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자선별기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asic characteristics of an indented cylinder broken rice separator (원통형 홈 선별기의 쇄미선별 특성)

  • 순영석;김명호;박승제;이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82-288
    • /
    • 2002
  • 본 연구는 상업용 규모의 쇄미선별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파이로트 규모 원통형 홈 선별기 시작기의 설계 및 제작에 필요한 기초 연구로서, 실험실용 원통형 홈 선별기를 이용하여 쇄미선별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통 회전속도, trough각도, indent 크기와 형상, 공급량을 요인으로 하여 완전립의 수거율과 순도, 쇄립의 수거율과 순도 및 선별효율을 조사하였다.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별효율에 대한 원통 회전속도와 trough각도의 단독효과 및 교호작용은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원통 회전속도가 커지면trough각도 역시 그에 따라 적절히 증가시켜야만 선별효율의 저하가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최고 선별효율 값은 홈의 모양과 크기, 그리고 공급량에 관계없이 낮은 회전속도 (17rpm)와 중간 trough각도 (37.5$^{\circ}$또는 60$^{\circ}$)가 조합된 처리에서 나타났으며, 60~70% 범위의 높은 값을 보였다. 선별효율에 관한 원통 회전속도와 trough각도의 최적 조합은 17rpm, 37.5$^{\circ}$라고 판단된다. 3. 말발굽형 홈과 반구형 홈 간 선별효율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실제 상업용 규모의 원통형 홈 쇄미선별기 개발에 있어서는 제작이 쉽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반구형 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길이 2.5mm이하의 미립인 쇄미의 선별에 사용할 홈의 크기는 2.5mm 보다는 약간 큰 3.0mm 정도가 되어야만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공급량에 따른 선별효율의 차이는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공급량이 작았을 때 전반적으로 선별효율이 높았다.타리 시프터를 채택, 사용하고 있었으며, 로타리시프터 사용상의 문제는 회전몸체를 지지하는 rod spring의 파손 등 구조와 관련된 것이었다. 로타리 시프터에 의한 쇄립의 선별과 제거정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4. 국내 유통백미 완전립의 길이, 폭, 두께는 각각 5.02mm, 2.93mm, 2.03mm이었으며, 산물밀도와 천립중은 각각 745.3kg/m3 및 20.46g이었다. 5. RPC 백미제품의 품질경쟁력 향상을 유도하고자 현행 쇄미의 정의와 기준을 보다 강화하여 다음과 같은 쇄미 기준과 계급을 설정, 제시하였다. "완전립" - 길이가 3.75mm이상인 미립 "준완전립" - 길이가 2.5∼3.75mm인 미립 "쇄미" - 길이가 1.75∼2.5 mm인 미립 "이물" - 길이가 1.75mm이하인 미립.볼 때 상토 종자혼합비 6 : 1, 성형롤 회전속도 약 7 rpm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제조능력은 시간당 약 65 Kg(펠렛종자 약 39,000 개), 성형률 약 87 %, 종자손실률은 약 30 %, 펠렛종자 내 평균 종자수는 약 5.5 개, 완전 벼 종자 3개 이상 포함 펠렛종자 비율은 약 100 %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세포의 Androgen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

  • PDF

Development of Non-destructive Measurement System for the Detection of CGMMV Virus in Watermelon Seed(citrullus lanatus L) using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초분광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박종자(Capsicum annuum L)의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CGMMV) 감염의 비파괴 판별 시스템 개발)

  • Bae, Hyung-Jin;lohumi, Santosh;Kandpal, Lalit Mohan;Park, ChanHwan;Lim, Hyoun-Sub;Cho, Byoung-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43-43
    • /
    • 2017
  • 종자산업은 농작물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끼치는 좌우하는 요소 중에 하나로, 우량종자의 확보는 농작물 수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농업부문의 원천산업이다.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CGMMV)는 박과류에 가장 많은 피해를 끼치는 바이러스로 종자전염을 방지하고, 우량종자의 공급을 위해서는 감염종자와 비 감염종자의 판별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박종자의 CGMMV의 감염 및 비 감염종자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바이러스 감염 종자는 CGMMV 바이러스 감염 수박종자를 사용하였으며, 생산된 종자를 초분광 영상 시스템을 통해 스크린 후, RNA를 추출하여 PCR분석법으로 바이러스의 감염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이후 바이러스의 감염유무와 획득된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하여 판별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선별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모델개발에 사용된 초분광 영상 기술은 초분광 SWIR(Shortwave infraed : 1000-2500nm)영상 기술이 다. 획득된 초분광 SWIR 영상을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 감염 종자가 유의미한 정확도로 판별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분광 SWIR 영상기술이 바이러스 감염종자와 비감염종자를 비파괴적으로 선별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mechanization of garlic cultivation (마늘재배 일관기계화 실용화 연구)

