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곡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일본해역에 있어서의 명태 어획량의 변동과 수온과의 관계

  • 오태기;앵본화미;장곡천성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62-363
    • /
    • 2001
  • 명태는 한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 해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그 중 일본 최대의 산란장인 홋카이도의 A지역(종곡, 유맹, 후지)어획량은 1976년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획량 변동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일본해역에 있어서의 명태 어획량의 시공간적 변동(시공간적배동)의 특징을 검토한다. 일반적으로 어획량의 변동은 어장에 있어서의 어업형태 또는 내유(來遊)하는 계통군(系統群)의 변화, 해양환경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곡'(谷)계 지명 농촌마을의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괴산군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in Rural Area of Valley Category)

  • 노선화;문병선;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03-111
    • /
    • 2007
  • After researching 154 rural areas named 'valley' in Goesan County, Chungbuk Province, they are classified by 2 two classes. Firstly, villages located on the crossways valley are 109 of 154, they are located on the valley which is at right angles with a direction of light of a mountain range. A closed valley location is placed in the deep valley against a background mountain range. It is divided with closed large valley and small valley. Secondly, an open valley location style is 45 of 154. It means the villages are paralleled with a direction of mountain and located with same direction of entrance.

  • PDF

18세기 《팔의기八義記》 공연본 연구 - 『철백구綴白裘』 본 절자희折子戱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ed acts of "Ba-Yi-ji" in Zui-bai-qiu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 오수경;서수민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95-128
    • /
    • 2010
  • 본고에서는 "철백구" 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 "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 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 본 "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 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 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곡'계 지명 농촌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충북 괴산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in Rural Area of Valley Category focused on Geosan County in Chungbuk Province)

  • 김태영;강상문;권순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7-35
    • /
    • 2008
  • After researching 40 rural areas named 'valley' in Goesan County, Chungbuk Province, they are classified by 2 two classes. Firstly, villages located on the crossways valley are 22 of 40, they are located on the valley which is at right angles with a direction of light of a mountain range. A closed valley location is placed in the deep valley against a background mountain range. It is divided with closed large valley and small valley. Secondly, an open valley location style is 14 of 40. It means the villages are paralleled with a direction of mountain and located with same direction of entrance.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location in vernacular agricultural villages by judging from natural environment around the village. For this purpose, there were selected 3 villages of the valley categirized villages in Geosan Area which lean against valley. After classifying these sample by the morphorogical approach, according to compare them with pre-researched villages, the methodology of spatial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agriculture vill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