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조성

Search Result 2,62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Korea Strait (대한해협의 자치어 분포상)

  • KIM Yong U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7 no.3
    • /
    • pp.230-243
    • /
    • 1984
  • Larvae of fishes were collected at 26 stations in the Korea Strait, by horizontal towings using the fish larval net (Norpac) in the surface layer and by oblique towings using Isaac-Kid mid-water trawl in the mid-water layer in summer (July) and in autumn (November), in 1983. The towing speed was 1.5 knots. Of the larval fish examined, 3,529 individuals were identified to generic and specific levels. They belong to 27 families, consisting of 38 species in 37 genera. Unidentified were 114 specimens.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a which occupied $88.5\%$ of the whole 3,645 individuals. Diaphus sp. took the second place with 50 individuals ($l.3\%$). Seasonally abundant species were in the order of Engraulis japonica, a Gobid, Trichiurus lepturus, and Diaphus sp. in summer, and in the order of Diaphus sp., Engraxlis japonica, Bothus sp., and a Ophichthid in autumn. Of these larvae, Engraulis japonica and Diaphus sp. continuously appeared from summer to Autumn. Champsodon sp., Diaphus sp. and Synagrops philippinensis wer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PDF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Sheltered Shallow Water off Yongwon, Jinha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안 진해 용원 천해역 어류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

  • LEE Tae Won;MOON Hyung Tae;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3
    • /
    • pp.243-249
    • /
    • 2000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hallow water fish off Yongwon, Jinha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monthly samples collected by a beach seine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Among 54 species identified, the resident species such as Favonigobius gymnauchen, Chaenogobius laevis, Pholis nebulosa and juvenile Hyporhamphus intermedius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The temporal species such as Sardinella zunasi, Leiognathus nuchalis and Takifugu niphobles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and September. Mean abundance (322 individuals/1000 $m^2$ or 806 g/1000 $m^2$)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hallow sand surf zone of Teachon, but lower than that in the shallow mud area of Chonsu Bay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A large number of H. intermedius were collected in cold months between November and January. The dominant resident species began to be collected from february,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increased until July. A small number of temporal species were collected and subsequently the abundance was low from August to October when high abundance was expected as in the other shallow waters by recruitment of a large number of juveniles of temporal species. The low abundance in these warm month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water quality by weak water circulation in this shallow mud area.

  • PDF

Community Structure of Fauna Collected by a Fence Net on Ganghwa Tidal Flat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한강 하구역 강화 갯벌 조간대 건간망에 어획된 유영생물 군집구조)

  • Hwang, Sun-Do;Rhow, Jin-Goo;Lee, Sun-Mi;Park, Ji-Young;Hwang, Hak-Jin;Im, Yang-J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5 no.4
    • /
    • pp.166-175
    • /
    • 2010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in the Han River estuary was determined by analyz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on the intertidal flat of Ganghwa Island by a fence net from April to December 2009. Total number of species was 57: 34 species of fishes, 20 species of crustacean, 2 species of cephalopods and 1 species of jellyfish. Of a total of 57 species, Portunus trituberculatus (57.2%), Palaemon gravieri (7.1%), Collichthys lucidus (7.0%), Hemigrapsus sanguineus (6.2%) and Exopalaemon carinicauda (4.7%)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Diverse species were occurred in spring and autumn, and abundance was high in autumn. Chelon haematocheilus, Synechogobius hasta, Co ilia nasus, P. gravieri and E. carinicauda were classified as the brackish residence species. P. trituberculatus, C. lucidus, Mugil cephalus and Cynoglossus joyneri were coastal migratory species which use the estuary as nursing and feeding grounds. Diadromous species (such as Takifogu obscurus, Anguilajaponica and Eriocheir sinensis) and freshwater fish (Carassius auratus) were also collected.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 허성희;조춘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8-299
    • /
    • 2000
  • 동해 남부 연안은 남해, 서해와는 달리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며 외해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남해, 서해와는 상당히 다른 어류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동해 연안 어류에 관한 연구가 거의 매우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가 실시된 고리 주변해역은 1978년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 가동 이후 현재 4호기가 가동되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배출된 온배수는 주변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주변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략)

  • PDF

진동만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 허성희;임성오;곽석남;추현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55-356
    • /
    • 2003
  • 잘피밭은 해양의 생태계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 중의 하나로 최근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잘피는 잘 발달되어 있는 뿌리를 지니고 있으며, 흔히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밀생하여 무성한 해초지 (seagrass meadow)를 형성하고 있다. 본 조사해역인 경남 진동만은 연안을 따라서 잘피가 많이 밀생하고 있어서 생산성이 매우 높고, 자치어를 비롯한 많은 해양생물들이 큰 생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는 좋은 서식처의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 PDF

대하의 자연산과 인공종묘의 유전적 변이성 및 방류효과

  • 한현섭;장인권;임현정;박영제;김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5-186
    • /
    • 2003
  •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는 주로 중국의 북부 및 발해와 우리나라의 남ㆍ서해에 서식하는 보리새우과의 고급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3,000톤 정도가 양식으로 생산되어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식지에서의 남획과 환경의 악화, 양식 새우에 대한 바이러스 질병 등으로 어획량 및 양식 생산량이 매년 감소되고 있어서, 이 종에 대한 효율적 관리와 자원 조성을 위한 생물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중략)

  • PDF

한반도 동남부 연안해역의 저서성유공충 분포특성

  • 정규귀;김귀영;강소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11-212
    • /
    • 2000
  • 유공충은 껍질(test)을 가지는 원생동물로 기수역(brackish) 내지는 해양에 널게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 석회질 혹은 사질(arenaceous)의 껍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양퇴적물의 중요한 생물원 요소가 되고 있다(Matoba, 1975). 유공충은 서식환경에 따라 종조성을 달리하거나 종내변이(variety 혹은 ecophenotype)를 보이며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동남부 연안해역의 내 대륙붕 니질대(nearshore mud belt) 및 영일만에 분포하는 저서성유공충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저질환경인자에 대한 반응 종을 탐색함으로써 연안환경에 서식하는 유공충의 환경지시자를 밝히고자 한다. (중략)

  • PDF

사천시 신수도 연안에서 삼중자망으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 이해원;강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81-382
    • /
    • 2001
  • 신수도는 삼천포수도를 사이에 두고 삼천포 화력발전소로부터 불과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발전소의 가동에 따른 냉각수의 취수와 배수는 발전소 인근해역의 생물군집에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전소의 가동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취수스크린에서의 기계적 충격, 냉각계통을 통과하는 연행, 부착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의한 생리적 장해 및 온배수의 방출로 인한 인접해역의 수온상승과 용존산소의 감소 등이 있다. (중략)

  • PDF

Applying Speciated GA to Huge-scale Feature Selection in Bioinformatics (생명정보학에서의 거대규모 특징추출을 위한 종분화 GA의 활용)

  • 황금성;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29-231
    • /
    • 2002
  • 최근 생물 유전자 정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를 위한 효과적인 분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분류기의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특징만을 뽑는 과정인 특징 추출은 대량의 유전자 정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선별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유전자 정보는 사용되는 데이터의 특징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는 분석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거대규모 특징 추출을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GA)파 신경망을 사용한 특징추출 방법을 소개하고, 종분화 기법을 사용한 효과적인 특징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CAMDA 2000에 공개된 암 DNA Microarray로 안종류를 분류하는 문제에 대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