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관적 시간

Search Result 72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act of the Varying Estimation Period on Subjective Video Quality Evaluation for IPTV Service (IPTV에서 평가주기 변화가 주관적 영상 화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a, Sang-Yong;Kim, Chin-Chol;Jung, Woon-Young;Choi, Jae-young;Roh, Byeong-He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4B
    • /
    • pp.314-321
    • /
    • 2011
  •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standardization works to measure subjective video quality. However, these standardization methods are based on the situation where they have original or reference video sequences, and measure the video quality by looking the sequence during short time duration, e.g. 10 seconds. Since people's TV watching time durations in IPTV services are very long (e.g. more than 30 minutes), the quality measurements by the standards are not practical.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video quality rating period to MOS (Mean Opinion Score), and suggest a proper rating duration of subjective video quality for IPTV services.

A study on acoustical environment of classrooms (강의실 내 음환경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Kim Yong-Ma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01-50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건축공간에 있어서 음환경에 대한 관심이 놓아지면서 학교 건축물에 있어서 강의실내의 음환경을 측정하고, 학교건축물에 대한 음환경 기준을 확립하는 데에 기초자료와 필요한 제안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음환경 기준은 단순히 소음fp밸이나 잔향 시간과 같은 단순한 물리특성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강의실 내의 잔향시간, D, STI 등외 물리지표와 설문조사 등 주관적 평가를 통해 새로운 음환경 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리지표로는 TSP(Time-Streched-Pulse)신호를 사용하여 잔향시간과 D(Deutlichkeit), STI(Speech Transmission index)를 산출하였다. 강의실의 화자의 위치에서 1.5m 높이에 스피커를 놓고 청취자의 위치인 여섯 점에서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을 1.2m 높이에 놓고 마이크로폰으로 들어온 임펄스 응답을 측정하고, 강의실 내의 잔향시간과 D, STI를 산출하였다. 다음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앞에서 측정한 물리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관적 평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 PDF

Subjective Evaluation on Image Quality of Stereoscopic 3DTV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3DTV의 주관적 화질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

  • Lee, Ho-Dong;Park,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333-33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3DTV에 대한 효율적인 주관적 화질평가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3DTV의 주관적 화질평가는 시각피로나 신체적 불편감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평가하여 사용자가3D 영상물을 관람할 때 이들을 최소화하면서 컨텐츠 제공자가 의도한 입체 깊이를 시청자가 지각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주관적 화질평가를 위해 적절한 깊이감을 갖는 카메라기반의 실영상과 컴퓨터 그래픽 기반의 3D컨텐츠를 사용하였다. 설문은 디스플레이 자체와 3D컨텐츠에 대한 화질평가 구분을 하고, 전문가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관적 평가에 앞서 평가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Random-dot Stereogram을 이용하여 개인별 입체시 평가를 하였다. 일반인들의 경우 전문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응답편차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설문응답 경향은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전문가 그룹의 주관적 평가 결과를 적절히 반영하고 일반인들의 응답편차를 줄임으로써 3DTV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seeking Behaviors of Elderly Using the Internet in the Community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 Song, Ji-Hyeon;Shin, Su-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
    • /
    • pp.321-3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level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behaviors. Subjects were 102 senior citizens who used the internet at least once in the last month and visited elderly community centers and welfare cent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5.0. Fifty five percent of subjects responded the average weekly internet usage hours was 'less than 3 hours', The e-health literacy (r=.349,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r=.466,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seeking behavior. Subjects' gender (β=.22, p=.012), type of disease (β=.23, p=.013)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β=.38,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seeking behavi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o improve of their health-seeking behaviors.

Visual Fatigue Study of Active Senior (액티브 시니어의 시각 피로도 연구)

  • Cho, Hyesuk;Na, Yoonhye;Sim, Youngbo;Lee, Jangwoo;Park, Kun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18-26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on visual fatigue between active seniors and young people, and to provide a guideline for appropriate computer use time for seniors. Blinking rate, maximal blinking interval, temperature of the ocular surface, visual fatigue questionnare were evaluated. The blinking rate, ocular surface temperature, visual fatigue showed significan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task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us, about 30-minute computer work appeared to be appropriate for seniors.

Development of an Automatic Speech Quality Evaluator for Analog Cellular System (아날로그 셀룰라 시스템을 위한 자동 음질 평가기 개발)

  • 박상욱;최용수;정성교;윤대희;이충용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7
    • /
    • pp.28-3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이동 전화 환경에서의, 객관적인 음질 평가 척도를 사용하 여 주관적 음질을 추정하는 이동전화 자동 음질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동전화의 통화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동전화의 네트워크를 계속하여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관적 음질 평가는 사람의 체감을 직접 나타내는 것이므로 실제적인 음질을 평가하는데 중 요한 척도가 되지만,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다양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음질을 평가하는데 부적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객관적 음질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음질 평가 척도를 예측하는 자동 음질 평가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반복된 실험을 통 하여 BSD(Bark Spectral Distance)가 주관적 음질 평가 척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 인하였으며 원래의 음성과 이동 전화 채널을 통과한 음성과의 BSD를 측정한 후 이를 바탕 으로 MOS(Mean Opinion Score)를 추정하는 자동 음질 평가 시스템(Automatic Speech Quality Evaluator)을 개발하였다.

