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3초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생리활성효과

  • 이희덕
    • 좋은식품
    • /
    • 통권172호
    • /
    • pp.38-56
    • /
    • 2003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mg/kg으로 전체 상대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lyl disulfide, (E, 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 2-dithi-5-ene-$\beta-elemene$, $\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종을 포함하여 총 162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 층에서는 IC50이 1.623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acetate 층은 3.591mg/mL, butanol 층은 2.083mg/mL로 나타났다.

  • PDF

취반된 흑미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ck Rice)

  • 송선주;이유석;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15-1021
    • /
    • 200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흑미 중 수원 415호와 진도를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SDE방법으로, 취반된 흑미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 향기 추출물을 정제 농축하여 GC와 GC/MS로 분석한 후 GC 분석에 의한 RI 및 GC/MS 분석에 의한 mass spectrum을 표준물질의 분석 자료와 비교, 확인함으로써 휘발성 향기 성분을 동정하였고, 내부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성분을 정량하였다. 수원415호와 진도에서 각각 91, 82종의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수원415호에서는 alcohol류 26종, ketone류 15종, ester류 11종, aldehyde류 10종, hydrocarbon류 9종, acid류 5종, 황화합물 9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동정된 물질 중에서 hexadecanoic acid, acetic acid, 1,2-ethanediol, guaiacol, ethyl acetate, 2,3-dihydrobenzofuran, ethanol, ethyl hexadecanoate, methyl 9,12- octadecadienoate, hexanol, ethyl formate, hexanal, 2-pentanone이 수원 415호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진도 흑미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으로는 alcohol류 28종, ketone류 14종, ester류 12종, aldehyde류 9종, hydrocarbon류 5종, acid류 4종, 황화합물 4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hexadecanoic acid, guaiacol, acetic acid, 2,3-dihydrobenzofuran, hydroperoxy pentane, ethyl acetate, methyl 9,12-octadecadienoate, 2-nonanone, ethyl hexadecanoiate, ethyl formate, ethyl 9-octadecenoate, hexanol, 2-pentanone, 3-methyl-1-butanol이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진도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미량이지만 향기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1-acetyl-2-pyrrolidone과 ${\alpha}-pyrrolidone$이 동정되었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 황경아;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차의 계승과 새로운 식품의 개발하고자 생강나무의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재차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덖음차 81종, 찐후덖음차 78종, 자연건조차 88종, 발효차 86종, 찐차 72종 및 인공건조차 89종의 분리할 수 있었다. 생강나무 잎차의 향기성분은 $\beta-piepne$을 비롯한 hydrocarbone류가 45종이 동정되었으며,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분포되었다. Alcohol류는 L-linalool, n-octanoal, phenyl acetaldehyde, $(-)-\alpha-terpineol$, elemol, cholest-5-en-3-ol, 등 16종, 2-nitro-2(3-hydroxybuthyl) -clododexanone, 3-(3-butenyl)-2,3-epoxy-cyclohexanone, 2-ethyl-2-propyl- cyclo-hexanone 등 11종의 ketone류가, phenyl acetaldehyde, tetradecanal, 10-undecanal, 4-Bromo-2- methylbutanal 등 8종의 aldehyde류가 동정되었다. 또한 ester류는 methyl 9, 12, 15-octadecatrienate, didodecyl phthalate, 1,2-benzenediccar-baboxy acid-bis(2-ethylhexyl) ester 3종류가 동정되었고, 또한 phenol류는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이 동정되었다.

한국산 유영류(다모강)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Errantiate Polychaeta in Korea)

  • 노분조;이종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1호
    • /
    • pp.74-90
    • /
    • 1987
  • 한국산 유영류(다모강)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65년부터 1986년까지 우리나라의 삼면연안과 도서지방(36개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 분류하였다. 그 결과 10과 20속 31종 2 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4아종 1 아종(Amphinome rostrata, Haplosyllis tentaculata, Typosyllis aciculata orientalis, Typosyllis variegata, Glycera subaenea)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되었다. 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nuntina)는 총 36개 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채집되었으며 , 총 600여 개체중 232 개체가 채집됨으로써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해있는 종으로 나타났다. 동정 분류된 표본 중 한국과 일본 해역에만 분포하는 것은 3 종이었다.

  • PDF

한국산 유종섬모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2. 영일만 (Taxonomical Studies on Tintinnids (Protozoa : Ciliata) in Korean Coastal Waters 2. Yngil Bay)

  • 유광일;김영옥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87-122
    • /
    • 1990
  • 본 연구는 해양생태계의 저차생산 단계의 생산자로 중요시 되고 있는 유종섬 모충류(Tintinnina )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해만에 이어 영일만에서 1985년 9월부터 1988년 5월까지 약 4년간에 걸쳐 채집된 시료를 사용하여 유종섬모충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총 11과 21속 52종이 출현하였다. 이들 52종중 진해만 일대에서 이미 보고된 종을 제외한 27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동정 분류를 하여 이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기재한다.

