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관적 상대적 능력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Influenc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about Peers′ Relative Competency on Children′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또래의 상대적 능력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평가가 아동의 과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Hae Shin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3
    • /
    • pp.1-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또래와 함께 과제를 풀어 나가는 과정에서, 상호작용하는 아동들의 객관적인 상대적 능력과 주관적인 상대적 능력을 고려하여 이들이 아동의 과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이 자신보다 우수하거나 열등한 아동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며, 이들 상대방에 대해서 아동자신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또한 이러한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아동의 과제해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계가 상대방에 대한 친밀도와는 어떻게 관련지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6, 8, 10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서로에 대한 친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상대방의 능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하게 했다. 또한 하노이탑 과제를 사용하여 사전 검사, 처리, 사후 검사 단계를 통해 아동의 과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신보다 더 우수한 짝과 함께 공동 과제 해결을 한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사후검사에서 더 많은 향상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하였으나 이 가설은 기각되었고, 아동이 자신의 짝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할 때, 다시 말하면 자신보다 과제를 더 잘 풀어 나갈 것이라고 판단할 경우에만 과제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객관적으로 평가된 아동의 능력보다 아동 자신이 주관적으로 상대방의 능력에 대해 판단한 것이 더 의미있게 과제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Mi-J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9-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역량을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으로 설정하여 창업기업의 성과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최근 늘어나는 실업율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의 핵심대상군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청년창업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시장이나 사업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들이 실무적인 지원 및 실패에 대한 안전장치 없이 창업을 시작한다는데 있다. 하지만 창업교육을 통해 간접경험을 높이고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인 새로운 시각과 유연한 사고방식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실패에 대한 확률을 줄이고 혁신기업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은 더 높을 수 있다 하겠다. 최근 몇 년간 정부는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층에게 창업 초기자금을 지원하여 청년창업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이러한 지원들은 대부분 창업을 시작하는 초기단계에 집중이 되어있다. 창업은 그 성공률이 3~4% 남짓으로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래도 이러한 초기단계의 지원들은 청년들이 창업시장에 많은 참여를 할 수 있는 동인이 되고 있다. 또한, 청년들이 시장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사업화하며 혁신을 이루어가는 창업의 과정은 훗날 그들에게 훌륭한 경험과 경력이 될 것이다. 경험을 통한 자신의 경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는 개인의 삶과 업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청년들의 이러한 경험들은 우리사회에 지속으로 긍정적인 가능성을 만들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창업기업들이 성장을 위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력과 경험에 대한 활용을 높여야 하는 근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근거 도출을 위해 창업가의 경력에 대한 중요성과 업무능력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가설로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주관적 경력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첫째,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여 학문적 체계를 마련하고, 둘째,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 방법을 통해 찾아내어 창업지원정책의 평가시스템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PDF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as Providers and Users (제공자 및 사용자로서의 협력적 소비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 Hwang, Hyesun;Kim, Jee Hye;Kim, Ke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19-33
    • /
    • 2018
  • Collaborative consumption was suggested as a new paradigm of consumption and business model that focuses on sharing and using resources to reduce the risks of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Individual consumers carry out a role not only as users but also as provider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both as providers and users. The effects of perceived benefit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subjective norms and ease of participation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were analyzed. The perceptions on benefits and subjective norms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 perception on ease of participation was relatively low. The effects of subjective norms and ease of participation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were significant. The result shows that support from one's reference group and the perception on ease of particip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refor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developing a positive consumer attitude and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necessity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needed.

Influence of Oxygen Rate on Driver Fatigue During Simulated Driving (차량 시뮬레이터에서 산소농도에 따른 운전 피로감의 평가)

  • 성은정;민병찬;전효정;김승철;김철중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5 no.1
    • /
    • pp.71-78
    • /
    • 2002
  • Driving involves a series of complicated precesses requiring various human capacities, such as perception, will decision, and athletic functions. Consequently, it induces a high degree of continuous concentration of mind and tension from external stimulation, bringing fatigue to the driver, and driver fatigue is count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traffic accidents. Nevertheless, because of the complicated urban lives, traffic congestion, job characteristics, and so on, the drivers have to spend a longer time inside a vehicle, and the fatigue and stress thereof is almost unavoidable. We haute, therefore, turned our attention to the reduction in the fatigue during driving by supplying oxygen, and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drivers subjective fatigue evaluations and reaction time when oxygen is supplied in different rates.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the subjective fatigue feeling is highest at low-rate O/Sub 2/ supply (18%), and fatigue feeling was comparatively reduced at high-rate O/Sub 2/ (30%). The sleepiness also showed the tendency to be reduced at high-rate O/Sub 2/ supply in the case of driving for 1 hour or more. The time for reaction to braking after the sign for urgent stop is given tends to show more substantial reduction at high-rate O/Sub 2/ supply than at low-rate O/Sub 2/ supply after 2 hours driving. It can, therefore, be deduced from the aforesaid results that the subjective responses and behavioral reactions tend to show reduced fatigue at the condition of high-rate O/Sub 2/ supply. Hence, it was suggested that drivers felt subjective fatigue while driving at low-rate O/Sub 2/ and the subjective fatigue and reaction time were reduced at high-rate O/Sub 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oxygen supply will reduce driver fatigue.

