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자 발아

Search Result 1,3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roteomic Approach at the Seed Dormancy Breaking of Aconitum Austrokoreense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 종자 휴면타파의 단백질 변화 분석)

  • Hayan Lee;Hayan Lee;Se-kyu Song;Jinki Kim;Chihyeon Song;Cheol 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10-10
    • /
    • 2023
  • 투구꽃속(Aconitum L.)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의 가장 큰 속(Genus) 중 하나로 300-400 여종(Species)이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Tamura, 1993). 둥근 투구모양의 꽃받침이 특징적이며, aconitine과 같은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약용소재로서 활용되었다(Khorana, 1968).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 Koidz.)은 한국 경상도, 전라남도에만 국지적으로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자, IUCN에서 CR(Critical Endangered) 등급으로 지정된 희귀식물이다. 이 종은 다년생이지만, 서식지에서 개체수가 적거나 유묘의 발견이 어려운 등 자생지 축소 및 절멸의 우려가 높다. 세뿔투구꽃을 보호하고 종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종자 발아 · 휴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종자번식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뿔투구꽃의 종자의 휴면유형을 분석하고 호르몬에 의해 휴면타파를 유도하였으며, 특히 발아 2단계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를 단백질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세뿔투구꽃 종자는 미발달된 배를 가지고 있으며, 충분한 수분과 온도의 조건에서도 발아가 관찰되지 않아 형태 · 생리적 휴면으로 판단되었다. 종자는 BAP 처리에서 휴면이 타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BAP 농도에 따른 발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졌다 (F=23.208, P<0.01). 건조된 종자에 비해 BAP 처리된 종자는 발아 2단계에서 몇가지 단백질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종자는 30S ribosomal protein subunit으로, 휴면상태에서 발아상태로 변환이 일루어지는 생리적 변화의 증거로 확인된다. 특히 발아2단계를 지나는 세뿔투구꽃 종자에서는 cytochrome subunit과 photosystem II protein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배아의 발달 결과인 자엽이 발아 즉시 광합성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현 된 것으로 추정한다. 본 연구는 발아2단계에서 휴면타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휴면타파에 중요한 단계인 발아 2단계 종자의 생리학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s by Temperature Conditions in Artemisa annua L. (온도 조건에 따른 개똥쑥(Artemisa annua L.) 종자의 발아특성)

  • JunHyeok Kim;Chae Sun Na;Chung Youl Park;Un Seop Shin;Young Ho Jung;Cho Hee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3-53
    • /
    • 2020
  • 본 실험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약용으로 널리 쓰이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 종자의 온도에 따른 발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미세온도구배 발아기를 이용하여 낮과 밤의 온도를 각각 5 ~ 35℃ 범위에서 낮과 밤의 시간을 12시간으로 고정하고, 낮 온도가 밤 온도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을 설정하여 총 27개의 온도조건으로 개똥쑥 종자의 최종 발아율 및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개똥쑥 종자는 실험에 사용한 모든 온도조건에서 발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5/10℃(낮/밤) 조건에서 90%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발아율 조사결과를 통해 일평균온도뿐만 아니라 일교차온도도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일평균온도와 일교차온도로 나누어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온도조건과 발아율과의 연속적인 발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온도 조건과 상대적 발아율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일평균온도를 기준으로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5 ~ 35℃의 모든 일평균 온도범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5, 7.5, 32.5, 35℃는 상대적인 음의 영향력을, 나머지 조건에서는 상대적인 양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교차온도를 기준으로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0 ~ 25℃의 모든 일교차 온도범위에서 양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평균온도는 19.3℃에 가까울수록, 일교차온도는 14.9℃에 가까울수록 발아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수식을 통해 도출된 수치화된 온도에 따른 개똥쑥 종자의 일일누적 온도 영향력을 temperature score(TS)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수식을 통해 누적 TS를 계산한 결과, 14.9 TS가 누적되었을 때 발아율이 85% 이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Studies on a Technique of the Generation Shortening for a Breeding Efficiency Promotion of Rape Oil Improvement -II. Influence of Different Maturing Stages to Seed Germination power and Dormancy in Brassica napus L.- (유채 성분육종 효율을 증진키 위한 세대단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제II보. 유채의 등숙차이가 종자발아능력 및 휴면에 미치는 영향-)

  • Lee, J.I.;Min, K.S.;Choo, G.P.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0
    • /
    • pp.100-106
    • /
    • 1975
  • Germinating ability of green seed in maturing period was investigated to develop the technics on generation shortening. Rapeseed did not germinate until 40 days after flowering (=DAF) in green seed and 50 DAF in dried seed. Effective germination to be utilized for generation shortening came on 55 DAF for dried seed by heating and on 75 DAF for green seed. The periodic time of seed dormancy in maturing period had two cycles and rest period was considered that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cological types of early, middle and late maturity.

