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족관절 관절염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심한 후족부 변형 및 경거종골간 관절염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의 가치 (Value of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n Severe Hindfoot Deformity and Arthritis)

  • 박재구;정형진;배서영;이정환;김휘영;이준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3-140
    • /
    • 2019
  • 목적: 심한 후족부 변형 및 족관절 및 거골하 관절염에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여 방사선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한 후족부 변형이나 진행된 관절염으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 받은 22명(22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7.4세(22-82세), 평균 추시 기간은 29.6개월(12-74개월)이었다. 방사선적 평가로 수술 전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 후족부 정렬각, 시상면상 정렬각을 측정하였으며, 술 후 골유합 시기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또한 변형각 10°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4명에서 17.8°±14.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6.6°였다. 술 후 모든 예에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평균 후 족부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2명에서 15.2°±10.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4.2°였다. 술 후 94.4% (17명)에서 후족부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방사선적 골유합은 90.9%에서 평균 19.2주(12-32주)에 이루어졌으며, 2예의 불유합이 있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술 후 평균 VAS 및 AOFA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1, p<0.001). 술 전 변형각 10° 이상의 심한 변형을 보인 경우에도 술 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과 후족부 정렬각은 의미있게 교정되었다(p<0.001, p<0.001). 또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이 10° 이상인 군과 10° 미만인 군 사이에 술 후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62). 결론: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은 만족스러운 변형 교정력, 높은 골유합률과 낮은 합병증을 보였으며, 임상적 결과의 향상을 보였기에 유용한 수술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특히 심각한 족관절 및 후족부 변형을 동반한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족근 관절 고정술 (Arthroscopic Ankle Arthrodesis Using Three Cannulated Screws)

  • 김경태;이송;고동오;양승진;전태환;양종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9-253
    • /
    • 2009
  • 목적: 말기 족근 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3개의 유관 나사와 관절경을 이용한 족근 관절 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관절경하에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하여 족근 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족근 관절 관절염 환자 15명,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8명, 여자가 7명 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2.2세였다. 임상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의 미국 정형외과 족부 족관절 학회(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의 족관절-후족부 기능 평가 기준(ankle-hindfoot functional scale), 시각 상사 척도 동통 점수(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 및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방사선적으로 방사선 전후, 측면과 mortise 사진을 측정하여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2개월이었다. 결과: 족관절-후족부 기능 평가 기준은 수술 전 평균 47.4점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 평균 82.5점으로 향상되었고, 시각 상사 척도 동통 점수는 수술 전 평균 8.6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2.4로 감소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7예(41.2%)에서 매우 만족, 8예(47.0%)에서 만족(good), 1예(5.9%)에서 보통, 1예(5.9%)에서 불만족 소견을 보였다. 모든 예에서 족근관절은 성공적으로 골유합이 되었으며 유합의 평균 시간은 9.1주였다. 결론: 관절경하에서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한 족근 관절 고정술은 좋은 임상 결과와 높은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진행된 족근 관절염에서 시행 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족관절 화농성 관절염이 동반된 난치성 외과 점액낭염의 음압 창상치료: 증례 보고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for Septic Ankle Arthritis Following Intractable Lateral Malleolar Bursitis: A Case Report)

  • 김지연;장지훈;정소학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0-194
    • /
    • 2021
  • A bursa is an obstructive sac filled with synovial fluid and usually occurs in any area of the body exposed to friction. The bursa of the ankle is not a normal anatomical structure and is caused by repetitive trauma, constant friction, or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nkle. Bursitis can occur in any bursa in the human body; however it rarely progresses to septic arthritis. We report a rare case of septic ankle arthritis following intractable lateral malleolar bursitis successfully treated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중증 족관절 관절염: 족관절 전치환술 (Severe Ankle Osteoarthritis: Treatment with Total Ankle Arthroplasty)

  • 정비오;정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5
    • /
    • 2018
  • Ankle osteoarthritis is a debilitating condition that causes severe pain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and decreased activity. Ankle osteoarthritis, unlike that of the knee or hip joint, is rare in primary arthritis. Most cases are traumatic arthritis that occur after ankle sprain or fractures or chronic ankle instability. Although ankle fu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standard treatment of ankle osteoarthritis in the past, total ankle arthroplasty (TAA)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mplant design and surgical techniques. TAA is biomechanically superior to ankle fusion by preserving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In particular, it is functionally superior to ankle fusion because it enables normal joint motion during gai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eserving the movement of the hindfoot and reducing the abnormal stress applied to the adjacent joints after ankle fus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ong-term adjacent joint arthritis. Although the short-term and mid-term results of TAA have been reported to be excellent, long-term follow-up has a relatively low survival rate and high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total knee or hip arthroplasty. Therefore, continuou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모턴씨 신경종(족지간 신경염) (Morton's Neuroma (Interdigital Neuritis))

  • 박현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8-61
    • /
    • 2011
  • 전족부 통증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모턴씨 신경종, 즉 족지간 신경염은 진정한 종양이 아니라 신경 포착 증후군의 일종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진단 시 정확한 이학적 검사와 함께 전족부 통증의 원인이 되는 다른 질환과도 감별해야 한다. 치료에 있어서는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되지 않는 환자에게 수술적 치료로서 신경절제술이 주로 시행되어 약 80%의 환자가 만족하는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수술 후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를 보이는 2~35%의 환자를 적절히 처치함으로써 족지간 신경염의 치료 결과를 좀 더 만족스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관상면 변형이 동반된 족관절염에서의 인공관절 치환술 (Total Ankle Arthroplasty in Ankle Arthritis with Coronal Plane Deformity)

