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 복원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Inhibition Effect of Expansion of the Exotic Species caused by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생태적 하천복원이 가져온 외래종 억제 효과)

  • Lee, Chang-Seok;Cho, Y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30-1134
    • /
    • 2007
  • 콘크리트 호안블럭으로 처리된 하천의 제방 단면에 드릴로 구멍을 낸 후 하천변에 전형적으로 생육하는 갯버들과 버드나무를 도입하며 부분적 복원을 실행한 후 그 효과를 외래종 억제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복원 후 4년 경과 후 버드나무의 높이는 4cm 이상으로 자랐으나 갯버들의 높이는 2m 이내로 낮았다. 버드나무가 식재된 부분에서 외래종인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은 5% 이내로 낮았으나 갯버들이 식재된 지소에서는 20%수준을 유지하였다. 복원된 지소와 미복원 지소에서 수집된 식생자료를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양지소는 서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종 조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갯버들, 버드나무 및 단풍잎돼지풀의 지소별 출현 현황을 비교한 결과, 버드나무와 단풍잎돼지풀은 서로 대조적인 출현 추세를 보였지만 갯버들과 단풍잎돼지풀의 출현 현황은 그러한 경향이 약했다. 종 다양성은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천복원에서 큰키나무 도입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A Change of Vegetation 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Area of Simwon Valley in 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 Jung, Tae-Jun;Kim, Yeon-Gyeong;Kim, Young-Jin;Jung, Myung-Hee;Park, Kyoung-Hee;Shin, Chang-Keun;Park, Seung-hong;Kim, Young-S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3
    • /
    • pp.294-30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obtain basic data for systematic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onitoring results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Project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In 2017, when the restoration project was completed, 12 monitoring plots and 4 control plots were installed for vegetation monitoring, and changes in the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between 2017 and 2020 were analyz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surveyed areas where trees were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was 0-1.4552, and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control group was 0% except for one survey area at 1.32%. The very low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in the survey areas were attributed to the loss of trees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due to death, damage by wild boars, or erosion by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9538-2.3222 in the monitoring plot where no tree was planted, and the similarity index was analyzed to be as high as 8.33%.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long-term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methods in the national park and analysis of the succession in monitoring plots where no trees were planted.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DMZ Barren L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ve Plants (자생식물 적용을 통한 DMZ 불모지 복원공법 연구)

  • Young-Eun Kim;Dong-Hak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5-65
    • /
    • 2022
  • 지속가능한 DMZ 일원의 생태복원 추진을 위해 DMZ 생태교란지에서 복원공법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강원도 인제군, 철원군 및 경기도 연천군의 DMZ 내(450m2)에서 진행되었으며, 흰민들레, 구절초, 매발톱, 질경이, 꿀풀이 공시식물로 사용되었다. 각 대상지의 식생유형별 시공방법에 따른 침입종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반식생기반재와 특수식생기반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전체 피도, 도입종 피도, 침입종 피도, 초장, 출현종 등을 측정하였다. 전체 피도는 세 곳 모두 일반 기반재보다 특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상지에 따라 침입종 피도가 미치는 영향은 달랐다. 도입종의 피도는 인제, 철원, 연천에서 동일하게 흰민들레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특수기반재에서 보다 높은 피도를 보였다. 폭염 및 폭우로 6월 이후 흰민들레가 감소하면서 구절초, 매발톱의 피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기반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 피도가 특수기반재보다 일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질경이와 꿀풀의 생장은 미미하였다. 같은 처리를 했음에도 대상지별로 소재식물의 출현 여부, 생장률, 침입종의 피도 등이 다른 것으로 보아 복원지의 환경 여건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종, 시공방법, 주변 완충지역의 범위 등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Restoration Effects Confirmed in the Environmental Forests Created on the Bases of Ecological Principles (생태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창조된 환경림에서 확인된 복원 효과)

