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산기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베도라치(Enedrias nebulosus)의 연령, 성장 및 산란 (Age, Growth and Spawning of Enedrias nebulosus)

  • 강용주;김영혜;김원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1-196
    • /
    • 1996
  • 부산 가덕도 연안에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채집한 베도라치의 연령, 성장 및 산란을 조사하였다. 연령형질은 이석을 사용하였고, 윤문은 투명대에서 불투명대로 이행하는 경계로 하였다. 윤문 형성시기는 12월이었고, 년 1회 형성되었다. 산란기는 11월에서 12월로 추정되었고, 주산란기는 12월이었다. 따라서 초륜이 형성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1.0년 으로 추정되었다. 베도라치의 성장식은 $L_t=33.64(1-e^{-0.1357(t+2.6853)})$, $W_t=414.11(1-e^{-0.1357(t+2.6853)})^{3.9745}$ 이었다.

  • PDF

한국 서남해 민어(Miichthys miiuy)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 이승환;정상덕;유준택;김영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민어의 이석을 이용하여 민어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민어의 이석은 2015년 8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서해 남부 연안에서 안강망으로 어획되어 양육된 것으로 총 339개체 중,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327미였다. 연령은 민어는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지점을 윤문으로 간주하였으며, 윤문형성시기는 3~6월(주형성시기 6월), 산란기는 9~10월 (주산란기 9월)로 추정되어 초륜이 형성되기까지의 기간은 0.75년으로 나타났다. 최고 연령은 암컷 11세, 수컷 9세로 추정되었으며, 윤문이 형성될 시기의 평균 전장을 바탕으로 비선형 회귀방법으로 추정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182.4(1-e^{-0.067(t+1.754)})$($R^2=0.96$)이었다.

박과류 검은점뿌리썩음병의 발생분포 및 분리병원균의 병원성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Monosporascus Root Rot and Pathogenicity of Monosporascus cannonballus on Cucurbitaceae Plants)

  • 허노열;류경열;현익화;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11-15
    • /
    • 2001
  • 최근 박과류 재배 주산단지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검은점뿌리썩음병의 방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지역적인 발생분포와 발생소장을 조사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Monosporascus cannonballus 에 의한 검은점뿌리썩음병은 멜론, 참외, 수박 및 오이에서 발생하였으며, 발생포장 수는 \\`97년 10개 포장에서 \\`98년 32개 포장으로 확대되었고, 발생지역은 김해, 진주, 남해, 광양, 광주, 여주, 이천 등이었다. 경남 남해 멜론 재배포장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생육중기까지는 발병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과실 성숙기에 급격히 발병이 증가하여 50%이상의 식물체 덩굴이 시들어 고사하였다. 시들은 증상을 나타내는 기주에서 M. cannonballus의 분리비율은 36.7%이었고,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도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물한천 시험관법에 의한 박과류 유묘에 대한 병원성은 접종후 7∼14일 사이에 대부분의 식물체가 시들고 21일후에는 뿌리에 자낭각이 형성되었다. 특히 오이품종 중에서 백봉과 은화는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Bond Coat의 산화가 Thermal Barrier Coating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xidation of Bond Coat on Failure of Thermal Barrier Coating)

  • 최동구;최함메;강병성;최원경;최시경;김재철;박영규;김길무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8-94
    • /
    • 1997
  • 플라즈마 용사법(plasma spray method)으로 제작된 상용 가스 터빈 연소기의 finned segment의 열차폐용 코팅계, ZrO2-8wt%Y2O3 top coat/Ni-26Cr-5Al-0.5Y bond coat/Hastelloy X superalloy 기판에서 NiCrAlY bond coat의 산화 거동과 열피로 파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성된 bond coat의 주산화물은 NiO, CrO2, Al2O3였다. ZrO2/bond coat계면에서 생성된 산화물의 분포는 고온에서의 사용 전에 이 계면 아래에 얇은 층의 Al2O3가없는 곳에서는 NiO 산화층 및에 Cr2O3와 Al2O3가 혼합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열피로에 의해 박리된 시편의 파면을 관찰한 결과, 파괴는 주로 ZrO2/산화층 계면보다 세라믹층내로 약간 치우쳐서 일어나지만, 산화층 내에서도 약간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추 탄저병의 발병 생태 특성 (Occurr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Anthracnose)