  • 윤여권;박광환;박재용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57-162
    • /
    • 2022
  • Total ankle arthroplasty has become a viable motion-preserving alternative to ankle arthrodesis, especially in the last two decades. Recent improvements have been achieved in the strength of implant design and surgical technique. Nevertheless, addressing preoperative deformities is essential for successful outcomes of total ankle arthroplasty. Residual malalignment can produce instability and edge loading, causing acceleration of polyethylene wear, followed by osteolysis and an increased risk of revision surgery. Therefore, the accompanying deformities and their correction techniques need to be comprehensively elucidated and understood. In this article, we provide a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total ankle arthroplasty in arthritis with coronal plane varus and valgus deformities.

족관절 유합술 후 발생한 거주상 관절염의 전경골 건 개재 관절성형술: 증례 보고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for Talonavicular Arthritis after Ankle Arthrodesis: A Case Report)

  • 조성희;서민석;이은창;남대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0-53
    • /
    • 2021
  • Ankle arthrodesis has been used frequently for end-stage ankle arthritis that does not respond to conservative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ncerns regarding the degenerative changes to the adjacent joint, such as the subtalar or talonavicular joint, due to the altered biomechanics after the loss of ankle motion. Because the arthrodesis for these midtarsal joints may overload stress on another contiguous joint, a salvage procedure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joint sacrificing.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talonavicular arthritis after malunited ankle arthrodesis that was treated with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using the tibialis anterior tendon.

외측 족근중족관절에 발생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의 건 개재 관절성형술을 이용한 치료 (증례 보고) (Treatment with Tendon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for Rheumatoid Arthritis of the Lateral Tarsometatarsal Joint (A Case Report))

  • 김현옥;박진성;이동영;남대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9-333
    • /
    • 2013
  • Controversies exist regarding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end-stage arthritic change in the lateral tarsometatarsal joints. Arthrodesis has been frequently performed, but has a disadvantage of sacrificing a mobile joint. Resection arthroplasty also gained its popularity, especially in th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but possible hypermobility can lead to deformity. We report a successful clinical outcome of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the 4th, 5th tarsometatarsal joints treated with tendon interpositional arthroplasties.

말기 발목 관절염에 대한 술식 결정 및 환자 선택: 인공관절 치환술 vs. 관절유합술 (Surgical Decision and Patient Selection in End-Stage Ankle Arthritis: Total Ankle Arthroplasty vs. Arthrodesis)

  • 안정태;조병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1-117
    • /
    • 2022
  • Despite the lack of evidence-based standard guidelines to select the best surgical treatment option for end-stage ankle osteoarthritis, the rate of total ankle arthroplasty (TAA) is increasing rapidly relative to ankle arthrodesis (AA) with the development of implant designs and surgical techniques. Physicians and patients would benefit from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pain relief, functional improvement, the rates of complication or reoperation, and restoration of gait ability and sports activity. This paper overviews the current consensus on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for TAA and provides a literature review on a comparison of the clinical and functional results between TAA and AA.

족관절 관절염이 있는 환자에서 체중 부하상태의 양측 족관절과 환측 족관절 전후면 방사선 사진의 방사선학적 측정치의 비교 (Comparison of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Weight Bearing Affected Single Ankle Anteroposterior View and both Ankle Anteroposterior View in Ankle Osteoarthritis)

  • 김정래;이우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9-16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weight bearing affected single ankle anteroposterior (AP) view and both ankle AP view in ankle osteoarthritis (O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9 and August 2010, 41 patients (50 ankles) who visited our institution to treat ankle O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radiographic assessment, weight bearing affected single ankle AP view and both ankle AP view were checked, and measured tibial anterior surface angle (TAS), tibial medial malleolar angle (TMM), talar tilting angle (TT), maximum and minimun joint space width (JSW) of ankle, width between articular surface of medial malleolar and medial articular surface of talus as radiologic parameters. Results: On weight bearing both ankle AP view, TAS was $85.4{\pm}4.1^{\circ}$, TMM was $33.1{\pm}9^{\circ}$, TT was $5.4{\pm}6.1^{\circ}$, maximum JSW was $3.2{\pm}2.7$ mm, minimum JSW was $1.1{\pm}1.3$ mm, width between articular surface of medial malleolar and medial articular surface of talus was $1.8{\pm}1.8$ mm and on weight bearing affected ankle AP view, TAS was $85.3{\pm}3.9^{\circ}$, TMM was $34.3{\pm}10.9^{\circ}$, TT was $5.4{\pm}6.5^{\circ}$, maximum JSW was $3.2{\pm}2.7$ mm, minimum JSW was $1.1{\pm}1.3$ mm, width between articular surface of medial malleolar and medial articular surface of talus was $1.6{\pm}1.7$ mm. Conclusion: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weight-bearing affected single ankle AP view and both ankle AP view in ankle 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