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 평가

Search Result 4,4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Analysis of the Teaching Operational Realities of "Software-Engineering-Capstone-Design" ("SW공학적 종합설계" 수업 운영 실태 분석)

  • Kim,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9-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학기술교육인증제에서 요구하는 종합설계 교과목의 수업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종합설계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현장 실무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과이다. 종합설계는 대부분 목표 및 약간의 제약조건, 평가 기준들을 포함하고 있다.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 기준은 8개이며, 교육과정 영역에서 종합설계 교과의 필수 개설 및 실질적 운영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컴퓨터멀티미디어과는 2011년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TAC 인증평가를 받았으며, 본 논문에서는 "SW공학적 종합설계" 교과의 수업 운영 실태 중심으로 컴퓨터공학 분야 종합설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자연재해 사건에 대한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안전성 평가 방법론

  • 황용수;한지웅;서은진;이연명;강철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5.06a
    • /
    • pp.309-310
    • /
    • 2005
  • 2007년 초 발간될 한국형기준처분시스템의 종합안전성 평가의 일환으로 수행될 자연 재해 사건들에 대한 평가를 위해 전체 안전성 평가 프레임워크 내에서 자연 재해 사건 평가 방법에 대한 접근론이 개발되고 이에 의거해 Process Model(PM)을 개발하기 위한 국내외적 자료가 분석 평가되었다. 이로부터 FEP, 평가 방법론 등 Analysis Model(AM)의 일부분이 개발되었으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안전성 평가 계산이 수행될 예정이다. 연구 결과 지진과 관련된 자연 재해 사건의 국내외 사례를 종합해 볼 때 극히 보수적인 종합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처분장 주변에 위치한 단층대가 지진 발생 시 단열이 최대 10 m 정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dot$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도출

  • 한지웅;황용수;서은진;이연명;강철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189-19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안전성 평가를 위한 FEP 목록 도출 방법 및 선별 원칙들을 제시하였으며, 처분장에서의 핵종 이동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생태계의 특성 및 공학방벽에 따라 각각의 RES (Rock Engineering System)를 구성하여 각 상황별 핵종이동을 모사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각 시나리오별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적용 가능한 해석 코드를 제안하였으며, 종합 성능 평가를 위한 보완점을 지적하였다. 추후 종합 성능 평가 시스템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될 안전성 평가 결과는 한국형 처분장 설계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Urban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Water Quality Index (수질지수를 활용한 도시 하천의 수질 평가 적합성 연구)

  • Lee, Sang Ung;Jo, Bu Geon;Kim, Chan Hui;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0-17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변화로 하천 오염원의 다양화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OD, T-P 항목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중·소하천에서는 다양한 오염원의 영향이 나타나 BOD, T-P 항목의 관리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오염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평가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강 유역의 경기도 지역은 인구밀도 및 불투수면적이 높고 중소하천의 분포가 넓은 유역으로 다항목 수질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평가 목적 및 계산 방법, 평가되는 수질 항목, 등급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의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통계분석과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천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대해 연구 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주요 오염원 및 영향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는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지수를 활용한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유역 특성을 반영한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분석으로 도시하천의 수질 인자별 관계성을 도출하여 유역의 도시 현황별 영향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CCME WQI, NSFWQI 등 기존 국내·외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를 도시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로 산정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정된 수질지수의 점수 및 등급과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여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관리 및 대응의 의사결정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for operation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endering system in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restoration, focusing on the cause of the decline in the winning bid rate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 운영결과 및 낙찰률하락 원인 분석)

  • JUNG, Younghun;YUN, Hyund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5 no.1
    • /
    • pp.111-132
    • /
    • 2022
  •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ender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restoration field since 2016 to remedy the repair issues of South Gate in 2014.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ried to attain the high performance of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restoration works securing the proper payment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works. It is high time to review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ender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OTS"), as the system has been run for over 5 years to correspond with its original goal, i.e., "The Proper Payment in return for the High Performance of Repair and Restoration work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114 tenders of CEOTS from 2016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14 tenders, firstly, more than half of bid winners were in the top 20% of repair & restoration capacity disclosure amount list, which mostly fulfilled the goal of 'attaining high performance.' Secondly, as the winning bid rate is decreasing from 86.847% in 2017 to 85.488% in 2020, the goal of 'guarantee of a proper payment' is not achieved yet. Thirdly, the influence of Economic Evaluation section in CEOTS has been grown since the change of scoring system in CEOTS in 2019. This study identifies two reasons why the winning bid rate of CEOTS has decreased. Firstly, it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group that got more than 1st place' and 'the first place group' that are more than half of the total bidders have the decreasing bidding rate trend as the years go by. Secondly, the exclusion rate of 'the group that got more than 1st place' is higher than the exclusion rate of 'the group that got less than 1st place', which means the expected winning rate would be lowered. It is proposed that the revision of CEOTS code is needed, i.e. easing the strict rule concerning the exclusion rate as well as setting up the lower bidding limit to prevent the excessive decreasing winning bid rate.

문화유산 지식 콘텐츠의 보고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

  • Sin, Seong-Su
    • Digital Contents
    • /
    • no.2 s.141
    • /
    • pp.70-71
    • /
    • 2005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는‘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식정보 DB의 품질을 점검해 보기 위해, 2005년도 1월부 터 매월 1종의 DB를 선정해 품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DB 서비스 평가’기획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 이번 달에는 그 두 번째로 문화재청에서 운영하고 있는「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www.heritage.go.kr)」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 PDF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젤리의 기계적 및 관능적 물성)

  • Lee, Tae-Whi;Lee, Yoon-Hyung;Yoo, Myung-Shik;Rhee, Kyu-So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3
    • /
    • pp.336-340
    • /
    • 1991
  • Correlations among instrumental. sensory parameters and overall preference of jelly texture were studied. Instrumental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lly were measured with a rheometer, and sensory and overall score were measured by sensory evaluation. Instrumental maximum force was correlated to sensory hardness and shortness, and sensory springiness and stickiness were correlated to instrumental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force respectively. Also the most significant instrumental parameters with respect to overall preference were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force with their values being 0.93 and 0.89 repectively.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ed in a following equation: overall score = 2.70 + 6.25(cohesiveness) - 0.095(adhesiveness force)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4.

  • PDF

모의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동굴 지하수 유동 평가

  • 황용수;서은진;강철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12-218
    • /
    • 2004
  •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성 평가를 위해 대상 부지를 선정하고 경계 조건을 도입하였다. 연안에 처분장이 위치할 경우를 가상하여 처분장 심도 및 단열까지의 거리등에 대한 지하수 유동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처분장 진입 터널이 지하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각 암반별 이동 거리 및 시간을 CONNECTFLOW를 이용해 산정하고, 그 결과들이 방사선적 안전성 종합 평가 코드인 MASCOT의 입력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Procedure of Generic Component Reliability Data Base in PSA and Its Application (확률론적 안전성평가를 위한 일반 기기 신뢰도 데이타 베이스 구축 절차와 적용)

  • Hwang, M.J.;Kim, K.Y.;Lim, T.J.;Jung, W.D.;Kim, T.W.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2 no.4
    • /
    • pp.241-248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procedure and application of the generic component reliability data base considering the dependency among dependent generic compendia in NPPs (Nuclear Power Plants) 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under construction or without operating history. We use MPRDP (Multi-Purpose Reliability Data Processor) code developed in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based on a PEB (Parametric Empirical Bayesian) procedure to estimate the reliability. The employed model in this study accounts for the relative credibility as well as the dependency among generic estimates. Numerical examples and the part of summarized reliability data table are provided as the app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