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향 성능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Study on Improvement in Steering Performance of an Auto-Guided Tractor using a Laboratory-made HILS simulator (HILS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랙터 조향시스템 개선 연구)

  • Lee, Chang-Joo;Han, Xiongzhe;Jeon, Chanwoo;Kim, Junghoon;Kim, Ha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9-19
    • /
    • 2017
  • 자율주행 트랙터를 위한 트랙터 조향제어는 일반적으로 전자모터를 이용한 EPS(Electric Power Steering) 시스템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여 회전변위를 변경하고 그 결과 오비트롤(Orbitrol) 밸브의 토출유량을 바꾸고 호스로 연결된 조향실린더의 변위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전방 타이어의 방향각을 변경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향방식은 시스템 구조상 조향실린더와 오비트롤 밸브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밸브 특성상 약 ${\pm}5^{\circ}$의 오버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EPS의 전자모터는 관성력, 마찰, 백래시 등의 영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영향은 조향 응답을 느리게 만들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에서 주행에서 추종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트랙터의 조향성능 개선 연구의 일환으로 조향 HILS 시뮬레이터를 설계제작하여 조향 성능의 요인을 실험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향 시스템의 설계개선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터는 동양물산 80 마력급 TX803 트랙터에 사용되는 오픈센터방식의 오비트롤 유압회로 시스템을 기어펌프가 장착된 AC모터로 구동되게 구성하였으며, 유량은 모터의 주파수를 조절 회전속도를 조절 변경하였다. 추가적으로 EPS와 오비트롤 조합의 조향성능을 비교 및 개선하기 위해 비례제어밸브(PVG 32, Danfoss)를 추가 장착하였다. 실제 트랙터 조향 시 나타나는 마찰저항을 모사하기 위해 부하 실린더를 구성하였으며, 조향 실린더의 부하의 크기는 부하 실린더를 폐회로를 구성하고 유량비례제어밸브를 이용한 유로의 개구량 조절을 통해 부하의 크기를 약 4000 N 까지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EPS와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CANoe 8.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AN통신 기반 가상 조향ECU를 구성하였으며 오비트롤의 기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조향휠에 따른 실린더 동특성 및 계단 추종성능을 비례제어밸브와 비교하였다. 오비트롤 밸브는 약 ${\pm}5^{\circ}$이상 동작 시 실린더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약 ${\pm}10^{\circ}$이상 동작 시 조향실린더가 동작하기 시작하였다. 계단 추종성능실험에서는 비례제어밸브가 약 2배 이상의 응답개선을 나타냈다. 자율주행 경로추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출력밀도가 높은 비례제어밸브를 통해 응답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struc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Systems for a Scaled Steering Bogie (축소 조향대차의 장애물 검지시스템 구축)

  • Kim, Minl-Soo;Hur, Hyun-M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57_17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의 능동조향시스템 연구를 위한 축소 조향대차의 장애물 검지시스템 구축에 대여 연구하였다. 철도차량에서 능동조향이란 곡선부 주행 시 차륜/레일 접촉에 의한 승차감 저하 및 차륜/레일의 마모와 소음을 줄이고, 고속주행을 위한 조향성능 및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휠셋의 제어기술이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조향제어전략 및 제어기법을 연구하기 위한 축소 차량모델(견인대차와 조향대차로 구성)의 개발과정으로서 자동운전을 위한 장애물 검지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행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Fuzzy Active Steering Controller for Railway Vehicles (철도차량의 퍼지 능동조향제어기의 성능비교)

  • Kim, Min-Soo;You, Won-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718-171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의 능동조향을 위한 고전 PI 제어기 및 퍼지 제어기를 설계하여 그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철도차량에서 능동조향은 곡선부 주행 시 발생되는 승차감 저하 및 차륜/레일의 마모와 소음을 줄이고, 고속주행을 위한 조향성능 및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어기술이다. 논문에서는 차량 1량을 모델로 하여 측정된 휠-레일의 횡변위(Lateral Displacement) 정보를 토대로 휠의 요모멘트를 제어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제어기를 설계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기 응답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Integrated Chassis Control with Determination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후륜 조향각 결정을 통한 통합 섀시 제어기의 성능 향상)

  • Yim, Seong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2
    • /
    • pp.111-119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determine the rear steering angle in integrated chassis control with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and rear wheel steering (RWS). A control yaw moment needed to stabilize a vehicle should be distributed into the tire forces generated by the ESC and RWS. Weighted pseudo-inverse control allocation (WPCA) is adopted to determine the tire forces. Four methods are proposed to calculate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s, a simulation is performed using a vehicle simulation software package, CarSim.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chassis control.

