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수

Search Result 65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Cladoceran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Microhabitat Types (미소서식처 유형별 지각류 (Cladocerans)의 분포 특성)

  • Jong-Yun Cho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8 no.3
    • /
    • pp.324-337
    • /
    • 2024
  • Aquatic macrophytes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cladocerans, but the effects of cladocerans on plant species composition or structure have not been fully considered. In South Korea, wetlands and reservoirs that are prone to covering aquatic macrophytes are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n aquatic macrophytes study, when aquatic animals including cladoceran were studied. in this study, the species and abundance of cladocerans community in six microhabitat types a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se results, habitat conser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are suggested. The high species numbers and abundance of cladocerans communities were found in mixed plant communities consisting of free-floating, floating-leaved, and submerged plants. The inclusion of submerged plants in plant communities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complexity of habitat structures, and may increase species and abundance of cladocenran communities. This can be compared to a plant community consisting only of free-floating and floating-leaved plants in the absence of submerged plants, thereby identifying the efficiency of submerged plants. In the mixed plant communities,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due to the emergence of cladoceran species (Graptoleveris testudinaria, Ilyocryptus spinifer, and Leydigia acanthococcides) absent from other plant communities. The gradual increase in the biomass (g) of submerged plants in the mixed plant commun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ecies numbers and abundance of cladoceran communities (p<0.05). This is strong evidence that the increase of submerged plants in mixed plant commun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as a habitat for cladocerans. Although submeged plants do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ir landscape/aesthetic value because they are submerged in water, they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species diversity in terms of biology, so the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creating/restoring wetlands.

통계로 읽는 한국출판계 변천사

  • Park, Nam-Je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4
    • /
    • pp.18-19
    • /
    • 1995
  • 45년, 해방의 기쁨에 도취해 시작한 출판은 60년대의 경제부흥, 70년대 문고본 양산, 80년대 지속적 성장세를 거쳐 90년대에 이르기까지 현대사의 부침과 행보를 함께 했다. 46년말 약 1천종에 불과했던 발행 종수는 이제 3만종에 육박하고, 출판사수는 1만개사를 넘어 비약적 성장을 거듭한 출판계 앞에는 정보화 국제화의 과제가 놓여 있다.

  • PDF

해외유출 전적문화재 어떤 것들 있나

  • Jeong, Hye-O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36
    • /
    • pp.4-5
    • /
    • 1993
  • 해외에 유출돼 있는 우리 고서 중에는 국학연구에 없어서는 안될 귀중서도 적지 않다. 하지만 지금의 실정은 구체적인 소재지는 물론 그 대략적인 종수, 목록조차 파악되지 못한 것이 수두룩하다. 이번 외규장각도서 반환문제를 계기로 해외 고서들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한다고 학자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은다.

  • PDF

국내 유일의 아동도서 전문유통 '서당'

  • Han, Ga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69
    • /
    • pp.18-18
    • /
    • 1995
  • 지난 93년 출범한 '서당'은 국내 유일의 아동도서 전문유통회사이다. 각 출판사에서 발간되는 어린이책들 가운데 비교적 양질의 책을 선별 구입, 전국의 어린이 전문서점에 공급하고 있다. 초창기엔 종수 자체가 적어 전집을 구입해 낱권으로 공급하기도 했지만, 이젠 단행본 시장도 활발해 '어린이 문화'의 번창을 기대할만하다는 전망이다.

  • PDF

우울증에 시달린 '95 상반기 출판가

  • Choe, Tae-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3
    • /
    • pp.8-8
    • /
    • 1995
  • 도서대여점, 가격파괴 바람, 종이 수급의 어려움 등 악재가 겹친 상반기 단행본 출판시장은 최악의 불황을 겪었다. 출판협회가 집계한 지난 상반기(1월-5월) 통계에 따르면 작년 동기와 비교해 출판 종수는 줄고, 부수는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소비감소에 공급과정까지 겹쳐 업계에 고통을 더하고 있는 것이다.