  • 권천섭;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120-123
    • /
    • 2002
  • 고추 탄저병 발생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북부 지방의 예천, 안동, 의성, 청송, 영양, 봉화 등 6개 시군 고추 주산지에서 포장 조사한 결과, 본포에서 6월부터 발병이 시작되어 9월 중순에는 약 30%로 급증하였다. 고추 탄저병이 인접과실로 전염하는 데는 보통 2-3일이 소요되었으며, 5-7일 후에 만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실에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대부분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였다. 고추 탄저병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이병 잔재물과 연작에 의한 1차 전염원의 증가, 생육기의 강우일수와 그 지속기간 등 기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병 잔재물의 월동전 처리와 타 작물과의 윤작, 비가림 재배, 예방 위주의 약제 살포가 필요하다고 본다.

경상북도 재첩자원 분포 및 생태 조사 1.경상북도산 재첩선(Corbicula) 이매패류 (Distribution and Ecology of Genus Corbicula in the North Kyungsang Province I.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Genus Corbicula in the North Kyungsang Province)

  • 주문규;변경숙;장명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81-592
    • /
    • 1998
  • 경상북도에서 채집된 재첩은 일본재첩 C. japonica, 참재첩 C. leana, 엷은 재첩 C. papyracea 등 3종으로 동정되었다. 채집된 일본재첩 C. japonica 의 최대크기는 각장 42.6mm, 각고 35.4mm, 각폭 22.3mm로, 자웅이체 난생종이었다. 성숙하면 난소는 회흑색, 정소는 유백색으로 육안으로 쉽게 암수 구별이 가능하며, 주산란기는 7~8월로,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모포전, 포항시 연일읍 생지리 현산강, 포항시 흥해읍 곡강동 곡강천,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송천강,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 반변천 등 5개 장소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재첩 C. leana 의 최대크기는 각장 35.2mm, 각고 30.4mm, 각폭18.5mm로 전체 모양은 정삼각형에 가깝다. 자웅동체로 난소와 정소의 색 모두 유백색이어서 육안적으로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주 산란기는 7~8월로 일반적으로 웅성선숙 경향을 보이며 유패는 모체 아가미에서 D상 자패(D-shaped larva)까지 보육되다가 모체에서 떨어져나와 바로 저서생활로 들어가는 난태생종이다.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모포천, 울진군 온정면 평해리 남대천, 영주시 단상면 옥대리 죽계천,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하고천, 영천시 화남면 삼창리 선원천 등 5개소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엷은 재첩 C. papyracea 의 최대크기는 각장 15.2mm 각고 12.0mm 각폭 7.4mm의 소형종으로 옅은 황갈색에 녹색이 강한 편이다. 타 종에 비하여 각폭이 작고 성장맥은 가늘고 폭이 좁으며 매우 치밀하다. 안동에서만 10개체 채집되었을 정도로 분포가 제한되어 있는 종으로, 유패는 모체 아가미에서 D상 자패기(D-shaped larva)까지 보육되다가 모체에서 떨어져 나와 바로 저서생활로 들어가는 난태생종이다.

  • PDF

단감 '부유'의 경제적 가치 분석 (An Analysis on the Economic Value of 'Fuyu' Sweet Persimmon)

  • 최재혁;김영애;박길석;조현지;최성태;조용조;이상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225-234
    • /
    • 2016
  • 본 연구는 '부유' 단감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해 최근 9년간의 단감 '부유'주산지 소득조사 원시자료(707농가)와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한 47농가의 자료를 이용하여 kg당 수취가격, 투입비용, 주당 수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단감 '부유'의 손익분기수령은 성장기 8수령과 쇠퇴기 85수령으로 분석되어 단감 '부유'의 경제적 갱신 한계 수령은 85수령으로 나타났다. 주당 수량은 65수령을 전후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내용연수 85수령을 기준으로 한 단감 '부유'의 주당 경제적 가치는 수익접근법에 의해 10,488천원, 비용접근법에 의해 9,249천원으로 분석되었다.