  • PDF

독도 주변의 해수에서 분리한 세균의 다양성과 군집구조 분석 (Bacteri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Cultivable Bacteria Isolated from Dokdo Island)

  • 성혜리;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3-272
    • /
    • 2010
  • 독도 연안에 존재하는 배양 가능한 미생물의 다양성을 16S rRNA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동도 선착장 주변과 서도 숙소 부근을 중심으로 채취한 시료에서 163개의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미생물 163종을 16S rRNA 염기서열의 분석을 이용하여 부분동정 할 수 있었다. 부분동정된 미생물은 gamma-proteobacteria(58%), alpha-proteobacteria (20%), bacteriodetes(16%) 계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에도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와 epsilonproteobacteria가소수 동정 되었다. 염기서열이 분석된 미생물들은 이전에 보고된 미생물들의 16S rRNA 유전자와 93.3%에서 100%의 유사도를 보이며 56속 94종으로 부분 동정되었다. 163종의 부분 동정된 미생물 중 36개의 분리 미생물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독도연안 바닷물에는 proteobacteria와 bacteriodetes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미생물 다양성을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 이 다양한 미생물로부터 다양한 유용미생물 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 들은 추후 여러 생리생화학적 실험을 수행하여 새로운 종 또는 새로운 속으로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spergillus Species의 연구 (Study of Aspergillus Species from Clinical Specimen Isolate)

  • 이장호;구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5-21
    • /
    • 2016
  • Aspergillus는 가장 흔하게 감염을 일으키는 기회 감염균이다. 검사실에서 Aspergillus의 동정은 대부분 형태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안 되거나, 속 수준까지만 동정이 되는 까다로운 균들 동정하기 위하여 분자유전학적인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임상검체에서 분리한 475건의 Aspergillus는 Aspergillus fumigatus 257주(54.1%), A. niger 101주(21.3%), A. flavus 43주(9.1%), A. terreus 29주(6.1%), Aspergillus nidulans 2주(0.4%), 그리고 Aspergillus clavatus 1주(0.2%), 그리고 Aspergillus species는 42주(8.8%)이었다. 미동정 균주와 종 구분을 위한 11건의 염기서열분석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5주, Aspergillus falvus 1주, Aspergillus terreus 1주, Aspergillus lentulus 1주 동정되었다. Aspergillus versicolor 2주, 그리고 1주는 Emericella parvathecia로 동정되었다. Aspergillus의 92.2%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가능하였고, 8.8%는 종 수준의 동정이 불가능하였다. 종 수준의 동정을 하기 위해서는 ITS와 D1D2를 이용한 염기서열분석이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PVA 분해용 균주 분리${\cdot}$동정 및 특성 연구

  • 최광근;신종철;전현희;김상용;이진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414-418
    • /
    • 2003
  • 50여종의 PVA 분해용 균주를 분리한 후 PVA 분해 실험을 통해 8종의 균주를 최종 분리하였으며, 이 중 2종의 균주를 동정하였다. 분리 균주의 PVA 분해율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균주만을 이용한 실험과 단일균주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단일균주를 사용했을 때는 최대 96%의 분해율을 얻었으며, 2 종의 조합을 사용했을 때는 최대 95%의 분해율을 얻어 단일균주만으로도 우수한 분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최종 분리균에서 PVA 분해효소를 분리하여 PVA 분해 실험을 진행한 결과 최고 78%를 보였다. 가장 우수한 분해능을 보인 2종을 동정하였는데, Paenibacillus sp.와 Microbacterium barkeri로 동정되었다.

  • PDF

시설원예지에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종류 및 간이 동정법 (Root-knot Nematode Species Distributing in Greenhouses and Their Simple Identification Scheme)

  • 김동근;이영기;박병용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49-55
    • /
    • 2001
  • 남부 시설재배지에서 서식하는 뿌리혹선충의 종류와 race를 조사하고 그들에 대한 간이동정법을 제시하였다. 남부 시설재배지에는 Meloidogyne arenaria race 2(59%), M. incognita race 1(23%), M. incognita 미동정 race(18%)가 분포하고 있었음, 우점종은 땅콩뿌리혹선충(M. arenaria) race 2 였다. 유충의 길이는 M. arenaria가 411$\mu\textrm{m}$(306-503$\mu\textrm{m}$), M. incognitark 384$\mu\textrm{m}$(312-488$\mu\textrm{m}$)로 두 종의 범위가 겹치고 있어 종 동정에 참고하기 어려웠으며, M. arenaria와 M. incognita의 종 동정에 가장 쉽게 이용할수 있는 특징은 암컷의 머리에 있는 Excretory pore 위치였다.

  • PDF

청미래덩굴의 근권에서 분리된 2종의 Glomeromycota 미기록종 (Two Unreported Glomeromycota Fungi Isolated from Rhizospheres of Smilax china)

  • 박혁;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75-280
    • /
    • 2019
  • 청미래덩굴의 근권 토양을 온실에서 배양하여 Glomeromycota에 속하는 균류의 포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포자는 18S partial rDNA 영역의 DNA 염기서열 분석과,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ITS 영역과 28S rDNA 영역까지 포함하는 $Kr{\ddot{u}}ger$ fragment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Glomeromycota 균류의 포자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burnea, Paraglomus laccatum이다. 확인된 미기록종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