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좋은 학교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5초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SMK)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5-67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를 독려하기 위한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2001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좋은 수업 선정을 위한 평가 요소, 수업평가 시행을 위한 평가 기준, 내용 교수 지식에 관한 특징 등에 관한 연구들이 꾸준히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비교 분석하여 보다 정련된 수업평가 요소를 탐색해 봄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다만, 모든 영역을 전반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연구의 양이 방대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과 내용 지식에 해당하는 교사 지식 부문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과에서의 수학 수업평가의 기준이 되는 요소들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교과 내용 지식에 초점을 둔 이유는 건전하고 풍부한 내용 지식을 토대로 이를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이 학교 수학 수업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초.중등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 방정숙;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17-338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 수업을 알아보기 위해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48개 하위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223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151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영역을, 중등 교사는 교수 학습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부 요소 별로 살펴보면, 초 중등 교사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등 교사는 좋은 수학 수업과 관련된 23개 요소에 대해서 중등 교사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중등 교사는 수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동기 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의 2개 요소에 대해서만 초등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본연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원위지골 내연골종에 이차적으로 발생한 심수지 굴곡건의 견열손상 (Flexor Digitorum Avulsion Secondary to Enchondroma of the Distal Phalanx)

  • 문성훈;홍철기;이운상;박진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47-451
    • /
    • 2019
  • 원위지골의 내연골종에 이차적으로 발생한 심수지 굴곡건의 견열 손상은 매우 드문 손상으로 아직 국내에 보고된 증례는 없다. 내연 골종의 병적 골절에 대해서는 단순 소파술 후 주두돌기로부터 채취한 자가골을 이식하여 치료하였고, 견열 손상에 대해서는 끌어내기 봉합법을 통해 골편을 원위지골에 재부착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치료를 통해 골 유합과 좋은 기능적 결과를 얻게 되어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 (A Study on the Osan School and the Myeongdong School 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 강영택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141-17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민족학교였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 오늘날 마을교육공동체가 지향하는 본질과 방향을 검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두 학교는 국내외 민족독립운동의 거점이 된 명성 높은 기독교학교였다. 이 학교들이 억압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당시 시대적 사명이었던 민족교육을 충실히 수행하여 훌륭한 졸업생들을 배출할 수 있었던 데는 학교와 마을의 친밀한 협력관계로 형성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학교는 설립부터 마을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고, 학교는 좋은 교육의 기회나 문화행사가 있으면 마을주민들을 초청하였다. 학교는 주민들에게 학교의 모든 시설들을 열어주었고, 마을주민들은 학생들과 교사들을 보살핌으로 양측은 긴밀한 융합체를 이루었다.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학교와 마을은 자주와 평등이 기반이 되는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만들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오산학교와 명동학교가 마을과 가졌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오늘날 마을교육공동체가 보다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두 여성 학교상담사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Exploring the Narrative of Child Care Experience of Two Female School Counselors)

  • 최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97-2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사의 삶 속에서 자녀양육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자녀양육 경험의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8년 이상의 경력이 있고 학교상담사로 근무하며 자녀를 청소년 시기에 양육한 경험이 있는 두 명의 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인터뷰를 거쳐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이라고 지칭되는 시간성 사회성 장소에 집중하여 학교상담사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구성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상담사들은 원가족에게 양육 받은 경험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통찰" 하였다. 상담공부 후 훈육과 강압적인 태도로 양육한 것에 대해 "반성과 사과"의 과정을 거쳐, 자녀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충분히 좋은 양육자 되어가기"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체험적 통찰을 통해 "진정한 상담사로 거듭나기"로 변모해 가고 있었으며, 이는 "온전히 기능하는 나"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학교도서관 관계법령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The Problems in School Library Laws and Some Suggestions for Revision)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1-360
    • /
    • 2001
  • 학교도서관은 교사와 학생들의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전개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은 자료중심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자는 것이다. 자료중심교육은 학교도서관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는 문제이다. 모든 도서관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학교도서관은 정부의 제도적, 행정적인 뒷받침이 없으면 발전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동안 정부당국의 무관심과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에 거의 빈사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관계법령을 개정하여 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한다. 어떠한 제도나 조직의 발전은 결국 사람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보아야 한다. 아무리 좋은 법령을 만들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두어도 행정적인 지원과 뒷받침이 없으면 그 제도나 조직은 발전할 수 없다. 그 조직에 대한 관계기관의 애정어린 관심과 발전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

