by Processing (작약(Paeonia)의 가공별 항산화 효과 및 주요성분 분석)

  • Jueng Kyu Baek;Sang Hun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11-111
    • /
    • 2022
  • 본 연구는 의성작약(Paeonia lactiflora)의 가공공정별 생리활성과 성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가공공볍을 찾아 추후 제품생산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작약은 의성에서 생산되는 의성작약(Paeonia lactiflora)을 사용하였으며 가공방법으로는 거피를 제거한 것과 제거하지 않은 것을 절단하여 건조 후 사용하였다. 추출 샘플로는 가공한 작약을 술에 담가 볶은 것(주초)과 볶은 것(초), 건조 한 것 세 가지로 나누어 추출하였다. 추출방법으로는 온도별 열수추출과 농도별 알코올추출을 진행하였다. 온도별 열수추출은 100g의 작약과 500ml의 정제수를 60℃, 80℃, 100℃에 3h 추출하였고 농도별 알코올추출은 100g의 작약과 각각 500ml의 10%, 30%, 50%, 70%, 90% 에탄올을 상온에 6d 추출하였다. 추출을 통해 얻은 샘플로 항산화활성과 주요성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은 1g/kg의 농도로 DPPH assay 실험을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 열수추출물의 경우 60℃에서 추출한 초가 가장 좋은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에탄올추출에서는 90% 에탄올에서 추출한 초가 가장 활성이 높았다. 주요성분 분석으로는 Paeoniflorin과 Albiflorin의 함량을 조사하였는데 2g/kg로 샘플을 희석한 뒤 HPLC(Water 2695, Water 5996PDA, 칼럼-Xbridge C18)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aeoniflorin은 90% 에탄올에서 추출한 주초가 가장 많았고, Albiflorin은 90% 에탄올에서 추출한 초가 가장 많았다. 본 실험의 결과 항산화활성과 주요성분의 최적 조건은 90% 에탄올에서 추출한 초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가공방법을 활용하여 생리활성검증과 주요성분 분석을 진행 할 예정이다.

  • PDF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추출방법에 의한 아니스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 Kown, Young-Ju;Jang, Hee-Jin;Kwag, Jae-Jin;Kim, Ok-Chan;Choi, Young-Hyun;Lee, Jae-G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0 no.2
    • /
    • pp.144-147
    • /
    • 1997
  • Different isola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are compar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components obtained with each analytical procedure. These methods include headspace(purge & trap) sampling procedur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Total 43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gas chromatography retention time and mass spectral data. Different isolation techniques result in compositionally different isolates. The headspace(purge & trap) sampling procedure was found to be the best method of choice for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Hwangryeonhaedok-tang's Essential Oils Obtain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nd Hydrodistillation Methods

  • Chang, Myeong-Jun;Lee, Sang-Ryong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6 no.4
    • /
    • pp.211-223
    • /
    • 2009
  • 초임계추출법과 수증기증류법을 이용하여 황련해독탕의 정유성분을 추출하여 성분 패턴을 비교하였다. 이때 초임 계추출조건은 압력 200 atm, $45^{\circ}C$ 그리고 추출시간 25분 이었다. 이때의 추출된 성분의 93.9%인 37개의 성분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확인하였다. 주요성분으로는 tetradecenoic acid (11.7%), Vanillin (5.9%), dl-Limonene (5.5%) 및 Eicosane (4.6%)으로 나타났다.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정유에서는 34개 성분을 확인할수 있었다. 주요성분으로는 tetradecenoic acid (8.9%), Vanillin (5.8%)및 Eicosane (4.7%)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구강내의 12균주를 이용하여 항균효과를 측정하여 최소엑제농도(MIC)와 사멸농도(MBC) 0.025 - 12.8 mg/ml와 0.05 - 12.8 mg/ml 각각 나타났다.

  • PDF

Classification of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by Chemical Compositions and Magnetic Properties (성분분석 및 자기적 특성에 의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구)

  • Cho, Nam-Chul;Park, Yong-Hee;Doh, Seong-Jae;Kang, Hyung-Tae;Nam, In-Tak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16 s.16
    • /
    • pp.89-103
    • /
    • 2004
  •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ixty four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r has been carried out using major elements, minor elements and magnetic properties. Most of obsidian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subalkaline series based on the contents of $Al_2O_3,\;CaO,\;and\;Na_2O+K_2O$ in samples. Provenance & obsidia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groups using major elements and minor elements analys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groups whose provenances are different. Although the magnetic properties of obsidians do not yield clear groupings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site, the bivariate plot for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he saturation iso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shows a rough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of major and minor elements analyses.

