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묘

Search Result 62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진해 잠도산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모패의 생식 특성과 건강도

  • 박미선;조규태;안철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91-492
    • /
    • 2000
  • 국내 패류양식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피조개는 지금까지 자연채묘에 의존하여 양식용 종묘를 확보해 오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지구온난화에 의한 수온 상승, 이상해황의 발생, 육상 오염물질의 유입 등에 의한 채묘부진 현상으로 안정적 양식용 종묘 수급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조개 채묘부진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자연산 피조개 서식지인 진해만 잠도에서 채집한 피조개 모패의 성숙 및 산란 특성과 생식주기에 따를 모패의 건강도를 구명하였다. (중략)

  • PDF

키토산 올리고당을 투여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 효과

  • 이영돈;송영보;문순주;박승림;문영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90-291
    • /
    • 2000
  • 우리나라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양식은 1980년대 들어 인공종묘생산 기술 개발된 이후 현재 양식기술의 보편화로 종묘생산부터 양성까지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고 대부분 대량양산 체제로 경영하고 있다. 넙치 사육에서 공급되는 사료는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 할 뿐만아니라 사료의 질에 따라 영양성의 다양한 질병 발생으로 양식어가에 많은 애로를 안겨주고 있다. (중략)

  • PDF

Artemia 대체먹이생물을 개발하기 위한 해산 요각류 6종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의 비교

  • 정재훈;박흠기;이균우;이상민;신은경;김일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67-268
    • /
    • 2001
  • 양식산업 초기에는 해양의 먹이사슬에서 해산어류의 초기먹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요각류를 자연 수역에서 직접 채집하여 먹이로 이용하였으나, rotifer와 Artemia가 먹이생물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현재까지 해산어류 종묘생산장에서 이들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특히, Artemia는 cyst를 쉽게 부화시켜 먹이로 공급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해산 어류 종묘생산시 매년 그 수요량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서해안 축제식 양식장의 해양미세조류의 조성과 먹이사슬을 통한 어류생산력에 관한 연구

  • 박관순;신현웅;방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81-282
    • /
    • 2001
  • 미세조류의 배양은 천해양식 생물의 종묘생산 시 먹이생물로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종묘생산은 친어(brood stock)의 관리와 산란된 난에서 부화된 자ㆍ치어의 사육으로 구분할수 있다. 이때 자ㆍ치어 사육의 근본적인 과제는 적합한 먹이생물의 확보이며 이는 곧 미세조류의 대량배양이라 할 수 있다. 먹이생물이 확보되지 못한 생태에서는 자ㆍ치어 사육은 불가능하므로 천해양식산업에서 미세조류의 배양은 가장 중요한 근본과제이다. (중략)

  • PDF

The useful of the tangible contents for watching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the Sajikdan (종묘와 사직단 제례 실감형콘텐츠 활용 방안)

  • Kim, HeeJae;Choi, He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7-88
    • /
    • 2016
  •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묘와 사직단은 제례의식이 거행되던 곳으로 실제 재현은 1년에 약 한번 정도 진행되며 이것을 보기위해 관람객이 몰리게 된다. 이것은 일종의 병목현상처럼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평소 관람객에게도 실제 재현과 같은 효과를 보여주기 위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증강현실(AR)기기 '홀로렌즈(Hololens)' 기법을 바탕으로 관람자들에게 이용의 편의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실내사육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자가 성숙 및 산란 유도를 위한 염분의 영향

  • 한형균;강덕영;전창영;허성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36-337
    • /
    • 2001
  • 유용 어종의 안정적 종묘생산 및 완전 양식 산업화를 위한 전제 조건은 대상 종의 어미확보에 의한 인공수정란의 생산이 필수적이다. 종묘생산시 양질의 수정란을 대량으로 확보하는 데는 수조내에서 어미를 사육 관리하여 자연 산란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넙치을 비롯한 일부 어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신품종의 경우 호르몬제 사용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해수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내구란의 보존조건에 따른 부화율 조사

  • 조수근;최연호;박흠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61-362
    • /
    • 2001
  • 어류의 초기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rotifer의 배양은 국내에서 대부분 어류종묘를 생산하는 시기는 물론이고 초기먹이생물이 불필요한 시기에도 차기의 잠재적 수요를 위하여 연중 유지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살아 있는 상태의 rotifer를 분양 또는 공급하는 것은 계속 배양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높은 생산원가를 감수해야 하고, 또 수요가 일시에 증가하는 어류 종묘 생산기에는 적기에 필요량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수요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중략)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사육밀도별 성장과 생존율

  • 정해진;문승현;장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81-382
    • /
    • 2001
  •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는 식용으로 기호도가 높고 유용 수산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높으나 성장이나 자원량에 관한 기초 생물학적인 조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중금속, 농약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 자연산 다슬기의 식용 가능성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자연자원도 급격히 줄어 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슬기의 종묘생산 및 양식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 종에 대한 번식생물학적인 연구 (Chang et al., 2000)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슬기 종묘의 성장 상황에 대한 기준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략)

  • PDF

해산어 종묘생산을 위한 물벼룩의 영양강화

  • 손의정;강석중;최병대;김광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87-388
    • /
    • 2001
  • 근래에 들어 어류 양식 분야가 활기를 띠면서 어류 종묘생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먹이생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고 이에 대응하는 먹이생물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먹이생물로 이용되어온 것은 Chlorella와 Rotifer, Artemia등이며 Chlorella와 Rotifer는 현재까지 배양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어 이용되고 있으나 Artemia는 전세계적으로 생산이 급감하는 추세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는 전량수입에 의존하여 국가적 손실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체먹이생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김 등, 1999). (중략)

  • PDF

국내 양식어종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viral nervous necrosis)

  • 김석렬;김영진;김진도;정성주;오명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11-512
    • /
    • 2001
  • VNN(viral nervous necrosis)는 종묘단계 및 양성장의 해산어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외견적으로 척추만곡, 이상유영, 체색흑화와 조직학적으로는 뇌와 망막에 공포 및 괴사를 형성하고, 또한 매우 높은 폐사율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질병은 성공적인 종묘의 생산 및 보급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사항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