  • PDF

전문가 설문에 의한 초·중등학교의 정보윤리 학습요소 및 교수법 연구 (A Study about Learning Elements and Teaching Methods of Information Ethic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by Expert Survey)

  • 최현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59-26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정보윤리 교육을 위한 학습요소 및 교수법을 전문가 설문 방법으로 연구하여 제안하였다. 최근 인터넷이 생활의 새로운 장이 되었지만 올바른 인터넷 활용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은 초,중등학교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정보 교육이 실제 초,중등학교에 이루어지 위해 가장 우선해야 될 것은 바로 교육을 위한 학습요소의 선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설문을 통해 초,중등학교에서 교육해야 할 학습요소를 추출해 보았고, 이를 학교급별로 다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된 정보윤리 학습요소가 실제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가르쳐지기 위해 각 학습요소에 적합한 교수법을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윤리 학습요소와 교수법만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정보윤리를 가르칠 수는 없다. 하지만, 정보윤리 관련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실제 정보윤리 교과서를 제작하는 데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곽영순;김주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4-1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 실천의 장(場)이라 할 수 있는 수업에 초점을 두고, 숙련된 교사들의 구현하고 있는 좋은 과학과 수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학교교육 내실화는 교과교육 내실화를 전제로 하며, 교과교육 내실화는 단위 수업의 충실함을 그 핵으로 하고 있다. 좋은 수업으로 선정된 10개의 과학과 수업사례에 대하여 수업관찰, 교사면담, 학생면담, 수업관련 자료 수집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과학과 좋은 수업 사례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1)교과 내용 재구성, (2)수업 방법 측면, (3)평가 측면, (4)해당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측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좋은 수업을 실천하는 현장의 과학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과 상황에 따라 교과 내용을 적절하게 재구성하고, 다양한 수업전략과 방법을 활용할 줄 알며, 지적으로 도전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고, 평가 결과를 수업개선에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교사들의 스스로의 수업 개선의 차원을 넘어서서, 다양한 형태의 교과교육연구회에 소속되어 동료 교사들을 위한 수업장학과 교사 교육으로까지 활동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었다.

항암 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였던 전이성 췌장암 증례 (Extraordinary Response of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o Chemotherapy)

  • 신동우;김진국;이종찬;김재환;황진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22-25
    • /
    • 2019
  • 췌장암은 예후가 불량한 암으로 진단 당시 진행된 상태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지 못해 고식적 항암 치료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진단 당시 전이성 병변을 동반한 췌장암인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고식적 목적으로 항암치료를 한 결과 매우 좋은 반응을 보였던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학교급식이 초등학생의 식행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the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s o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 김무환;이경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36-64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이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ㆍ비교하여 초등학교에서의 바람직한 급식지도와 학교급식의 균형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식생활교육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초등학교 6학년생 425명 (남자 215명, 여자 210명)과 어머니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급식은 초등학생들에게 식사에 대해 바른 이해를 도모하며 편식교정에 효과적이고 간식 섭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학교급식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은 바람직한 식생활태도와 식사예절을 지니게 되었으며 아동의 식생활 위생 관리에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간식 섭취 (간식의 시기, 간식으로 적합한 식품의 선택과 적절한 양), 아침 식사 반드시 하기, 식사중 책이나 텔레비전 시청하지 않기, 어른이 드신 후 식사하기 등 가정에서의 식사와 관련이 큰 항목들에 있어서는 ‘급식 후에도 여전히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다른 항목에서보다 많아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며 특히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과 올바른 식사 방법 지도에서 학교급식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가정과 연계한 지속적인 지도가 있어야 하겠다. 학교급식이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아동성별간이나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라서는 단지 몇 항목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으나 아동과 어머니간에는 2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아동보다 어머니들이 학교급식이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이는 최근의 어머니들은 과거에 비해 아동의 식생활교육에 대해 학교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학교급식은 어릴 때부터 아동들의 잘못된 식행동을 바로 잡아 신체적, 정신적인 성장 발달의 정상화를 이루고 보다 좋은 식습관을 형성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장기 아동의 식생활 습관이 성인기의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앞으로 영양사 뿐 아니라 초등 교사들도 학교 급식을 하나의 교육활동으로 간주하여 보다 적극적 인 자세로 지도에 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연계한 지도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