  • PDF

들깨 유전자원의 보존 기간, 방법에 따른 종자 활력 변화

  • 노나영;성필모;조규택;이정로;남성희;윤문섭;메스핀 K. 헤일리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71-71
    • /
    • 2022
  • 들깨는 잎은 채소, 종자는 기름과 향신료로 이용하는 특용작물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는 국가등록 3,066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들깨 유전자원의 보존기간과 방법에 따라 종자 활력의 차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농업유전자원센터 보존 중인 들깨 유전자원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온도는 4도, -18도, 밀폐용기 보관하여 보존한 들깨 종자를 10년 보존 후 발아조사를 수행하였다. 발아환경은 페트리디쉬에 거름종이를 깔아 멸균수로 수분을 공급하고, 종자를 50립씩 2반복 치상 후 20도에서 7일, 14일에 조사하였다. 4도에서 보존한 들깨 577자원은 발아율이 85%이상인 자원이 184자원으로 나타났다. -18도에서 보존한 들깨 725자원은 발아율이 85%이상이 자원이 329자원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식물유전자원은행에서 양호한 발아율의 기준으로 85%를 사용하는데, 4도 보존 들깨 유전자원들은 조사한 자원의 32%가 양호하였고, -18도 보존 자원들은 45%가 발아 기준을 만족하였다. 들깨유전자원을 10년 주기로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18도 보존 종자의 발아율이 4도 보존 종자보다 기준발아율이 13% 우수하였으나 두 처리 모두 85% 기준발아율을 만족하는 자원이 50%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들깨유전자원을 4도, -18도에서 장기 보존할 때에 종자 활력 예측 및 활력 모니터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s with Different Bolting Years in Angelica gjgas NAKAI. (참당귀(當歸) 꽃대발생(發生) 년차(年次)에 따른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묘생육(苗生育) 특성(特性))

  • Yu, Hong-Seob;Lee, Seung-Tack;Chang, Yeong-Hee;Kim, Kwan-Su;Kim, Young-Guk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4 no.3
    • /
    • pp.193-198
    • /
    • 1996
  • To establish appropriate seed production system in Angelica gigas. Germination of seeds with different bolting years and the growth characters of plants originated from these seeds were in­vestigated. Seed weight from 1st year bolting plant was highest. In germinability according to seeds with different bolting years, seeds from 1st year bolting plant were higher than seeds from 2nd, 3rd years bolt­ing one. In growth characters of plants originated from seeds with different bolting years, as the bolting years became late, root growth increased and top growth decreased, therefore T/R ratio decreased.

  • PDF

Change i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Seed Collection Time (채취 시기에 따른 느릅나무의 종자 형질 및 발아 특성 변화)

  • Tak, Woo Sik;Choi, Chung Ho;Kim, Tae 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5 no.3
    • /
    • pp.316-322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of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and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collection time in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Seeds were collected six times with the interval of seven days after April 21, 2005 at Jeong-seon. There were differences in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among seed collection times. The sizes of seed and fruit increased with the collection time, but seed moisture contents decreased with the collection time after increasing until May 5. The 1,000 seeds weight decreased with the collection time after increasing until May 12. Collection time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r=0.790, p<0.01) with seed size and negative correlations (r=-0.919, p<0.01) with moisture contents. Percent germination (PG) presented the highest value in seeds collected at May 5, and decreased with the collection time. Mean germination time(MGT), germination speed(GS), and germination performance index(GPI)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eeds collected at May 5. PG, MGT, and GS had correlations with other seed characteristics except the 1,000 seed weight. The relative growth rate of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of seedlings presented the highest values in seedling germinated from seed collected at May 5, and seedlings germinated from seeds collected at May 5 and 12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chlorophyll contents. Consequently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t a number of seedlings when the seed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are collected just before drying morphologically.