  • 이창석;이안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2 no.1
    • /
    • pp.220-226
    • /
    • 2004
  • The restoration effects in two sorts of forests created and managed on the bases of ecological principles in Sihwa industrial complex and Mt. Surak respectively were evaluated in both viewpoints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Species composition of the forests created based on the ecological design was move similar to that of the natural forests compared wit h the forest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landscape architectural method. The increased species diversity in the ecologically created forest reflected the effect as well. Black locust plantation managed by applying the ecological principle showed move similar species composition to the surrounding natural forest than the forest left without any management. Furthermore, the former forest showed higher species diversity than the latter one. The methods, which create and manage a forest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revealed several problems, such as lack of specialty of project operators and inspecting officers, construction regulations without the ecological background, absence of the endemic young trees to be introduced in diverse natural environment, etc. Preparation of guidance for ecological planting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ing revision of construction regulation were recommended as the measures to solve such problems.

Impact on Habitat Changes by Restoration of Low-Flow Channel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물리서식처 모의를 통한 저수로 물길 조성이 서식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i, Jong Geun;Kim, Jong Joo;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7-107
    • /
    • 2019
  • 하천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공간이며 환경적,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하천은 물과 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독특한 생태 서식처 공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하천환경의 개선 및 복원에 대해 관심과 인식을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훼손된 하천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는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하천복원사업이 하천에 서식하는 수생물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물리서식처 분석이 수행되고 이를 통해 각종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천복원사업을 통한 생태유량 재산정, 보 철거의 영향, 다양한 복원기법을 통한 수생물에 미치는 영향 파악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하천복원사업으로 인한 수리특성과 수생 서식처의 변화를 살펴보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도의 단면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복원기법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조성 및 다양한 저수로 조성기법의 적용을 통해 우점종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주천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구간은 원주천 중 상류에 위치한 900 m 구간으로, 대상 어종은 원주천의 중 상류에 서식하는 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목표로 하였다. 수리분석과 서식처분석은 각각 River2D 모형과 서식처 적합도 모형을 사용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모형에 사용된 서식처 적합도 곡선은 Gosse (1982)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수심, 유속, 기층을 모두 고려하여 물리 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수로 물길 복원 조성을 위하여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으로의 복원 및 거석, 여울/소 구조, 단면의 확폭을 통해 기존 자연형 하천과는 다른 복원을 조성하였다.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복원을 조성한 결과를 이용하여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기존 자연하천인 현상태 대비 약 37% 가중가용면적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의 설계 조건에서 거석, 여울/소 구조 및 단면의 확폭의 복원을 수행하였을 때 서식처가 최소 약 3%에서 최대 21%까지 가중가용면적이 향상되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Plants and Vegetation Transect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A Case Study of Bulgwang Stream in Seoul, Korea-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의 식물상 및 출현빈도 비교-불광천을 사례로-)

  • 정진아;김혜주;이은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1
    • /
    • pp.61-74
    • /
    • 2004
  •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plants and frequency of appearing species of vegetation transect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 of Bulgwang stream in Seoul. Some part of Bulgwang stream was restored as a closed-to-nature stream. This present study consists of two investigations, the first investigation being conducted on May and the second one on August -September 200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both investigations, this study classified and listed all of the plants appeared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 of the stream. The study used the Belt-transect method in order to examine and analyze discover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vegetaton transect per 200 meters. During the period of the first investigation and the second one, plants of 33 families, 73 classes, and 88 species appeared in the straight section, while plants of 36 families, 76 classes, and 90 species appeared in the restoration section. The Naturalized Index of the straight section was 22.7%, and that of the restoration section was 21.1%. As shown on the results indicating that the Urbanization Index of the straight section was 7.8%, and that of the restoration section was 7.4%, the Urbanization Index of the straight sec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restoration section. The results using belt-transect analysis method showed that in case of the straight section, the plants of the highest appearance frequency on the riverside were Persicaria hydropiper and Humulus japonicu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restoration section, the plants showing a higher appearance frequency on the riverside were identified as Salix gracilistyla, Persicaria hydropiper, Rumex crispus, and Humulus japonicus. In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traight and the restoration section in the bank with regard to vegetation transect. However, a remarkable difference was found on the riverside for the Salix gracilistyla which was introduced in the restoration section.

