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실유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사람주나무 종실유의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Seed Oil of Sapium japonicum Pax. et Hoffm.)

  • 최명석;양재경;강병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4-282
    • /
    • 2000
  •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종실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구성성분을 다양한 분석법으로 구명하였다.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를 구성하는 지질은 중성지질이 93% 로 가장 높고 , glycolipid 가 4.9%, phospholipid가 1.3%로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 사람주나무의 종실에는 9종의 지방산이 존재하였다.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기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종실유 중 3종의 지질은 silica open column을 통해 분획하고, 이들의 지방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3종의 지질 중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채취직후의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된 종실유의 지방산에 비해 전반적으로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는 화장품, 세정제, 의약품 등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각종(各種)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ying Seed Oils of Korean Origin)

  • 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19-26
    • /
    • 1975
  • The role of fat is important from nutritional standpoint.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fat are energy yielding as well as the carrier of fat soluble vitamins, with special activities of essential fatty acids. It is fortunate that Korean families prefer to use vegetable oils rather than those from animal origin. But the problems are focused on better qaulity of food oils with attempt to exploit the available resourc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e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origin both from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resources of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seeds of red pepper, Korean squash, sesame, perilla (var Japonica), and Korean pine nuts and walnuts were 24.3%, 56.6%, 56.4%, 46.9%, 69.8%, and 67.2%, respectively. 2. The saponification numbers of samples ranged from 190 to 200. It showed that the mean molecular weights of fatty acids composing the lipids were very much closed each other. 3. Iodine numbers of varing seed oils ranged from 96.5 of Korean squash seed oil to 124.6 of walnut oil. Oils obtained from squash seeds and sesame see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while others ranged from 122 to 125. 4.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squash seed oil was composed mainly of unsaturated fatty acids, 74.9% of which was oleic acid, whereas red pepper seed oil, pine nut oil, and sesame oil contained linoleic acid as a major component showing 64.4%, 56%, 48.8%, and 47.8%, respectively. In perilla seed oil, the amount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14.1% and 58%, respectively which meant nearly three-fourths of the total fatty acidsbeing the unsaturated essential fatty acids. This study will encourage the use of thes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vegetable oils which have highr ratios of poly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 PDF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헥산 추출 종실유의 지방산 분석 및 3T3-L1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과 랩틴 분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alysis of Seed Oil Fatty Acids and Their Effect 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in 3T3-L1 Adipocytes)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이정일;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3-110
    • /
    • 2015
  • 본 연구에는 고추씨기름, 녹차씨기름, 들깨기름, 땅콩기름, 목화씨기름, 참깨기름, 호두기름, 홍화씨기름의 fatty acid 구성을 분석하여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과반이상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들깨기름은 특이하게 linolenic acid(57.8%)가 과반이상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재료의 일반성분과 추출한 기름의 품질을 측정하여 식용유 및 튀김용 기름으로 사용하기에 식품공전의 식용유지 및 튀김용유지의 기준 및 규격에 잠재적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실유들의 생리활성을 예측하기위해 세포독성, 지방축적 및 leptin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종실유가 0.2 mg/mL 이하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추씨기름(67%, 0.05 mg/mL), 들깨기름(63%, 0.05 mg/mL; 72%, 0.1 mg/mL), 땅콩 기름(58%, 0.05 mg/mL; 68%, 0.1 mg/mL)의 처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 p<0.001)에서 3T3-L1 세포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고추씨기름(119%, 0.1 mg/mL), 들깨기름(119%, 0.05 mg/mL), 땅콩기름(122%, 0.05 mg/mL; 136%, 0.1 mg/mL), 참깨기름(139%, 0.05 mg/mL; 147%, 0.1 mg/mL), 호두기름(115%, 0.1 mg/mL), 홍화씨기름(114%, 0.1 mg/mL)의 처리가 3T3-L1 세포에서 leptin의 분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p<0.01, p<0.001)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유의 정제 및 대량생산 공정개발 등의 향후 연구가 많이 남아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종실유들이 식용유소재 및 요리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유효한 생리활성을 포함하고 있어 기능석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銀Ion 및 역상(逆相) HPLC를 이용(利用)한 입체이성체적(立體異性體的) 분석(分析)에 의한 은행종실유(銀杏種實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에 관한 연구(硏究) (The Stereospecific Analysis of the Triacylglycerols of Ginkgo Nut Oils by High-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n the Silver Ion and Reversed Phase Modes)

