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속성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원시$\cdot$고대의 노시설과 주거구조와의 상관성 연구 -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Furnace and Housing structure - Focusing on The Honam Area -)

  • 이민석
    • 고문화
    • /
    • 62호
    • /
    • pp.29-58
    • /
    • 2003
  • 노지는 인류가 불을 사용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물로서, 노시설은 난방, 취사, 그리고 조명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노시설은 주거내부의 가장 중요한 시설물로 신석기시대의 수혈 주거지에 본격적으로 채용된다. 수혈주거지는 그 전통과 구조적인 속성이 큰 변화없이 삼국시대까지 지속되면서도 노시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세부구조에서 점진적인 변화발전상을 띠게 된다. 노시설의 유형은 공간적인 위치에 따라 내부노, 외부노, 야외노, 이동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축조재료 및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노시설중 원삼국시대에 보편적으로 채용되는 부뚜막식은 취사에서 터널식은 난방에서 획기적인 발전단계를 상정할 수 있으며, 주거지의 구조 및 내부공간 이용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노시설과 함께 주거지의 평면, 규모, 수혈깊이, 상면처리, 벽처리 등 다양한 구조적인 요소들은 노시설의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변화${\cdot}$발전한다. 내부노는 위치와 배치형태, 그리고 주요 노시설의 채용여부에 따라 다섯가지의 배치유형$(I\~V)$를 띠며, 대체로 I형에서 V형으로 변화상이 확인된다. 이를 통하여 당시 주거공간의 이용형태 및 사회적인 측면도 검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미국 노인보호주택 거주자들의 '집'으로서의 속성에 관한 사례 연구 (Residents' Awareness of Assisted Living Facility(ALF) as a 'Home': Cases of Virginia, U.S.A.)

  • 김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4호
    • /
    • pp.67-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using attributes that make residents feel 'at home' in ALFs in Southwest Virginia. For this purpose, residents' needs, experiences, and opin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s such as policies and programs of ALFs were identified. As a multi-case study, five ALFs in Southwest Virginia were studi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of data analysis. In addition to face-to-face interviews with 25 residents and 5 administrators of five ALFs,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personal journal. Each facility was designed to be a single-family house or multi-family dwelling in outside appearance.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dwelling as a 'home' in terms of homelike attributes such as 'autonomy/ privacy', personalization,' safety and security,' services and care,' independence,' social interaction/friendship,' family support,' and 'rules and regulations.' In spite of high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 however, many people did not think of their current dwelling as a real 'home'. A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living in their own homes and living in the ALF, people feinted out a lack of independence and social interaction. Residents of ALFs may have reordered their priorities in their current life situation so that safety, security, and caie were more important to them than fooling "at home."

다속성 빅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1인 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xtraction of Useful Information from Big dataset of Multi-attributes - Focus on Single Household in Seoul -)

  • 최정민;김건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59-72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a data-mining analysis method for examining variable multi-attribute big-data, which is considered to be more applicable in social science using a Correspondence Analysis of variables obtained by AIC model selection.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on the Seoul Survey from 2005 to 2010 in order to extract interesting rules or patterns on characteristics of single household. The results found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illu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iciently able to apply on a big dataset of huge categorical multi attributes variables. Secondly, as a result of Seoul Survey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more dissatisfi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 tendency of residential mobility in single household. Thirdly,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single househol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 was different from recognition of home and partner of counselling by the three types of single households. Fourthly, this paper extracted eight significant variables with a spatial aggregated dataset which are highly correlated to the ratio of occupancy of single household in 25 Seoul Municipals, and to conclude, it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of single households and their demographic statistics based on the six divided groups obtained by Cluster Analysis.

감성유형에 따른 주거 실내디자인요소 적용방안 (A Study on Applications of Housing Interior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Type)

  • 박지민;박은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65-1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pplication elements of housing interior design according to user-oriented sensibility types. The sensibilit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arget the general user 118 people using the sensibility evaluation tool for housing interior spa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To produce the 'cozy' space, the colors and materials giving soft and natural feeling should be used. For the 'practical' space, type of ceiling and window that give the visually open feeling, the user-oriented furniture arrangement that allows using the space efficiently. For the 'cheerful' space, the simple and natural effects should be produced by using closed space that stable. For the 'traditional' space, the natural fishing material having rough texture should be used. For the 'unique' space, the space contained the dynamic feeling by the diagonal or vertical line and the graphic expression in the wall. For the 'congenial' emotional space, basic is the symmetric, stable and simple space. On the other hand, for the material, small size, natural texture or typical and soft materials should be used. For the 'sensuous' space, the dynamic and vertical sense of space should be expressed by the type of ceil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the space of 'gorgeous' sensibility, is the color.