  • 이채식;정성근;조남홍;이영희;최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2-47
    • /
    • 2002
  • 가. 작업별 시험결과 1) 마늘쪽 분리·선별작업 o 마늘쪽 분리기는 통마늘을 1 또는 2∼3쪽으로 분리하여 1차 선별하고, 마늘쪽 선별기는 분리된 마늘을 3단계로 선별되며 작업성능은 시간당 60접 이상을 분리 및 선별할 수 있다. o 개발된 마늘쪽 분리기와 선별기는 소형 경량이며 취급조작이 편리한 기종하고 작업성능이 높고 손상률이 적어 '01년도에 60대가 농가 보급되었으며 '02년도에는 확대 보급될 전망이다. 2) 파종작업 o 작업성능은 경운기용 파종기 2시간/10a, 승용관리기용 직립파종기는 1시간/10a으로 능률적이었으며 작업정도와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o 지역별 파종작업 체계 -난지형 마늘 파종은 직립파종을 하며 제주, 남해 등은 마늘을 파종한 후 10-11월 줄기가 자랐을 때 무공비닐을 피복하고 줄기를 유인하며, 무안은 유공비닐을 피복하고 구멍에 마늘의 1/2 또는 2/3만 묻히도록 파종하며 별도의 줄기유인 작업은 하지 않는다. 의성지역의 한지형 마늘은 트랙터로 쇄토정지후 보행관리기로 골을 내고 인력으로 마늘을 놓으면 관리기가 다음 골을 내면서 복토하는 체계이다. 3) 마늘 수확작업 -마늘 수확기는 난지형 마늘 수확에는 효과가 적으나, 한지형과 같이 깊게 파종하여 인력으로 뽑기 어려운 재배지역에서는 필요한 기종이며, 토양수분이 많으면 굴취된 마늘과 혼이 진동판에 걸려 작업상태가 불량하므로 마늘과 흙의 이송이 원활토록 진동판 형상 및 적정 진폭 구명이 요구됨 4) 마늘줄기 절단작업 -난지형 마늘은 포장에서 건조후 단기간(1-2주)내에 줄기절단을 해야하므로 기계환가 시급하나 한지형 마늘은 아직도 대부분 줄기를 자르지 않고 묶어서 판매하고 있어 기계화의 시급도는 떨어짐 5) 마늘 선별작업 -마늘선별기는 작업성능이 높고 5등급으로 균일 선별되었으며 손상도 없었으나, 기계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곤란하고 가격이 비싸므로 선별등급을 3∼4단계로 줄이고 소형 농가보급형으로 개량제작이 요구됨. 나. 마늘재배 일관기계화에 의한 노동투하시간과 비용 -종자준비부터 통마늘선별까지의 일관기계화로 투입된 주요작업의 노력은 75∼76%가 절감되고, 재배규모 3ha기준시 비용은 44-53%절감되었음.

  • PDF

Development of Non-Destructive Sorting Technique for Viability of Watermelon Seed by Using Hyperspectral Image Processing (초분광 영상기술을 이용한 수박종자 발아여부 비파괴 선별기술 개발)

  • Bae, Hyungjin;Seo, Young-Wook;Kim, Dae-Yong;Lohumi, Santosh;Park, Eunsoo;Cho, Byou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6 no.1
    • /
    • pp.35-44
    • /
    • 2016
  • Seed vi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that is directly related with seed germination performance and seedling emergence. In this study, a hyperspectral imaging (HSI) system having a range of 1000-2500 nm was used to classify viable watermelon seeds from nonviable seeds. In order to obtain nonviable watermelon seeds, a total of 96 seeds were artificially aged by immersing the seeds in hot water ($25^{\circ}C$) for 15 days. Further, hyperspectral images for 192 seeds (96 normal and 96 aged) were acquired using the developed HSI system. A germination test was performed for all the 192 seeds in order to confirm their viability. Spectral data from the hyperspectral images of the seeds were extracted by selecting pixels from the region of interest. Each seed spectrum was averaged and preprocess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of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 (PLS-DA). The developed PLS-DA model showe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94.7% for the calibration set, and 84.2% for the validation set.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technique can classify viable and nonviable watermelon seeds with a reasonable accuracy, and can be further converted into an online sorting system for rapid and nondestructive classification of watermelon seeds with regard to viability.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 Mutant for Genic Male Sterility-Chalky Endosperm and Its Utilization on $F_1$ Hybrid Breeding System in Rice (벼 유전자적 웅성불임-심백 돌연변이체의 특성과 그를 이용한 일대잡종 육성체계)

