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 건축물

Search Result 25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2004 한국건축문화대상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1 s.427
    • /
    • pp.18-32
    • /
    • 2004
  • 영예의 대통령상이 수여되는 한국건축문화대상의 대상이 올해부터 '비주거'와 '주거'로 나뉘어 확대, 시상한다. 그 첫번째 수혜자로 비주거부문은 김삭식 건축사(주.금성 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가 설계하고, (주)금호산업이 시공한 '광주광역시청사'가 주거부문에는 김종국(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건축사가 설계하고, 현대산업개발(주)이 시공한 '아이파크 삼성동'이 국내 준공건축물들을 대상으로 한 2004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영예의 대상으로 각각 선정됐다. 또 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는 KT여의도사옥 등 6작품이 본상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우수상 등 모두 22개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불이 - Architecture in NatureㆍNature in Architecture"를 주제로 공모한 일반 및 신인ㆍ학생 대상의 계획건축물부문에서는 박종대, 윤새봄, 김정희(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대학원 건축의장연구실)씨가 공동 출품한 'Plankton House'가 금상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은상 2팀, 동상 3팀 입선 22점 등 모두 28개 팀이 입상했다. 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에는 준공건축물부문 89점, 계획건축물부문 252점 등 총 341개 작품이 응모했다. 비주거 부문의 대상을 차지한 광주광역시청사는 "관 건물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하나의 문화 건물로 탈바꿈하려는 시도가 특히 돋보이는 작품으로 시공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성도가 우수한 작품"이란 평을 받았다. 또한 주거 부문의 아이파크 삼성동은 "아파트이면서도 주상복합의 이미지를 구현시키면서 판상형 형태에서 벗어나 탑상형 배치에 의한 낮은 건폐율 적용으로 친환경적인 단지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시공이 매우 우수한 작품"이란 평을 받았다. 한편 올해부터 우리나라 건축문화발전을 위해 기여한 건축인을 발굴해 시상하는 '올해의 건축인상'을 제정, 그 첫번째 수상자로 김석철 건축사(아키반건축도시연구원 건축사사무소)와 이창남 건축사(센구조 건축사사무소)가 선정되어 건설교통부장관상을 받았다. 시상식은 지난 11월 2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되어 대상의 비주거부문 수상작의 설계자인 김상식 건축사에게 대통령상 그리고 시공자인 (주)금호산업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 건축주인 광주광역시장에게는 국무총리상이 수여됐다. 또한 주거부문 수상작의 시공자인 현대산업개발(주)에게 대통령상 그리고 설계자인 김종국 건축사에게는 국무총리상, 건축주인 현대산업개발(주)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이 수여됐다. 또 KT 여의도빌딩 등 본상 6개 작품의 설계자 및 시공자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 등 정부포상이, 준공건축물부문 우수상 입상자 전원에게는 각각 대한건축사협회장상, 서울경제신문사장상이 수여됐다. 계획건축물부문의 금상 수상자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과 상금이 수여되었으며, 은상과 동상, 입선작은 대한건축사협회장상과 상금이 각각 수여됐다. 아울러 동상이상 수상자 중 영어 인터뷰심사를 거쳐 2명을 선발, ARCASIA 학생잼버리대회 파견 특전이 주어진다. 건설교통부와 대한건축사협회, (주)서울경제신문이 공동주최하고 대한주택공사 등 건설관련 5개 단체가 후원하는 한국건축문화대상은 올해로 13회째 개최되고 있다. 더욱이 올해에는 대통령상을 두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는 등 그 폭이 넓어져 수상자에게 더 큰 영예를 주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그동안 기성 건축인들의 창작의욕 고취는 물론 건축저변을 크게 확대하였다는 평과 아울러 우리 건축문화 창달에 기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은 명실공히 국내 건축인은 물론 일반 국민의 대표 건축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PDF

10월 건축허가 동향(잠정집계)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2 s.19
    • /
    • pp.89-90
    • /
    • 1991
  • 1. 전체 허가동향 ''91.10월중 건축허가면적은 잠정집계 결과 전년동기대비 $3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10$월 누계치는 $4.2\%$ 감소하였음. 이는 주거용 건축에서 전년대비 $59.9\%$ 감소한 것에 기인함. 2. 용도별 허가동향 $\circ$ 주거용 건축 ''91. 10월중 주거용 건축은 전년대비 $59.9\%$ 감소하였으며, $1\~10$월 누계치는 $6.4\%$ 감소하였음. (사유) 5개 신도시의 공동주택사업승인분 감소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주거용 건축물의 재건축을 제한한 9.4조치의 영향이 있었음. $\circ$ 상업용 건축 ''91.10월중 상업용 건축은 전년대비 $19.9\%$ 증가하였으며, $1\~10$월 누계치는 $6.5\%$ 감소를 나타냄. (사유) 건축제한조치가 10월부터 일부해제(수도권 이외로서 인구 30만 이하 도시의 일부 상업용 건축물)됨에 따라 상업용 건축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증가가 ''90. 10월에 건축제한조치로 인하여 허가면적이 대폭 감소된데 대한 상대적 증가로 나타남. $\circ$ 공업용 건축 ''91.10월중 공업용 건축은 전년대비 $3.0\%$ 증가하였으며, $1\~10$10월 누계치는 $5.5\%$증가로 나타남.