광주시 주부의 개인 속성과 일상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aily Activity of Housewives in Kwangju City)

  • 김송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8
    • /
    • 1997
  • 본 논문은 여성의 취업 선호 현상으로 인한 사회 참여가 높아짐으로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과 일상 행동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 광역시에 거주하는 주부 132명의 평일, 토요일, 일요일에 나타나는 일상 행동 궤적을 조사하고, 이를 개인 속성과 관련시켜 고찰하였다. 일상 행동은 하루의 노동 행동과 여가 행동 및 수면을 중심으로 7개의 범주로 세분하였으며, 개인 속성은 연령, 취업정도, 교육정도, 가족수, 주거형, 거주지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개인 속성과 일상 행동의 관계는 취업 정도에 의해 평일과 토요일의 일상 행동에 대한 판별이 가능하였다. 둘째, 1주일의 일상 행동은 평일, 토요일, 일요일로 분류할 때, 토요일에 공간적 이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 속성과 통행수의 관계에서는 토요일 전업 취업 주부일수록 4회 이상의 다목적 통행을 나타냈다. 넷째, 주기수와 통행수의 관계는 주기가 빈번해질수록 다목적 통행을 나타내나, 1회 주기가 대부분이며 평일에 두드러졌다. 다섯째, 개인 속성과 행동 패턴의 관계는 평일과 주말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WH, LH, WLH LHLH 형을 나타냈다.

  • PDF

도시 거주자의 주생활 양식에 관한 연구 - 거주자 제속성 및 주거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Life-style of Urban residents)

  • 신소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37-4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using life-style shown in the modern housing life by dweling types and residents attributes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useful for the housing P3a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dws. Firstly. interrelation between residents attributes and housing life-style showed that the unedicated, the low income and the eldery were interested in utility. On the other hand, the educated. the upper income and the young generation were interested in decoration. Secondly those who had their own houses and never moved were interested inutility in terms of residents attributes Utility was showed high in all housing style in terms of before moving in house. Thirdly, those who wanted move and stay both interested in decoration and utility in terms of will of resident. It was also shown that those who wanted to move big cities were interested in increasing property. Fourthly, the housing life-style by dwelling type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abtain six elements such as 'decoration', 'display'. 'liking'. 'utility', 'increase of property', and 'hiearchic order' Based on the average by each type, it was shown that while a tendency toward utility was generally high, especially, the many-storied apartment was high for display.

  • PDF

'하우스노마드족'의 주거점유형태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zing the Impact for Housing Occupied Form of HouseNomad)

  • 윤진영;오종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55-963
    • /
    • 2014
  •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하우스노마드족'1은 2005년에 비해 70%이상 증가하였다. 하우스노마드족의 출현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하우스노마드족의 증가 원인에 대해 선험적인 논의는 많지만 아직까지 연구로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우스노마드족의 출현 및 증가원인을 가구의 주거소비행태 측면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1%자료와 다항로짓모델을 활용하였다. 다항로짓모델은 소비자의 선택에 위계와 순서가 없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분석결과 하우스노마드족은 주택속성으로 표현된 주거환경특성이 좋은 곳에 거주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 통근통행을 했고 주거이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 김수경;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181-190
    • /
    • 2019
  • 본 연구는 주택선택 속성과 정부정책이 주택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해서 주택시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한 분석의 주요 쟁점은 다양한 유형의 주택선택 속성과 정부정책간에 부동산 투자전망의 조절효과를 고려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선택 속성 중 편의성, 교육입지, 이웃수준은 주택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정책은 주택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셋째, 부동산 투자전망의 조절효과는 선택속성 중 이웃수준과 상호작용 변수가 주택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정부의 금융정책은 주택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서, 현실적으로 과도한 규제는 처음 주택 구매자에게 주거복지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선호도의 동기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주택시장에서의 실제 수요 변화를 적절히 기술하고 설명 할 수 있다.

전원주택의 출현과 입지적 특성 (Emergence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Exurban Housing)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3-193
    • /
    • 1999
  • 1990년대에 들어와 전원주택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했다. 대도시 주민의 전원지향 이주와 전원주택시장의 급성장을 초래한 사회경제적 배경은 소비주체의 생활양식 변화, 건설자본의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국가의 법적·제도적 지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실제로, 수도권지역에서 전원주택은 경관이 수려하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한강축, 접근성이 양호한 고속도로축, 일산 신도시에서 파주로 나아가는 북방축 등 세축을 따라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다. 그러므로 대도시 주민이 선호하는 전원주택의 주요 입지적 속성은 자연환경과 접근성이라 할 수 있다.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GIS 활용 연구 (GIS-based Study on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Slum Area)

  • 김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09-225
    • /
    • 2017
  • 대전시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 문제점 및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기반 커뮤니티매핑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지리정보 및 기타 속성을 지도화한 결과, 여성과 고령자가 중심지역에 밀집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2009년과 2016년의 자료비교를 통해 빈곤밀집지역이 다소 분산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실내외 모습을 담은 252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의미단위별 유목화, 범주화 작업을 실시, 주거환경문제를 미관-위생, 협소-주택기능미비, 안전-사생활노출, 낙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사진자료를 통한 커뮤니티매핑실시 결과 이 지역이 4곳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주택형태, 주거형성의 역사, 비빈곤지역과의 접촉면, 폐쇄와 개방 등의 특징으로 주거문제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실시, 구역별로 일자리참가여부, 이웃만족도, 낙인, 사회적 배제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가 사회적 배제에 가장 큰 요인임이 드러났다. GIS기반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있어서 구체적 접근과 문제별 대응이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