Dehisce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Affected by Chilling Period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가시오갈피 개갑종자의 저온처리에 의한 발아 묘목의 생육특성)

  • Li, Cheng Hao;Lim, Jung-Dae;Kim, Myong-Jo;Heo, Kwon;Yu, Chang-Yeon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1 no.5
    • /
    • pp.347-351
    • /
    • 200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optimal chilling period for breaking the physiological dormancy of dehisced E. senticosus seeds and to investigate the critical seeding date in Kangwondo. Storage at $5^{\circ}C$ for 85 days was most effective in breaking dormancy of dehisced seeds, but didn't germinated synchronously. Only 28.1% of undehisced seeds germinated after 125 days of low temperature storage. For improving seedling survival rate in the field, 50% shading was more effective than 30% shading. Delayed seeding date resulted in decreased seedling fresh weight, dry weight, leaf area and root length, but seeding date has no significant affecte on stem length.

애기장대의 종자 발아에 미치는 맥반석과 녹차의 중금속 제거 효과

  • 박종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8-260
    • /
    • 2004
  • 4가지 중금속 중 카드뮴과 크롬은 환경부고시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50배 이상 농도에서도 애기장대의 종자발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리는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10배 이상, 납은 50배 이상에서 종자 발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발아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종자 발아가 전혀 되지 않은 농도의 납(15, 20, 25 및 30 mg/L)과 발아율 10% 미만인 구리(15 및 20 mg/L)용액에 맥반석가루(3 g/30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처리한 용액에서는 100%의 종자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100% 종자 발아가 된 증류수와 구리 5mg/L농도에 녹차(0.2 g/30 ml)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발아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 PDF

고등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납의 영향

  • Park,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65-467
    • /
    • 2007
  • 애기장대에 납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식물의 생장과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환경부고시 오염물질 배출기준치를 기준 농도로 하고 이보다 10배 및 50배 높은 농도의 납을 각각 처리한 애기장대의 줄기생장을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와 이보다 10배 높은 농도에서는 줄기 생장이 정상식물보다 약 18%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보다 50배 높은 농도를 처리한 식물에서는 정상식물보다 약 41% 줄기생장이 감소하였다. 3가지 농도의 납을 애기장대에 처리한 후 식물의 뿌리 생장을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를 처리한 식물의 뿌리 생장은 정상식물과 거의 유사하였으나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10배 이상이 되면 뿌리 생장이 전혀 되지 않았다. 3가지 농도의 납을 처리한 배지에서 애기장대의 종자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와 이보다 10배 높은 농도를 처리한 배지에서는 종자 발아율이 100%로 나타나 정상배지에서의 발아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보다 50배 높은 농도를 처리한 배지에서는 발아율이 0%로 나타나 종자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 속에 침적된 납은 애기장대의 생장과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어 줄기 및 뿌리의 생장을 감소시켰으며, 또한 종자 발아에도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siccation Tolerance and Storage Behavior of Sarcandra glabra Seeds for Use in ex-situ Conservation (현지외 보존을 위한 죽절초 종자의 건조 내성과 저장성 평가)

  • Da-Eun Gu;Sim-Hee Han;Eun-Young Yim;Jin Kim;Ja-Jung K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2 no.4
    • /
    • pp.442-450
    • /
    • 2023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desiccation tolerance and storage behavior of Sarcandra glabra seeds to assist in the establishment of an ex-situ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species. The basic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 glabra seeds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the seeds were dried to various desiccation levels to allow for analysis of their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 integrity. In addition, the seeds were subjected to germination tests after being stored for different durations. The initial seed moisture content following the removal of the fleshy fruit was 32.8%, and the fresh seeds maintained their seed viability even after a decrease in the seed moisture content to 4.8%, while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81.0%.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the seeds decreased to 55.0% and 30.0% when they were desiccated to moisture contents of 2.3% and 2.2%, respectively. By contrast, when the stored seeds were desiccated, they maintained their seed viability and vigor at a moisture content of 18.6%; however, when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below 5.0%, both the seed viability and vigor significantly declined and the germination percentage fell below 20.0%. Furthermore, analysis of the seed leachate revealed that the decrease in the seed viability and vigor was associated with both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inorganic compounds such as potassium and calcium.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S. glabra seeds to possess desiccation tolerance that falls somewhere between the recalcitrant and intermediate seed types, with the observed variation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teri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