의암호 말조개, Unio douglasiae (Unionidae)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Unionidae) in Lake Uiam)

  • 송미영;임지례;이완옥;김성태;김대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1-178
    • /
    • 2015
  • 의암호에 서식하고 있는 말조개의 성장과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상대성장식,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와 군성숙도의 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R^2$) 는 0.814-0.94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말조개의 생식소는 소화맹낭의 주변부와 족부로 연결되는 망상결체조직에 분포하며 자웅이체로, 성숙한 난과 정자는 수관을 통해 아가미 반새에서 수정되어 수정란을 아가미의 보육낭에서 부화시켜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서식 지역의 월별 평균수온은 $3.9-25.9^{\circ}C$ 범위였다. 월별 비만도는 0.16-0.22 범위로 하계인 8월-9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10월부터 증가하여 11월과 1월에 0.22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1.3-31.4%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식소지수는 0.00-4.00 범위를 나타내었고, 4월-7월까지 정점을 보인 후 8월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 (11-1월), 성장기 (2-3월), 성숙기 (2-5월), 산란기 (4-9월), 회복기 (8-12월)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의암호산 말조개의 산란기는 4-9월 (주산란기 4-7월) 이였으며, 군성숙 각장은 29.4 mm였다.

농어목 어류, Caesio diagramma 암컷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in Female Fusilier, Caesio diagramma)

  • 최철영;장영진;죽촌명양;고야화칙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3-81
    • /
    • 1996
  • 농어목 어류인 Caesio diagramma의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은 염색인기, 주변인기, 유구기, 제1차 난황구기, 제2차 난황구기 및 제3차 난황구기의 6단계로 구분되었다.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는 연중 관찰되었으며, 난모세포 발달과정에서의 특징은 난소 내에서 유구가 초기에 형성되며, PAS 염색 결과 난황포는 타어류에 비하여 크기가 작았고 양도 적었다. 4월에 채집된 어류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5\~6$월의 난소에서는 제3차 난황구기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연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이 시기부터 난소의 일부에서는 배란을 마친 여포와 퇴화중인 난모세포도 다수 관찰되었으며, 7월까지 이어졌다. 9월 이후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2월까지 염색인기 및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주류를 이루었다. 생식소중량지수(GSI)와 간중량지수(HSI)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6$월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GSI와 HSI의 변화는 난모세포의 발달과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C. diagramma의 주산란기는 $5\~6$월이며, 난소의 발달과정과 여러 형태의 여포가 존재하는 점으로 미루어, 본 종은 비동기발달형의 난소를 가지며 다회산란 어류에 속한다.

  • PDF

Sentinel-1 및 UAV 영상을 활용한 김제시 벼 재배 조기 추정 (Early Estimation of Rice Cultivation in Gimje-si Using Sentinel-1 and UAV Imagery)

  • 이경도;김숙경;안호용;소규호;나상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03-514
    • /
    • 2021
  • 쌀 수급 조절 정책의 합리적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벼 재배면적의 조기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벼 주산지인 김제시를 대상으로 Sentinel-1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이앙이 마무리되는 7월 초순 벼 재배면적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해 최적의 훈련자료 수집을 위한 무인기(UAV) 영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5월부터 7월 초까지 수집한 Sentinel-1 위성영상은 ESA에서 제공하는 SNAP(SeNtinel application platform, Version 8.0)프로그램으로 전처리하고 팜맵을 활용하여 농경지만을 추출하였다. 벼 재배지 중심 지역과 벼·콩 혼재지 무인기 영상 촬영 영역을 혼합하여 훈련자료로 선정하여 김제시 전체 벼 재배지를 추정한 결과, 정확도와 카파 계수는 각각 89.9%, 0.774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김제시 전역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분류한 결과와 비교 시 전체 정확도 1% 내외, 카파 계수 0.02~0.04 범위에서 차이를 보여 벼 재배지 조기 추정을 위한 무인기 영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