  • PDF

The Consumer Skills of the Poor Farm Households' Homemakers in Korea (빈곤농가 주부의 소비자기능)

  • 최은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58-68
    • /
    • 1995
  • 본 연구는 경제적 자원의 결핍과 열악한 시장환경으로인해 소비의 효율성 발휘에 제약을 받고 있는 빈곤농가 주부의 소비자기능을 평가하고, 관련 변수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농촌지도 실무자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을 추천받아 농가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44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빈도분포,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최소유의차검증, 중분류분석 등의 결과 빈곤농가 주부의 소비자기능은 비빈곤농가 주부에 비해 낮았으며, 소비자기능은 주부의 학력과 연령, 가계관리자 유형, 주관적 관 리능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소비자기능의 하위영역별로 볼 때, 빈곤농가 주부는 지출비목별 예산수립, 정기적인 저축, 구매품목의 사전결정, 가격.상표.제조년월일의 확인, 사용방법.주의사항.보증내용의 확인, 영수증 확인 및 보관, 가계부기록.확인, 아프터서비스 요청 항목에서 모든 비빈곤농가 주부 보다 낮은 기능점수를 보였고, 인적정보 활용, 충분한 상점탐색 항목에서는 부분적으로 낮은 기능점수를 보였다.

  • PDF

Effect of Unmet Healthcare Needs on Quality of Life (미충족 의료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Lee, Jeong 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9
    • /
    • pp.283-29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and metrics related to quality of lif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by processing additional irradiated raw materials of the Korean Medical Panel. The metric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cluded six variables: athletic ability, self-care, daily activities, pain/trouble, uneasiness/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unmet healthcare need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ll six quality of life variables. A review of the magnitude of the linear regression β values for those variables showed that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variabl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ain/troubl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uneasiness/depression, daily activities, athletic ability, and self-care.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pplications related to strengthening working-level links between health and welfare is considered an effective policy response to the continued pres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such application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ith unmet healthcare needs.

Expansion of Opinion Mining based on Entity Association Network Model (개체연관망 모델에 의한 오피니언마이닝의 확장)

  • Kim, Keun-Hy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8D no.4
    • /
    • pp.237-244
    • /
    • 2011
  • Opinion Mining summarizes with classifying sensitive opinions of customers in huge online customer reviews for the attributes of products or services by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Because the customers represent their interests through subjective opinions as well as objective facts, the existing opinion mining techniques, which can analyze just the sensitive opinions, need to be expand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ovel entity association network model which expands the existing opinion mining techniques. The entity association model can not only represent positive and negative degree of the sensitive opinions, but also can represent the degree of the associations and relative importances between entitie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customer reviews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entity association network model. We recognized that the system can represent more abundant information than the existing opinion mining techniques.

A study on the process of thinking of development of text model (디자인 학습의 프로세스적 접근을 위한 TEX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사고과정을 중심으로-)

  • 이은주;류성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6
    • /
    • pp.113-122
    • /
    • 1996
  • ilesi gn is on process. j)esign is not a result, but a process, It requires organizatiun ui design process to ubtain the most efiectivc design. The urganizatiun of design process means to understand the inner ur outer problems. to cr-eate r-esonable process, and to hale ability of problem soiving, In this paper, we suggest lhal student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i 'discovering \ulcornerrOCeflB'. not 'd iscovered process'. _\ nd we also SUi(\{est text model of instructor with respeCl to the basic concept of creative ability and den]opmcnt of imagination ahality.

  • PDF

The Analysis on Promotion factors of Air Cargo Transportation in East-South Area (동남권 항공화물 활성화 요인 분석)

  • Song, Gye-Eui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6 no.2
    • /
    • pp.37-52
    • /
    • 2020
  • This study deals with the terms of three connection factors that promote air cargo transportation in the east-south area: a firm's subjective factors, industrial environment factors, and governmental policy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 firm's subjective factors (4.48) scored highest of the three promotion factors, followed by industrial environment factors (4.20) and government policy factors (3.88).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to air cargo transportation in the east-south area a firm's subjective factors (1) to procure concentrated market strategy and real market capacity, (2) to procure speedy satisfaction of customer needs and confidence, (3) to enhance aviation route development, and (4) to enhance business ability of airlines and forwarders. Next, air cargo transportation should be promoted in the east-south area by considering industrial environment factors and government policy factors.

정보사회에서의 경영문제

  • 전영준
    • Cement
    • /
    • s.40
    • /
    • pp.28-31
    • /
    • 1971
  • 정보사회에서 경영문제는 경영계획과 의사결정이 큰 비중을 갖는다. 이것은 경영조직과 관리체제와 관련해서 경영자의 전문적 지식과 능력이 크게 작용한다. 경영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범위는 넓다. 우선 경영 전반은 물론 경제학수학 통계학 및 컴퓨터학에 대해서 상당한 조예를 요한다. 우리는 경영활동분석에서 오류(error)가 존재할 가능성은 항상 있다. 오류에는 인위적인 오류와 기계적인 오류로 나누어지고 이중에는 불가피한 오류도 있다. 오류의 범위를 가능한 한 줄이는 문제와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과 평가가 문제이다. 평가기준은 언제나 상대적인 것이므로 경영자의 주관에 의하여 좌우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것은 조직과 관리의 양측면에서 체크해야 한다. 앞으로 전개될 정보사회에 대비해서 다음과 같은 제점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경영조직과 관리체제의 재편성. 둘째, 경영자와 실무자들의 자질향상. 세째, 경영자료의 독자적인 정비. 네째, 컴퓨터 시스팀의 도입. 다섯째, MIS의 도입. 여섯째, 분야별 전문가의 확보와 교육훈련. 일곱째, 정보검색 시스팀에 관한 연구개발. 여섯째, 프로그래밍 개발 등을 조속한 시일내에 착수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