  • 조용계;우효경;김훈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76
    • /
    • 1997
  • Triacylglycerols of the seeds of Ginkgo biloba have been resolved by high-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n the silver-ion and reverse-phase modes. The fatty acids were identified by a combination of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nd gas-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s the methyl and /or picolinyl ester. The main components are $C_{18:2{\omega}6}$(39.0mol%), $C_{18:1{\omega}7}$(asclepic acid 21.5mol%), and $C_{18:1{\omega}9}$(oleic acid, 13.8mol%). Considerable amounts of unusual acid such as $C_{20:3{\Delta}^{5,11,14}$ (5.7mol%), $C_{18:2{\Delta}^{5,9}$(2.8mol%), and $C_{18:3}{\Delta}^{5,9,12}$(1.6mol%), were checked. In addition, an anteiso-branched fatty acid, 14-methylhexadecanoic acid, was also present as a minor component(0.9 mol%). The triacylglycerols were separated into 17 fractions by reverse-phase HPLC, and the fractionation was achieved according to the partition numnber(PN) in which a ${\Delta}^5$-non methylene interrupted double bond($^5$-NMDB) showed different behaviour from a methylene interrupted double bond in a molecule with a given cahinlength. Silver-ion HPLC exhibited excellent resolution in which fractions(23 fractions) were resolv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and configuration of double bonds. In this instance, the strength of interaction of a ${\Delta}^5$-NMDB system with silver ions seemed to be weaker than a methylene interrupted double bond system. The principal triacylglycerol species are as follows ; $(C_{18:2{\omega}6)2}/C_{18:1{\omega}7}$, $C_{18:1{\omega}9}/C_{18:1{\omega}7}/C_{18:2{\omega}6}$, $(C_{18:1{\omega}7)2}/C_{18:2{\omega}6}$, $C_{16:1{\omega}7}/C_{18:1{\omega}9}/C_{20:3}{\Delta}^{5,11,14}$, $C_{16:1{\omega}7}/C_{18:1{\omega}7}/C_{20:3}{\Delta}^{5,11,14}$, $C_{18:1{\omega}9}/C_{18:1{\omega}7}/C_{18:2{\omega}6}$, $C_{18:1{\omega}9}/C_{18:2}{\Delta}^{5,5}/C_{20:3}{\Delta}^{5,11,14}$, $(C_{18:1{\omega}7)2}/C_{18:2{\omega}6}$ and $(C_{18:1{\omega}9)2}/C_{18:2{\omega}6}$, while simple triacylglycerols without $C_{18:2{\omega}6})_3$ were not present. Stereospecific analysis showed that fatty acids with ${\Delta}^5$-NMDB system and saturated chains were predominantly located at the site of sn-3 carbon of glycerol backbones.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symmetry in the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 the TG molecules of Ginkgo nut oils.

종실유(seeds oil)의 위치별 지방산 및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조성 연구 (Study on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Fatty Acids, and Triacylglycerol Separation, of Seed Oils)

  • 문준희;황윤익;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26-7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6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조지방 함량(crude fat content) 측정 및 총 지방산 조성과 위치별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triacylglycerol(TAG)의 조성과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Folch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조지방 함량은 들깨 21.64%, 홍화씨 13.85%, 고추씨 9.60%, 석류씨 8.85%, 녹두 2.25%, 결명자 2.00%로 나타났다. 추출된 종실유의 지방산 분석결과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가 81.57 wt%~46.17 wt%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88.30 wt%~15.99 wt%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riacylglycerol(TAG)의 조성은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artition number(PN)=36~48의 분포를 보였다. Total tocopherol의 함량은 석류씨에서 가장 높은 377.74 mg /100 g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각각 녹두(141.16 mg/100 g), 결명자(107.23 mg/100 g), 고추씨(33.88 mg/100 g), 들깨(30.05 mg/100 g), 홍화씨(29.80 mg/100 g) 순으로 측정되었다.

유지(油紙) 관련 고문헌 고찰 - 조선시대 문헌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Oiled Paper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 신효영;최태호;정선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94-210
    • /
    • 2013
  • 유지(油紙)는 선조들이 사용했던 생활필수품으로 종이에 기름을 먹인 전통적인 가공지이다. 그러나 현재 유지(油紙)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유지의 문헌사적 연구를 통해 유지의 기원과 명칭, 용도, 제작기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고문헌으로 확인된 유지의 기원은 "고려도경(高麗圖經)", "고려사(高麗史)"의 내용을 통해 고려시대로 추정하였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나타난 기름과 종이의 기록으로 보아 7세기경부터 유지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조선시대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일성록(日省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기록을 통해 유지의 명칭과 사용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의궤류와 "탁지준절(度支準折)" 등 기타 여러 분야의 고문헌 내용을 바탕으로 절가와 용도, 제작재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선시대의 문헌 조사결과 유지는 방수, 방습, 투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각종 생활 용품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용도와 제작과정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 유지 관련 문헌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전통 유지 복원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현재 남아 있는 유지 유물조사연구와 전통 유지 샘플 제작 실험, 또한 유지를 제작하고 있는 장인들에 대한 사례 조사가 병행되어 전통 유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자 종실유의 지방산 조성 및 산화안정성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Citron Seed Oils)