  • ;Mun-Hue He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6
    • /
    • pp.684-696
    • /
    • 1995
  • A mutant for chalky endosperm and genetic male sterility (GMS) was newly developed in rice. The two characters were found to be controlled by single recessive gene which has pleiotropic effect, indicating that chalky seeds should be GMS seeds in segregating populations. Chalky seeds showed the same shape and size as normal seeds. However, starch composition of central part of endosperm was looser and shape of starch granules was rounder compared with normal endosperm, resulting in significantly lower grain weight, absolute density and grain hardness in chalky grains than in normal ones. Amylose content and gel consistency of chalky grains were much lower and harder, respectively. Male sterile plants showed much shorter plant height, poorer panicle exsertion and lesser panicle number compared with normal plants. Microspore abortion stage in pollen developmental process was observed as before meiosis. Male sterility of the mutant was stable regadless of temperature and day length. A system breeding hybrid rice using this mutant was discussed, comp ring with other systems utilizing cytoplasmic-genic male sterility(CGMS) and environment sensitive GMS(EGMS). Separation of GMS seeds in mixed seed bulks by specific gravity (1.14∼1.16g / cm3) was successful about 85∼90%. But some mixed normal plants were seemed to be easily removed by the apparent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s at seedling stage. The highest natural outcrossing rate of this GMS line was as 17.3 % in a plot treated with 2-row pollinator, I-row GMS, and GA3 + cutting of flag leaf + pollen-scattering by rope.

  • PDF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Originated from Plants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 첨가에 의한 김치의 발효조절)

  • Seo, Hyun-Sun;Kim, Seonhwa;Kim, Jinsol;Han, Jaejoon;Ryu, Jee-Ho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5
    • /
    • pp.583-589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delay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Fifteen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activity aginst Lactobacillus plantarum by using an agar well diffusion assay, and determine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al lethal concentration (MLC) were determined. The lowest MIC for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0.0313 mg/mL) was determined, followed by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CSLE; 0.25 mg/mL), and oregano essential oil (OREO; 1.0 mg/mL). GFSE, CSLE, and OREO were individually added to kimchi, and incubated the samples at 10 for up to 20 days.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GFSE (0.3 and 0.5%), CSLE (0.1, 0.3, and 0.5%), or OREO (0.5 and 1.0%)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H of kimchi, and als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Taken together,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can delay kimchi fermentation.

A Study on Development of Once-Over Harvest Pepper Harvester(I) - A Fundamental Factor Test for Pepper Detachment - (일시수확형 고추수확기 개발에 관한 연구 (I) - 고추 탈과 기초요인시험 -)

  • Kim, Y. K.;Hong, J. T.;Choi, Y.;Jun, H. J.;Park, H. J.;Cho, Y.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4-59
    • /
    • 2002
  • 1. 일시수확형 고추의 기계수확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류의 탈과장치를 제작하여 공시고추로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이송(공급)속도는 0.1m/s, 탈과장치 간격은 3cm, 탈과장치 회전수는 180rpm에서 정상탈과율 77.3%, 손상률 7.6% 미탈과율 3.0%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타났다. 2. 방사대칭식(브러쉬형) 탈과장치를 이용하여 무지용 상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를 공시하여 고추별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추이송(공급)속도 0.1m/s, 원통사이간격 3cm, 탈과장치 회전수 180rpm에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왔으며,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가 정상탈과률 82.7%, 손상률 7.4%, 미탈과율 2.7%로 무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52.3%, 14.3%, 12.5%)와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77.3%, 7.6%. 3.0%)에 비해 기계수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의 고추 기계수확 요인시험의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종류로는 하향착과형 고추가 기계수확에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 후 회수가 가능한 줄기부착고추를 포함한다면 고추기계수확률은 80% 이상, 꼭지가 떨어진 것이 대부분인 손상고추도 수확 후 즉시 기계건조하여 가공용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기계 수확률은 90% 이상 가능하지만, 이것의 수용 여부는 좀 더 폭넓은 의견수렴 및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고추수확 기계화를 위해서는 실내요인 시험 결과를 토대로 포장에서 수확메커니즘 구명과 더불어 고추 과실이 크고 무지주용 하향착과형 일시수확형 고추 품종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5) 마늘 선별작업 -마늘선별기는 작업성능이 높고 5등급으로 균일 선별되었으며 손상도 없었으나, 기계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곤란하고 가격이 비싸므로 선별등급을 3∼4단계로 줄이고 소형 농가보급형으로 개량제작이 요구됨. 나. 마늘재배 일관기계화에 의한 노동투하시간과 비용 -종자준비부터 통마늘선별까지의 일관기계화로 투입된 주요작업의 노력은 75∼76%가 절감되고, 재배규모 3ha기준시 비용은 44-53%절감되었음. the annealing texture. Observations by TEM and EBSD revealed the formation of very fine grains of ∼1.0$\mu\textrm{m}$ after CCSS.he 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Transition of Rice Culture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V. Preparation of Seeds and Land (주요 고농서를 통한 조성시대의 도작기술 발전 과정 영구 IV. 조선시대의 비곡종 및 경지관리)