  • PDF

플로팅 건축물 상부공간에서 모듈러 설계 적용에 관한 연구 - 소규모 레저용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

  • Go, Min-Cheol;Song, S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28-430
    • /
    • 2012
  • 플로팅 건축물은 현장 시공에 제약 조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현장 시공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 시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듈러 설계를 플로팅 건축물 상부공간에 적용하기 위하여, 먼저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의 고려 사항을 검토하였고, 소규모 레저용 플로팅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모듈러 설계를 적용하는 방안을 시도하였다.

  • PDF

The Necessity and Direction for Restoration of Housing Function in Seoul's Central Commercial District -Comparison of Seoul's Historic Center and New York City's Manhattan- (서울 상업용도지역 내 주거 기능 회복의 필요성과 방향 -서울 역사도심과 뉴욕 맨해튼을 중심으로-)

  • Lee, Youn-Kyung;Lee, Kyung-Min;Choi, Won-Woo;Shin, Jung Ho;Kim, Do-N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693-70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blems of urban ecosystem imbalance in Seoul and the need to restore housing func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Manhattan, New York, which grew earlier than Seoul and has been striving to solve urban problems and restore urban ecosystems. The residential status in urban commercial use areas was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the total amount of residential spac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residential building, and distribu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space in Seoul's historic city center is biased toward commercial roads, and there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high- and high-density mixed-use buildings suitable for urban dwellings compared to Manhattan'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mplex building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of Seoul is located adjacent to the outskirts of the target site. In conclusion, Seoul's historical city center does not provide an appropriate residential space for creating an urban eco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restore housing functions.

서울시 주거 지역 용도 현실화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36
    • /
    • pp.82-82
    • /
    • 1971
  • 서울시에서는 시가지가 확산되고, 간선 도로를 따라 건축물이 들어섬에 따라 용도지역 변경을 해서 건축허가등의 제약을 현실화했다고 한다. 이번 용도변경된 지역은 모두 주거지역때 대지면적의 60%까지 건축하던 것을 70%까지 건축할 수 있고, 점포전용 건물신축이 가능해 졌으며,40개 모선상업지역을 도로경계선에서 양쪽 12m까지 상업지역과 똑같은 용도로 대지를 쓸수 있게 됐다. 이번 용도지역변경 된 곳은 아래와 같다.

  • PDF

현장탐방 - 강북지역 한강변 랜드마크로 주목받는 초고층 주거시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98
    • /
    • pp.56-65
    • /
    • 2015
  • 1970년대 고급 아파트촌의 대명사로 불리웠던 동부이촌동이 강북지역 한강변 초고층 주거시설의 랜드마크로 또한번 새롭게 변신한다. 지상 56층, 42층, 36층 총 3개동으로 구성된 초고층 주거시설이 오는 8월 1일부터 입주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 아파트는 당분간 건립되기 힘든, 강북에서 가장 높은 초고층 주거시설로 지난 2013년 4월 서울시가 한강변 건축물 높이를 35층으로 제한하기 전인 2009년 사업시행 인가를 받았다. 한강이 내려다 보이고 인근에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가족공원, 한강공원 등 대형 공원이 있는데다 강남권, 강북권, 강서권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 한강변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특화된 커뮤니티 시설과 함께 친환경 건축물 최우수 등급, 에너지효율 1등급, 초고속 정보통신 특등급 인증 획득을 목표로 최고의 주거성능등급 아파트 시공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본지는 준공준비에 여념이 없는 이촌동 렉스아파트 재건축 현장에서 삼성물산 권진학 현장소장과 (주)우진아이엔에스(대표 홍평우 손광근) 김동원 현장소장을 만났다.

  • PDF

Representa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Residential Building Types by using the Dasymetric Mapping in Seoul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 Lee, Sukjoon;Lee, Sang Wook;Hong, Bo Yeong;Eom, Hongmin;Shin, Hyu-Seok;Kim, Kyung-M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3
    • /
    • pp.89-9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idential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Korea more precisely through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Dasymetric mapping can be defined as a mapping method to calculate details from truncated spatial distribution of main statistical data by using ancillary data which is spatial data related to the main data. In this research, there are two types of data used for dasymetric mapping: the population data (2010) based on a output area survey in Seoul as the main data and the building footprint data including register information as ancillary spatial data. Using the binary method, it extracts residential buildings as actual areas where residents do live in. After that, the regression method is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s on population density by considering the building types and their gross floor areas. Finally, it can be reproduced three-dimensional density of residential population and drew a detailed dasymetric map. As a result, this allows to extract a more realistic calculating model of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raw a more accurate map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researches concerning regional popul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