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생활

Search Result 99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Transition of Housing Facilities and the Technicalization of Housing Life : Content Analysis of Advertisements (아파트 광고를 통해 본 주거설비의 변화와 주거생활의 기술화)

  • Park, Jin-Hee;Eun, Nan-Soon;Jun, Nam-Il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4.11a
    • /
    • pp.289-29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nsition of housing facilities and the technicalization of the housing life through the newspaper advertisements between the 1970s' and 1990s'. The modernization on multi-family housing life since 1970s' was come true by functional equipments. Although the improvement on the material environments deteriorated the modernized life to the commercial uniformity.

  • PDF

주택협회, '주택시장발전방안 모색' 세미나 개최

  • Park, Jun-Hyeong
    • 주택과사람들
    • /
    • s.192
    • /
    • pp.80-83
    • /
    • 2006
  • 한국주택협회는 강원도 강촌 리조트에서 '주택시장 발전방안 모색' 이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했다. 지난 4월 6일 열린 이 워크숍에서 주택산업연구원 고철 원장이 국민의 주거 수준 향상을 위한 민간부분의 역할,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장영희 선임연구위원이 무주택 국민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에 대해 차례로 발표했다. 뒤를 이어 KDI 국제정책대학원 김정호 교수의 사회로 강팔문 본부장(건교부 주거복지본부), 김경환 교수(서강대), 남상오 사무총장(주거복지연대), 박환용 교수(경원대), 원현수 부사장(코오롱건설), 최영진 대표(중앙일보 조인스랜드)가 주제에 관한 열띤 토론을 했다.

  • PDF

Incongruence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Young Renters Living Independently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비수도권 지역에 독립 거주 중인 미혼 청년 가구의 월세 부담 및 거주성 비교 분석)

  • Hyunjeong Lee;Sangjun Na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1-22
    • /
    • 2024
  • This research explores the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young renters aged between 19 and 34 living independently in rental housing of non-Seoul Metropolitan Area (non-SMA)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of their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ies in two districts of non-SMA -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Using the 2020 Korean Housing Survey (KHS), this study identified 1,191 unmarried young renters, and most were single adults in mid-twenties who were salaried workers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Also, many lived in single-room occupancy of non-APT housing for less than 2 years and rarely relied on social servic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distinction of local housing market between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forced the former to spend more housing expense (tenancy deposit and rental fees) than the latter. With regard to housing affordability indices (Schwabe index, housing expense ratio and rent to income ratio), most were housing cost-burdened and nearly one quarter were severely rent-burdened.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housing affordability in both districts was positively affected by income increase and social services, and housing satisfaction in non-metropolises was added to its determinants. Further,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livelihood and urban infrastructure, and the two factors influenced residential assessment in both districts. Since young renters interdependently living had suffered with housing affordability, both income growth and housing assistance are critically required to enable them not just to reduce the burden but to ensure livability.

The Effect of Decline in Functional Ability on Relocation among the American Elderly aged 70 or older (노년기 생활기능 감소와 주거이동에 관한 연구 -미국의 7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 전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4 no.5
    • /
    • pp.117-1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al ability on relocation among the elderly. Longitudinal data from the Asset and Health Dynamics among the Oldest Old (1993, 1995) were analyzed for 6,225 respondents aged 70 or older. Among functional ability measures, difficulties in advanc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 e., making telephone calls, taking medications, and managing money), lower body activities (i. e., walking several blocks, climbing one flight of stairs, pulling or pushing large objects, and carrying over 10 pounds), and househol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 e., preparing hot meals and shopping for groceries) were the predictors of increased residential move. Difficulties in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i. e., bathing, dressing, getting in and out, and using the toilet) were strongly related to increased entrance into an institutional care facility. Efforts to enhance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setting should target the compensation of these functional difficulties.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