  • 이수정;최선영;신정혜;김성현;임현철;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7-432
    • /
    • 2006
  • 유자 종실유의 식용유지로 이용가능성을 평가하여 위하여 지방산의 조성 및 산화안정성 효과를 검색하였다. 착유 수율은 볶지 않은 유자 종실유에서 55.4%, 볶은 유자 종실유에서 56.8%였다. 무기물은 총 4종이 검출되었고, 볶지 않고 착유한 종실유와 볶은 종실유에서 총 무기물의 함량은 각각 2,820.33 mg/kg, 1,702.55 mg/kg이었으며,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Linole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으로 볶지 않은 종실유는 전체의 77.12% 볶은 종실유는 67.67%로 볶음 처리 후 지방산의 함량이 감소되었다. 저장 및 가열동안 모든 시료 유지의 과산화물가 및 산가는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저장 기간동안 과산화물가는 저장 28일에 볶지 않은 종실유에서 $84.17{\pm}1.68meq/kg$, 볶은 종실유에서 $76.46{\pm}1.19meq/kg$이었으며, 산가는 $9.52{\pm}0.27mg\;KOH/g,\;8.35{\pm}0.09mg\;KOH/g$이었다. $180^{\circ}C$에서 48시간 가열 후에 과산화물가는 볶음처리에 상관없이 약 3.8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산가는 볶지 않은 종실유에서 8.3배, 볶은 종실유에서 약 6.4배 증가되었다. 유자종실유는 가열과정보다 저장시에 산화안정성이 대두유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압착식, 압출식 착유 대마 종실유의 색깔과 주요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lor and major components of hempseed oils extracted with pressuring and extruding methods)

  • 문윤호;송연상;김광수;이지은;유경단;이영화;이경보;최인성;차영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66-672
    • /
    • 2017
  •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gamma}$-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alpha}$-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gamma}$-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순형과(脣形科) 종실유(種實油)의 지질분획별(脂質分劃別)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Lipid Classes of Seed Oils of the Labiatae Family)

  • 조용계;이왕경;임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3
    • /
    • 1988
  • Contents of total lipids,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of seed oils of 16 species of the Labiatae family were deter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ipid contents of seeds were shown to be 40.6% in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32.2%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31.9% in lsodon japonicus, 32.7% in l. inflexus, 48.3% in l. serra, 35.1% in Mosls dianthera, 38.2% in M. punctulata, 33.4% in Nepeta cataria, 26.3% in Agastache rugosa, 30.9% in Eisholtzia ciliata, 18.9% in Salvia splendens, 23.9% in Lycopus maackianus, 49.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30.9% in Ametystea caerulea, 33.1% in Leonurus sibircus and 34.3% in Scutellaria basicalensis. 2) Contents of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rom the seed oils amounted to 98.6%, 0.7%, 0.8%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95.5%, 1.3%, 3.1%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95.1%, 1.8%, 3.1% in l. japoincus; 91.4%, 3.5%, 5.1% in l. inflexus; 96.8%, 0.7%, 2.5% in l, serra; 96.0%, 1.8%, 2.2% in Mosla dianthera; 94.7%, 2.0%, 3.3% in M. punctulata; 90.1%, 2.4%, 7.5% in Nepeta cataria; 90.1%, 3.4%, 6.5% in Agastache rugosa; 86.3%, 3.3%, 10.4% in Elsholtzia ciliata; 94.3%, 1.5%, 4.3% in Salvia splendens; 87.2%, 2.9%, 9.0% in Lycopus maackianus; 87.0%, 1.5%, 11.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91.8%, 1.6%, 6.6%; 95.5%, 0.4%, 4.1% in Leonurus sibricus; 89.0%, 1.4%, 9.6% in Scutellaria baicalensis. 3) Total lipids revealed the predominace of unsaturated fatty acids (82.0-94.5%) and larger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mposition of ${\alpha}-linolenic$ acid (0.4-67.9%) and linoleic acid (11.2-82.9%). High level of ${\alpha}-linoenic$ acid was present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67.9%),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66.0%), lsodon japonicus (65.2%), l. inflexus (59.0%), l. serra (57.3%), Mosla dianthera (60.9%), Nepeta cataria (58.3%), Agastache rugosa (58.5%) and Elsholtzia ciliata (46.2%), and followed by linoleic acid (11.2-32.1%) and oleic acid (9.3-12.2%). However, linole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in the total lipids of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62.4%), Ametystea caerules (82.9%), Leonurus sibricus (60.9%) and Scutellaria baicalensis (63.4%), with very small amounts of ${\alpha}-linolenic$ acid (0.4-3.1%). The total lipids of Salvia splendens, Lycopus maackianus and Mosla punctulata also contained linoleic acid of 31.3%, 48.8% and 53.4%,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alpha}-linolenic$ acid of 34.5% 27.0% and 16.7%. Palmitic acid was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 in all the oils investigated (4.1-14.2%). 4) Fatty acid profiles of neutral lipids bore a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total lipids in all the seed oils, but different from those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atty acid composition pattern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showed a considerably increased level of saturated fatty acids (19.0-66.8%, 17.8-35.2%) mainly composed of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and a noticeable low level of unsaturated fatty acids (41.2-80.9%, 64.7-82.1%) which was ascribed to the decrease in ${\alpha}-linolenic$ acid of high ${\alpha}-linolenic$ acid seed oils, and in linoleic acid of high linoleic seed oils, compared to that of total lipids and neutral lip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