Steering Performance Test of Autonomous Guided Vehicle(AGV) Based o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위성항법 기반 AGV(Autonomous Guided Vehicle)의 조향 성능 시험)

  • Kang, Woo-Yong;Lee, Eun-Sung;Kim, Jeong-Won;Heo, Moon-Beom;Nam, Gi-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2
    • /
    • pp.180-187
    • /
    • 2010
  • In this paper, a GNSS-based AGV system was designed, and steering tested on a golf cart using electric wires in order to confirm the control efficiency of the low speed vehicle which used only position information of GNSS. After analyzed the existing AGVs system, we developed controller and steering algorithm using GNSS based position information.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controller and steering algorithm, straight-type and circle-type trajectory test are executed. The results show that steering performance of GNSS-based AGV system is ${\pm}\;0.2m$ for a reference trajectory.

Manual and Automatic Steering System Using Pulley and Electrical Clutch for Manned and Unmanned Electric Vehicle (풀리 및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유무인 전기자동차용 수동 및 자동조향장치)

  • Lee, Yong-Jun;Ryoo, 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5
    • /
    • pp.597-602
    • /
    • 2012
  • In this paper, a manual and automatic steer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capable of manned and unmanned driving is proposed. The automatic steering systems, EPS, MDPS, used in conventional engine based car includes the problem of handle lock phenomenon while driving of overloading, therefore it has a drawback to apply to manned and unmanned electric vehicles. By using electronic clutch and pulleys, the proposed manual and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was desig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from manual to automatic steering mode. To experimen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teering system, we made an experimental setup of an electric vehicle.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anual and automatic steering system was useful for manned and unmanned electric vehicles.

노말 벡터를 고려한 자동차 서브프레임의 해석 알고리즘 구현

  • 이광일;양승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74-274
    • /
    • 2004
  • 조향성능은 완성된 자동차를 평가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며, 운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까닭으로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자동차의 조향성능과 관련된 자동차 요소로는 프런트 샤시 모듈이 있으며, 프런트 샤시 모듈의 자세는 구성 요소인 서브프레임의 조립자세에 의하여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은 4개의 원통형 지지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체와의 조립시 지지부에 물리적 접촉이 발생한다. 즉 공간상에서 서브프레임의 자세는 지지부의 조립위치에 의하여 결정이 되며, 서브프레임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Steering Control Algorithms for All-terrain Crane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Based on Real-time Co-simulation (전지형 크레인 조향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연성해석 기반의 성능평가)

  • Seo, Jaho;Lee, Geun Ho;Oh, Kwangse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5
    • /
    • pp.367-374
    • /
    • 2017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trol algorithms to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of a 120-ton all-terrain crane. To accomplish this, a hydraulic steering system for the crane was modeled using AMESim software, and a PID steering control algorithm was designed in the MATLAB/Simulink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controller was verified through multiphysics co-simulations based on a real-time simulator.

Effects of EPS Assist Torque on On-center Steering Feel Indices (EPS 어시스트 토크에 의한 온 센터 조타감 성능지수 영향도 분석)

  • Kim, Sang Sup;Kyeong, Jin Si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2 no.3
    • /
    • pp.186-193
    • /
    • 2014
  • On-center handling feel indices are the important numerical factors that meaning performance of manuability and stability felt by drivers. They should be considered to suspension design. The major factor that affect to these indices is the shape of assist torque curve. This paper presents the variables that meaning the shape of the assist torque curve and analyze the effect of each variables. And using interaction formulas, it is proposed that the method to extract the variables that satisfy the goal indices. The result of simulation that applied assist torque curve extracted by the method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this method with error under 8%.

Dynamic Analysis of an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a 3-D Model (3차원 모델에 의한 차량 현가계의 동적해석)

  • 이재형;최영휴;이장무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0
    • /
    • pp.856-860
    • /
    • 1993
  •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차륜과 현가장치에 의한 비선형성과 조향장치의 동특성 등을 고려한 3차원 차량 모델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와 과도상태에서의 조향입력에 대한 차량 주 행역학을 해석하여야 한다. 승차감, 조향성능, 주행안정성 등의 동적성능과 현가장치의 특성관 계를 규명하기위하여 3차원 차량모델에 의한 해석과 설계변수에의 민감도 해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