  • PDF

경제.경영서로 불황극복 꾀한 상반기 출판

  • Lee, Hyeon-J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9
    • /
    • pp.13-13
    • /
    • 1998
  • '98 상반기 출판계를 강타한 최대 이슈 역시 IMF사태. 제작비 상승, 문화비 절감 등 안팎의 원인이 출판계를 압박했다. 하지만 새정부의 납본 독려로 통계상 발행종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베스트셀러에서는 따뜻한 이야기를 담은 비소설이 상위권을 휩쓴 가운데 분야별로 경제.경영서가 약진을 보였다.

  • PDF

출판통계 - 2008년 출판 발행부수 20% 감소 (경기침체 영향...종수는 소폭 증가)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8 no.3
    • /
    • pp.50-51
    • /
    • 2009
  • (사)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백석기)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문화체육관광부, 국회도서관의 납본업무를 대행하고 납본된 도서를 기준으로 출판 통계를 집계하고 있다. 지난 1년(2008.1.1${\sim}$12.31.)동안 출협을 통해 납본된 신간 도서(정기간행물 및 교과서 등 제외)의 발행량 및 분야별 현황, 평균 정가, 평균 면수 등은 다음과 같다.

  • PDF

Bioecological Study of the Upwelling Area Around Cheju Island -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Chagwi-do, Cheju Island - (제주도 주변 요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

  • 이정재;현재민;김종철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1-2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제주도 차귀도 4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9문, 17강, 35목, 75과, 146종이었다.2. 계절별 출현종수는 춘계에 124종, 하계 113종, 추계 99종, 동계에 86종이었다.3.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1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N. exigua), 제2우점은 거북선(P. mitalla). (N.japonica),울타리고둥(M. labio), 중부구역은 배무래기(N. schrenkii), 밤고둥(C. argyrostoma lischkei), 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M. perplexa), 검은따개비(T. squamosa japonica)가 지점에 따라 제1, 제2우점종을 이루었다. 하부구역은 밤고둥, 검은따개비, 줄군부 (L. coreanica), 거북손, 굵은줄격판담치(S. virgatus)가 지점에 따라 우점하였으며, 상부구역 우점종의 군집우점지수는 매우 높았다.4. 조간대 하부구역의 종다양성은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고 계절별 출현종수에 유의성이 있었으나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는 없었다.5.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에는 상. 중. 하 구역별유의성은 없었고 풍부도에서는 상부구역에서 유의하였다.6. 제주 미기록종으로 부채넓적이끼벌레(D. su-bovoidea), 딱지조개(P. japonica), 목주림고둥(T. guerinii), 전촉수갯지렁이(A. validus), 바다거미(L. hilgendorfi)가 채집되었다.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Sinhungsa - Wasondae Area,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 - 신흥사~와선대지역 -)

  • 최송현;권전오;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2
    • /
    • pp.270-282
    • /
    • 1997
  • This investgation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program of the Soraksan national park. Six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in the Sinhungsa-Wasondae Area.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o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serrata commun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CA ordin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succession of the Pinus densiflora comunity would proceed to Quercus serrata community of which components was dominant in understory layer and shrub layer. And it was found out that in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the Pinus densiflora being mainly big size in DBH would becomr dominant comtinuously. Shannon's diversity of both community were 1.2554 and 1.1134 respectively. The numbers of woody species per 100m$^{2}$ ranged 7 to 26, and the average number of woody species was 13.

  • PDF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 Lee Tae Wo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4
    • /
    • pp.512-519
    • /
    • 1999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samples collected using an otter trawl from January to October 1991. Of 59 species identified, Repomucenus lunatu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Repomucenus heguenini, Ammodytes personatus and Sillago japonica were dominated in abundance. Number of spiecies and biomass were low in winter and high in spring and summer. Species composition did not show spatial variation but showed seasonal variation. Number of spicies, abundance in number of individuals ($630 inds./10^3\;m^2$) and in biomass ($13,131g/10^3\;m^2$), and species diversity (2.00-2.54) of fish in Yongil Ba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astal waters in the Yellow Sea or in the South Sea of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