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문화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KT 홈네트워킹 사업 추진방향

  • 장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10
    • /
    • 2003
  • 메가패스(최고속인터넷)접속망 종단에 위치한 홈게이트웨이와 정보단말, 가전기기들을 유/무선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를 통한 기기간 데이터 공유, 제어 및 상호통신으로 고품격 주거문화를 형성, 고객의 생활 편의와 재산가치 상승을 제공하는 사업

  • PDF

The Transition of Housing Culture According to User's Behavior in the Kitchen (부엌 공간 사용 행태로 본 주거문화의 변화)

  • Kang Soon-Joo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3 no.3 s.75
    • /
    • pp.17-24
    • /
    • 2005
  •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sidents' behavior in using space, focusing on the kitchen area where there was the most chan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living culture through the ag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Today's apartment residents prefer 'Island' style which is located a separate counter and work space. Thus the kitchen m is now being recognized as a place spacious, and where the whole family can participate. 2) The usage of the kitchen is not only limited to cooking or keeping household goods but also broadened to washing, private life, happy home circle, inviting guests etc. Especially, family union or inviting guests in the kitchen is more frequent as the houses become larger, private refreshment or reading in the kitchen is proportional to income and to people living in homes where the kitchen and dining room is divided independent 3) Looking at the dietary life styles of today's apartment residents, there are more well-being type and tradition type than prosessed type. This trend is portional to the resident's standard of education and the size of the apartment, thus making a significant influence.

Validation of a Dwelling Depression Scale Based on Analysis of Projective Images (투사이미지 분석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척도 타당화 연구)

  • Lee, Yewon;Park, Chongwook;Woo, Sung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2
    • /
    • pp.1-7
    • /
    • 2018
  • As the living environment is regarded as a key factor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necessity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depression for the elderly has increased. In order to diagnose accurately, it is crucial to consider variables such a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In this study, 301 persons over 65 years old who live in single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over 65 years were surveyed from 1 January 2018 to 2 February to measure the dwelling depression by applying projective imag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welling depression and projective images are clarifi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evalu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eriatric dwelling depression index(GDDI) and the GDDI based on projective images(GDDI-I) are clarified. The accuracy of the GDDI-I is analyzed. As a result the projective image questionnaire has a correlation with the existing self-report questionnai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will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on psychological diagnoses using the projective method.

Analysis on the Importance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R (R을 활용한 주거환경 중요도 요소에 대한 분석)

  • Oh, Hyungjun;Choi, Youngoh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6 no.3
    • /
    • pp.209-217
    • /
    • 2020
  • Recently, interest in data analysis has increased, and convergence research through data analys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gineering,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various studies using data analysis are being conducted, and in particular, efforts are being mad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hat have been quantitatively expanded through the urban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data analysi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reas and similar neighborhood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performed. Through analysis using R for post-residential evaluation elements that are conducted after building construction and occupancy, important evaluation item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rules between each evaluation element and identifying the frequency of major requirements of residents. To grasp. Through this, we intend to conduct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IT and architecture field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recommend high-quality residential areas as well as providing data for securing high-quality residential spaces when constructing residential areas in the future.

韓屋

  • Gang, Min-Cheol
    • 주택과사람들
    • /
    • s.190
    • /
    • pp.90-97
    • /
    • 2006
  • 수천 년간 우리 민족의 영안을 위해 애써온 공존의 주거 문화 한옥. 온 가족이 오순도순 사는 삶의 터전인 한옥이 콘크리트 벽에 가로막혀 그 기운을 잃어가고 있다.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현대 한옥을 테마로 한옥 문화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안동 하회마을의 심원정사를 시작으로 양평의 상곡당 등 순차적으로 엮어낸다.

  • PDF

Social Cohe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in Seoul - Community Activities and Cultural Influences - (서울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의 사회적 결속력에 관한 연구 - 단지 내 커뮤니티 활동과 주거문화 특성을 중심으로 -)

  • Seo, Bokyo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5 no.2
    • /
    • pp.45-54
    • /
    • 2014
  • In line with the previous study on the level of social cohesiveness of public rental housing communities in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activities as a result of community cohesiveness and identified the cultural influences on the cohesiveness of the same case study areas. In general, there was relatively mor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activities in the housing estates with higher social cohesiveness. The four communities were active in reporting community problems to the housing managers, greatly relying on the housing managers to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mutual aid and community self-help were facilitated mainly through the activities of women's associations. However, small membership of community organisations and occasional disputes between the community organisations and estate managers, and among the community organisations themselves, seemed to have hamper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ocial cohesiveness in the case study areas. In terms of the cultural attributes, coexistence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consideration of neighbourliness as an ideal social norm, incorporation of the neighbourhood environment into the housing estate environment and extensive use of outdoor public spaces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