  • Lee, Sung-Kyum;Guh, Ja-Ok;Lee, Eun-Woong;Lee, Hong-Su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6 no.6
    • /
    • pp.576-585
    • /
    • 1991
  • General procedures of seed preparation as conventional guide had been established in China before most of Korean literature documented them. ‘Chwijongbeob’ (method of seed select) was to select good quality of seeds and to discard the rest. In ‘Seonjongbeob’ (method of seed grading) although China employed only ‘Sooseonbeob’ (method of seed select with water), but seeds were selected in order of selection of seeds by winds, selection of seeds by sieve and selection of seed with water in Korea. As compared with the recent techniques, those methods were perfect techniques for selection of good quality seeds of rice, except for method of seed selection by salt water was developed. The method for measurement of seed moisture, and for measurement of melted snow, spoiled urine and extracted juice by boiling water with the bone of livestock were originated from ancient China. The farming books in Korea were more or less followed the above methods. However, these techniques were complicated and impractical interms of validity and rationality. Also, it is judged that these tchniques are more appropriate in dry areas and alkaline soil of China rather than in Korean conditions. The plowing is a work to begin farming, and is operated for air ventilation between atmosphere and earth. Also, this techniques was adopted in the farming books from the early to the late Chosun dynasty without changes. Fields were deep-plowed in the first, in fall (or in spring) and for cultivation, and were shallow -plowed in the second, in spring (or in summer) and in intertillage. The former was for water reserve and land preparation, and the later was for weed control with intertillage. However, plowing in fall which was different from fallowing in dry areas, was recommended in Korea (Jikseol). but was not practiced in Sejongsilrok. This was changed with time, and plowing for cultivation in Korea was interrelated with use of green manure crops, method of plowing of upseting plough, method of manure practice and sometimes dry plowing. In addition, until the 15th century method of using a kind of plowing-tool made of log as farm tools was created to support reclamation for enlargement of farm land in mountaineous and coastal areas. For desolate farm lands by many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one tried to recover yield ability by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from the 17th or 18th century. To do this, ‘Banjongbeob’ (culture method by upset plowing weed control) and ‘Hwanubeob’(culture method by firing weed control) which were cultural methods of ancient China were readapoted but the results were not clearly informed. Also, the reality of those was reexamined in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 PDF

Improvement of Grinding Efficiency in Red-Pepper Milling Using Ceramic Roller mill (고추 분쇄용 세라믹 롤 분쇄기의 분쇄효율 향상)