  • PDF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Prunus mume, Rosa spp. and Rosa rugosa (매화, 장미 및 해당화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10-110
    • /
    • 2020
  • 꽃을 우려내어 차로 마시는 꽃차(flower tea)는 꽃이 가진 색과 향, 맛과 모양을 즐길 수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화(Prunus mume), 장미(Rosa spp.), 그리고 해당화(Rosa rugosa) 등 3종의 장미과 식물의 꽃차의 향기 성분 특성을 구명코자 꽃차를 headspace vial에 담은 후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성분은 deconvolution 과정을 수행한 후 NIST masss spectral librar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매화꽃차에서는 총 58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benzaldehye와 nonane, 그리고 phenylmethanol이 주요 구성 성분으로 검출된 전체 휘발성 성분의 각각 64.7%, 16.1% 및 4.7%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미 꽃차의 경우 검출된 35종 중 주요 구성 성분은 nonane과 2-phenylethanol, 그리고 phenylmethanol로서 각각 전체 성분 중 54.0%, 18.0% 및 4.6%를 구성하고 있었다. 해당화 꽃차의 경우는 장미 꽃차와 동일하게 2-phenylethanol(62.2%)과 nonane(20.1%)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2 성분의 합이 전체 43개 휘발성 성분의 8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매화, 장미, 해당화 등 장미과 식물 3종의 꽃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휘발성 성분은 앞서 각 꽃차 종류별 주요 성분으로 언급된 4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19종이었으며 매화꽃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29종으로 장미꽃차(6종)와 해당화 꽃차(8종)보다 향기성분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eling for the Prediction of Liquid Food Density (액체식품의 밀도예측을 위한 모델링)

  • Choi, Yong-He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0 no.2
    • /
    • pp.133-139
    • /
    • 1988
  • For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mathermatical model to predict the density of liquid foods based on temperature and composition of each major component, the major components of liquid food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water, protein, fat, carbohydrate, fiber and ash. These samples were subdivided into sixteen pure components. The density of each sample was measured by a volumetric pycnometer at the temperature range of $0^{\circ}C\;to\;100^{\circ}C$ for three different solid content suspensions, The density values of pure component solids were calculated from the assumed model at given temperature, using the experimental values of three different solid content suspensions with known water fraction and density model of water. Using these calculated density data at the temperature range of $0^{\circ}C\;to\;100^{\circ}C$, the coefficients of ther density model for each pure component were determined by the OPT Subroutine Program. The density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density values of liquid foods at given temperature and composition.

  • PDF

Input Variable Selection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Mutual Information Estimation (주요성분분석과 상호정보 추정에 의한 입력변수선택)

  • Jo, Yong-Hyeon;Hong,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75-1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주요성분분석과 상호정보 추정을 조합한 입력변수선택 기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주요성분분석은 2차원 통계성을 이용하여 입력변수 간의 독립성을 찾기 위함이고, 상호정보의 추정은 적응적 분할을 이용하여 입력변수의 확률밀도함수를 계산함으로써 변수상호간의 종속성을 좀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제안된 기법을 인위적으로 제시된 각 500개의 샘플을 가지는 6개의 독립신호와 1개의 종속신호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빠르고 정확한 변수의 선택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and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by Headspace SPME (SPME법에 의한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잎과 열매의 향기성분 분석)

  • Cho, Min-Gu;Kim, Hui;Chae, Young-Am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1 no.1
    • /
    • pp.40-45
    • /
    • 2003
  • Volatile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of Z. schinjfolium and Z. piperitum were analyzed by Headspace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 Fifty two and 48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repectively, were identified in Z. schinifolium. (E)-2-hexenal, ${\alpha}-pinene$, (Z)-ocimene+limonene, estragole, germacrene-d were detected at common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estragole in the fruits of Z. schinjfolium. Regardless of collection sites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were appeared in the leaves while undecanone in the fruits. Thirty and 27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in Z. piperitum. ${\alpha}-pinene,\;{\beta}-phellandrene$, 1,8-cineole, citronellal and myrc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were appeared as common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collected from Baeck-yang-sa and Nae-jang-sa. (Z)-3-hexenol, (E)-2-hexenal, ${\alpha}-pinene\;myrcene\;and\;{\beta}-phellandr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were major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from Tong-do-sa.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Cryptomeria japonica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정유성분의 화학적구성과 항균효과)

  • Oh, Seo-Jin;Kim, Hong-Jun;Kim, Jong-Mun;Ju, Young-Sung;Jeong, Seung-Il;Na, Seung-You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19 no.3 s.31
    • /
    • pp.68-74
    • /
    • 2006
  • 목적 :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로부터 얻은 정유의 구성과 구강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작용을 연구하였다. 방법 : 정유의 화학적조성은 GC 와 GC-MS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정유와 그 주성분에 대한 구강박테리아 15균주의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결과 : 정유의 95.82%에 해당하는 68복합체를 증명할 수 있었다. 정유의 주요성분은 ${\alpha}-pinene$ (6.07%), sabinene (8.86%), limonene (3.43%), ${\gamma}-cadinol$ (4.28%), ${\beta}-eudesmol$ (3.90%), and 10(15)-cadien-4-ol (7.16%)이었다. 삼나무의 주요성분은 거의 모든 박테리아에 대하여 MICs, 0.025 to 0.05 mg/ml; MBCs, 0.025 to 0.1 mg/ml에서 유의성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주요성분 또한 다양한 성장억제를 나타내었다. 결론 : 삼나무의 정유는 다종의 화학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다종의 구강박테리아에 대해 항균작용을 갖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