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설계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25초

BIM 설계 기술을 융합한 1인 주거공간디자인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in the One-Person Housing Space by Combining BIM Design Technology)

  • 김지은;박은수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2호
    • /
    • pp.101-112
    • /
    • 2019
  • 인간의 일상이 펼쳐지는 장소인 주거 공간은 크기에 상관없이 공간에 요구되는 역할 및 사항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주택 거주자의 수가 적을수록, 크기가 협소할수록 작은 공간 안에서도 모든 편의적 행위와 안락한 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세심한 고민과 디자인적 해결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에 최적화된 새로운 개념의 1인 맞춤형 주거공간디자인 설계안을 바탕으로 보다 실질적인 부분의 설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BIM의 장점을 활용한 융합 설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BIM 설계 기술 공법을 1인 주거 평면디자인에 적용하여 실내건축 설계의 적합성 검토 및 공간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공간 사용성 개선, 주거환경고려, 부재간섭 체크, 친환경 주거 시스템 적용, MEP 설계 항목에서 효용성 검증이 도출되었다. 이로써, 주거공간에서의 BIM 공간 설계는 다양한 공간디자인 요소를 실제 공간에 적용시키기 위해 2D화되어 있는 설계의 한계 및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인 1인 주거공간모델은 연구진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1인 주거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근거로 하여 고안된 순수창작물로서, BIM 기술에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설계의 가능성을 타진함에 그 의의가 있다.

효과적 고령자 주거 설계를 위한 IT와 건축 설계 기술의 융합 가능 방안 연구 (Research on Possible Method to Converge IT and Architectural Design Techniques for Efficient Design of Elderly Housing)

  • 배홍민;김병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87-93
    • /
    • 2016
  • 한국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증가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 설계 방식들도 고령자의 주거 환경 향상 및 행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모듈러 공법으로 전화되어가고 있으며 고령자들을 위한 다양한 IT 시스템들도 제안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고령자를 위한 주거설계 기법과 IT기술들의 배타적인 발전에서 벗어나 건축 설계 초기부터 IT 기술과의 융합적 건축 설계를 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며, 구체적으로 고령자 행동 및 주거 IT서비스 계획 요소 분석과 모듈러 주거 공법에서 IT서비스의 융합의 고려사항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스마트 홈 환경에서 통합적 환경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ing user interface for smart home server system)

  • 최지혜;정윤혜;이송희;서종훈;한탁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5-8
    • /
    • 2011
  • 스마트 스페이스들이 주거환경에 적용되면서 많은 주거환경들이 스마트 홈으로 구축이 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홈에서는 주거민의 편의성과 안락함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홈 환경에서 주거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User Interface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스마트 홈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홈 서버와 개인의 스마트 폰에서 동작하게 되며 이러한 각각의 환경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테스트를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와 정성적인 평가 결과에 대해서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