  • 강위수;목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63-268
    • /
    • 2002
  • 본 연구는 고추분쇄용 세라믹 롤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춧가루 생산시,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고자 기존의 롤 분쇄속도 40rpm(0.352m/s)에서 80rpm(0.704%)으로 증가시키고, 기존의 롤 회전비 2:1에서 5:1로 증가시켜 고추분쇄시 전단력 증가로 분쇄능을 향상시켰고, 연구 내용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라믹치형롤 분쇄속도 40rpm(0.352m/s)에서는 롤 회전비 2:1에서 1,190$\mu\textrm{m}$ 입자가 32.7%, 590$\mu\textrm{m}$ 입자가 19.7%였고, 롤 회전비를 5:1로 증가시 590$\mu\textrm{m}$ 입자가 30.9%, 420$\mu\textrm{m}$ 입자가 17.2%로 중간 미분쇄 영역의 분포가 증가하여 미분쇄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2. 분쇄물의 롤 통과횟수에 따른 분쇄능은 세라믹치형롤 모두 분쇄속도 80rpm(0.704m/s)에서 분쇄물의 미분쇄능이 향상되었고, 분쇄생성물의 임계처리 횟수가 3~4차임을 분석할 수 있었다. 3. 보통 고춧가루를 생산하는데 분쇄속도 40rpm(0.352m/s), 80rpm(0.704m/s), 두 롤의 회전비 2:1, 3:1, 4:1하에서는 생산되지 않았으나, 롤 회전비 5:1에서는 분쇄속도 40rpm(0.352m/s)일 경우 7차 분쇄후에, 분쇄속도 80rpm(0.704m/s)일 경우 5차분쇄후에 생성되어 분쇄처리횟수가 2회정도 단축되어 전단력 증가로 인하여 분쇄능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기존의 고춧가루 분쇄조건인 분쇄속도 40rpm(0.352m/s), 롤 회전비 2:1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쇄속도 80rpm(0.704m/s), 롤 회전비 5:1인 분쇄조건이, 분쇄처리 횟수 단축 등이 분석됨으로서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고춧가루 등의 재료가공 분쇄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늘재배 일관기계화에 의한 노동투하시간과 비용 -종자준비부터 통마늘선별까지의 일관기계화로 투입된 주요작업의 노력은 75∼76%가 절감되고, 재배규모 3ha기준시 비용은 44-53%절감되었음. the annealing texture. Observations by TEM and EBSD revealed the formation of very fine grains of ∼1.0$\mu\textrm{m}$ after CCSS.he 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0.24(100%)에 비하여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0.85$\pm$0.23; 61%, P<0.01), 그리고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 1.32$\pm$0.29 ; 94%)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선종의 크기별 종양의 발생개수의

  • PDF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Sprout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Variety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Southern Paddy Field (남부지역 친환경 논 재배를 위한 나물콩 품종 선발 및 품질 평가)

  • Kim, Young-Jin;Lee, Kwang-Won;Cho, Sang-Kyun;Oh, Young-Jin;Shin, Sang-Ouk;Paik, Chae-Hoon;Kim, Kyong-Ho;Kim, Tae-Soo;Kim, Ki-Jong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9 no.3
    • /
    • pp.357-372
    • /
    • 2011
  •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select the suitable sprout soybean varieties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paddy field of southern part area, compares of excess moisture injury degree and yield ability among 29 sprout soybean varieties. Plant growth of sprout soybean was generally low in beginning and recovered after flowering due to rainfall. In paddy field cultivation, number of pod per individual and number of seed per individual were less in difference than upland cultivation, and maturing date was delayed 5-14 days than upland cultivation in most species. Whe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pest injury was not caused major problem for the growth during the vegetative period of soybean due to ground spider as natural enemy to insect pest. However, damage of stink bugs showed sever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and Dawonkong, Anpyeongkong, Dachaekong and Wonhwangkong showed susceptible to sting bug. SMV infection was weak and showed some necrosis symptoms in Sokangkong, but black root rot was not infected at all. Bacterial pustule began to be infected slowly from pod enlargement stage in most species, displayed severe symptoms in Dawonkong, Pungsannamulkong, Seonamkong and Sobaeknamulkong. The symptoms of pod anthracnose, pod blight and purple spot were greatly appeared after flowering. Disease resistance varieties was Paldokong, Kwangankong, Doremikong, Somyeongkong, Pungsannamulkong, Iksa-namulkong, Seonamkong, Sojinkong, Pureunkong, Bosugkong, Namhaekong and Sorokkong. Lodging index showed 3 in Saebyeolkong, and other species displayed slight lodging in 0-3 degree. 100-seed weight is 9.8-17.2g extent and increased 0.1-3.7g than upland cultivation in most species, but decreased in some species. Government purchase standard, species correspond to small-seed-size namulkong (Sizing screen diameter 4.0-5.6 mm) was Dawonkong, Dachaekong, Bosugkong, Seonamkong, Sokangkong, Hannamkong, Somyeongkong and Wonhwangkong. Species which seed yield was higher than Pungsannamulkong (266kg/10a) were Sorokkong, Hannamkong, Bosugkong and Sowonkong. Considering sprout soybean species, disease endurance, insect resistance, lodging resistance, 100-seed weight, yield ability and excess moisture tolerances synthetically, Seonamkong, Hannamkong, Doremikong, Bosugkong, Pungwonkong, Kwangankong, Sowonkong, Dagikong, Paldokong, Eunhakong and Pungsannamulkong were promising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paddy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