  • PDF

Association of Sleep Percep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Sleep Variables in Insomnia Patients (불면증 환자의 수면인식과 객관적, 주관적 수면변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Yoon, Gahui;Oh, Seong Min;Seo, Min Cheol;Lee, Mi Hyun;Yoon, So Young;Lee, Yu Jin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8 no.2
    • /
    • pp.70-77
    • /
    • 2021
  • Objectives: Our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variables associated with subjective sleep perception.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nocturnal polysomnography (PSG) at the Center for Sleep and Chronobi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2018 to July 2019, 109 diagnosed with insomnia disorder based on DSM-5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nd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were completed.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variables of subjective total sleep time (subjective TST), subjective sleep onset latency (subjective SOL), subjective number of awakenings, morning feeling after awakening, and sleep discrepancy (subjective TST-objective TST) the morning after PSG.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sleep perception. Results: In patients with insomnia, subjective TS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ke After Sleep Onset (WASO) (p = 0.001) and N1 sleep (p = 0.039) parameters on polysomnography. Also,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QI (p < 0.001) and BDI (p = 0.014) scores. Sleep discrepan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QI score (p = 0.018). Morning feel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QI (p = 0.019) and BDI (p < 0.001) scores.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subjective sleep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PSG variables (WASO and N1 sleep) and with PSQI and BDI scores. In clinical practice, it is helpful to assess and manage insomnia patients in consideration of objective sleep variables,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depressed mood, which can influence subjective sleep perception.

Driver fatigue by oxygen concentrations in vehicle simulator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 산소농도에 따른 운전 피로감)

  • 전효정;민병찬;성은정;전광진;김태은;강인형;김승철;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22-126
    • /
    • 2001
  • 본 연구는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 정속(60∼80km/h)으로 2시간 도안 주행하는 동안 운전자의 주관적 피로감과 운전수행도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산소농도(18%, 21%, 30%)의 변화에 따른 운전 피로감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산소농도의 변화에 따른 주관적 피로감은 모든 산소 농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특히 저농도의 산소일 때가 다른 산소 조건들에 비해 높았고 고농도의 산소일 때 낮았다. 또한, 브레이크 반응 시간은 고농도의 산소일 때가 저농도의 산소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산소 조건에 따른 운전 피로감의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 PDF

Clothing Pressure Evaluation of Girdle and Waist Nipper and Related Wearing Conditions (거들 및 웨이스트니퍼 착용에 의한 의복압 평가 및 관련된 착용변인)

  • Lee, Heeran;Hong, Kyunghi;Kim, Yang Weon;Park, Se Ji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1
    • /
    • pp.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dequate clothing pressure of upper and lower body foundation garment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those compressive foundation depending on various wearing conditions. Eighteen women in their 30s and 40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for this study to evaluate the level of clothing pressure of girdle and waist nippe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wearing habits of foundation, one is the group of wearing foundation garment 'tightly' and the other is 'loosel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earing foundation garment 'loosely' was much more sensitive than the group of 'tightly' in everyday life. The adequate pressure of upper foundation, waist nipper was about $1.5{\pm}0.8$ kPa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body foundation, girdle.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level was higher when subjects are wearing waist nipper compared with wearing girdle. Therefore, precise pattern making process is necessary to meet the adequate level of pressure of the upper body foundation such as waist nipper, specially for those who used to wear clothing loosely.

  • PDF

Simulator Sickness and Autonomic Responses in dynamic Simulator (동적 시뮬레이터에서 Simulator Sickness와 자율신경계 반응)

  • 전효정;민병찬;김유나;전광진;오혜영;성은정;정순철;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13-319
    • /
    • 2001
  • 본 연구는 시뮬레이터 실험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Simulator Sickness(SS)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적 시뮬레이터에서 일정한 속도(60km/h)로 1시간 주행했을 때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SSQ)를 이용하여 주관적 Sickness를 평가하고 생리적 반응으로 심박 변동량(HRV)과 피부온도 및 피부저항을 측정하여 성별, Simulator 수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적 시뮬레이터에서 주행시 주관적인 Simulator Sickness는 안정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45분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여UT고, 여자와 sick군이 남자와 nonsick군에 비해 더 높았으며 sickness 수준간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났지만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리적 반응은 시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으나 안정에 비해 R-R 간격의 감소, (LF+MF)/total 및 (LF+MF)/HF의 증가로부터 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었으며 피부온도의 감소와 피부저항의 증가로부터 긴장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주행 50분 이후는 HF/total가 감소하여 부교감 신경의 작용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sickness수준에 따라서는 남녀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평균 R-R 간격에서만 sick군이 nonsick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