Ecological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aks m at Chollipo Arboretum, Korea(I) (천리포수목원 닭섬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니터링(I))

  • 배준규;송기훈;정문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09-117
    • /
    • 1999
  • 서해안 및 도서지역의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상록활엽수림의 복원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천리포수목원 닭섬에 대한 현존식생구조를 밝히고 도입식물들의 활착 상태를 조사하였다. 천리포수목원의 한랭지수는 -7.7$^{\circ}C$.month로 목포(-7.6$^{\circ}C$.month)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서해안을 흐르는 황해난류의 영향으로 한서의 차가 비교적 적은 난온대성 기후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11개 식생구조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 곰솔이 우점종이었으며 1976년부터 식재하기 시작한 상록활엽수는 26종 708개체이었으며, 이 중 15종 121개체가 활착하여 약 19.1%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 PDF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ation Works at the Jungbong and Nuebong Area, Mudeungsan National Park (무등산국립공원 중봉과 누에봉 복원공사지역 식생회복 평가)

  • Kim, Young-Sun;Shim, Seok-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1
    • /
    • pp.64-7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egree of vegetation recovery such as the vegetation change and the effect of artificial restora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since the restoration works at the damaged Jungbong and Nuebong area in Mudeungsan National Park. We set up a total of 21 survey areas including 11 monitoring areas to analyze the flora,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and similarity in the restored site after relocation of Zungbong army base in 1996 and the restored site after the demolition of Neeebong telecommunication facility in 1999 and 10 control areas in the adjacent natural forest to assess the vegetation recovery in the restored sites and the nearby natural forest. The Mean Similarity Index of seed composition was relatively low at 3.5% in the Jungbong restoration site 17 years after the restoration, and the height of shrub layer, in which azaleas and furred azaleas appeared, recovered to the level of 82.6%. W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monitoring the restored sites to develop the recovery assessment method and recovery work technology for sub-alpine area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and other national park areas.

Natural Environmant Assessment for Vegetation Restoration in Naksan Seoul (낙산지역의 식생복원을 위한 자연환경평가)

  • 김혜주;이옥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61-270
    • /
    • 1999
  • 낙산복원사업 대상지의 생태계 회복을 위한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부지 내 식생조사를 통해 자연환경을 평가하였다 현존식생도 녹지자연도 및 Hemeroby 등급을 통해 자연성을 평가한 결과 많은 면적이 산림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인공화된 지역이었다.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 중 산림의 형태를 유지한 지역은 아까시나무군락을 유지하고 있었고 기타 지역은 휴경지, 논.밭 잡초군락이며 동시에 ruderal 식물군락으로 판명되었다. 성과주변에 식재한 수목은 총 67종 1,243개체였으며 그중 자생종이 27종(40.3%) 544개체(43.8%)였고 도입종과 귀화종 재배종이 각각 17%, 8.8%, 15.4%로 나타났다. 생활형 분석에서는 1,2년생 초본식물이 47%를 차지하였고 귀화율은 24.1%로 나타나 매우 불안정하고 교란된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Derivation of Wetlands Through Restoration Costs (복원비용을 통한 습지의 가치도출에 관한 연구)

  • Kim, Sung Bong;Shin, Hio-J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2
    • /
    • pp.83-92
    • /
    • 2006
  • In this regard, we propose researches on the actual restoration costs of destroyed wetlands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as a way to derive the value of wetlands. And, we are willing to contribute in extracting the true value of wetlands by seeking the marginal cost of restoring destroyed wetlands, based on data such as biodiversity indicator which tells the recovery process of fauna and flora including fishes and birds. This means that once wetlands are destroyed, no one can tell the costs to restore them only in a view of costs which is one of two sides in economic analysis. Accordingly, knowing their restoration costs through derivation of marginal costs would give more precise decision-making for wetlands related proj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