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관찰

Search Result 4,911,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마이크로파에 의한 생체물질 고정효과

  • 손태호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5 no.3
    • /
    • pp.78-87
    • /
    • 1994
  • 생물학 및 의학등의 생명과학에서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체물질 즉, 생체조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조직의 검사 결과를 판정하고 발표한다. 이때 필히 고정과정(fixation process)을 거쳐야 한 다. 즉, 생체조직중 조직의 구조, 특정 세포나 바이러스 및 효소등을 관찰할 때 고정과정을 거쳐 조직을 절편하고 이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하게 된다. 고정과정이란 생체물질을 안정화시키고 자기분해 혹은 부패를 방지하여 보존이 가능하도록 변화시키 는 과정으로, 조직내의 용해성 물질을 불용성 물질로 변형시키는 과정이다. 고정과정을 거친 생체조직 은 구조를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조직의 훼손이 없는 상태에서 절편이 가능하고 또한 염색상태를 좋게 하며 관찰시 contrast를 증진시킨다. 만약 고정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물질의 세포막이 파괴되고 단백질 등의 물질이 용해되어 조직의 변형을 일으켜 제대로 조직을 관찰할 수 없게 된다. 고정과정에는 크게 화학적 고정법과 물리적 고정법이 있다. 화학적 고정법은 생체조직을 화학용액에 처리하는 방법이며, 물리적 고정법은 직접적인 열 혹은 초음파등으로 물질을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표 면과 내부의 열전도가 달라져 고정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통 2~6일의 고 정시간을 요하는 화학적 고정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에 대한 총 검사시간이 최소 6일에서 최 대 12일이 요구된다. 병원등에서 조직검사의 결과가 늦게 발표되는 사유는 바로 화학적 고정법을 사용 하여 생체조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판정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약 3시간만에 조직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고정법을 소개한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직을 고정하는 고정방법을 기존의 고정법과 비교하여 이들의 장단점을 나타 낸다.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마이크로파 고정기를 소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물질을 고정한뒤 절 편, 염색하여 현미경 관찰결과를 발표하여 본 연구의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우수함을 나타낸다.

  • PDF

Fine Structure of Epithelial Tissue in Korean Leech, Erpobdella lineata (한국산 거머리(Erpobdefla lineate)상피조직의 미세구조)

  • 장남섭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1
    • /
    • pp.115-124
    • /
    • 1995
  • 한국산 거머리 각배obdeffo linea약의 상피조직을 배부상피(dorsal epithelium), 복부 상피(ventral epithelium) 측부상피(lateral epithelium) 별로 3부위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거머리 상피조직은 3부위 모두 불규칙한 세포로 구성되었으며, 그들은 전자밀도가 높은세포와 중등도인세포 그리고 투명한세포 등 3종류로 구분되었다. 거머리의 불규칙한 상피조직 사이에서 두 종류의 분비성 과립인 a 및 b형과립과 색소성 과립인 D형과립이 관찰되었다 배부상피조직에서 관찰된 a형과립(66$\times$83 Um)은 복부와 측부에서 관찰된 과립(33H66 Um) 보다 형태가 훨씬 크고 그 수 도 두배정도 많이 관찰된 반면, b형과립은 모든 상피조직에서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보였지만 그 수는 배부와 복부에 비해 측부상피조직에서 두배정도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 분비성 과립들은 PAS-alcian blue(pH 2.5) 반응에서 모두 PAS에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거머리 몸마디를 이루는 체절은 배부와 복부에서 그 주름의 깊이와 넓이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서(배부, 40 Um와 330 urn, 복부 100 urn와 150 urn), 복부의 깊은 체절이 발(foot)의 역활을 수행 하였다.

  • PDF

태아 십이지장 내분인포군집의 형태 및 면역조직화학적 특성

  • Kim, Eun-Hui;Kim, Gon-Seop;Hong, Hye-Nam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1
    • /
    • pp.1-11
    • /
    • 1994
  • 임신 26주, 27주의 생명력이 없는 한국인 태아 2예를 대상으로 십이지장 점막에서의 장내분비세포군집(일부 일본인 학자들이 명명한 "Segi's cap")의 출현, 형태 및 구조를 관찰하고. 이들 세포군집에서 내분비세포들의 존재 및 면역조직 화학적 특징들을 관찰하고자, 파라핀조직절편과 냉동박절 후 hematoxvlin과 eosin염색. Azan염색, Comori법, 그리고 면역조직화학염색 표본을 제작,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세포들의 군집 형태는 장 내강을 향해서는 오목한 형태였고, 기저막을 향해서는 볼록한 형태였다. 군집을 이룬 세포들은 중층을 이루었고. 술잔세포도 장 내캉목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내강쪽에 위치한 세포들의 경우 미세융모들의 줄무의가장자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Leuenkephalin, somatostatin, substance p,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및 5-HT 항혈청을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한 결과 somatostatin 양성반응세포와 5-HT 양성반응세포만이 관찰되었다. 이들 somatostatin 양성반응 세포와 5-HT 양성반응세포들은 대개가 원추형의 세포들로서 개구형을 이루고 있음을 관찰한 수 있었다.관찰한 수 있었다.

  • PDF

설치류의 부검

  • 강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Path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17-129
    • /
    • 2002
  • 가. 부검 1. 부검시 주의 사항 ◇ 시험계획서와 표준작업수순(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충분히 숙지한다. ◇ 부검소견기록지를 준비한다. ◇ 부검은 정해진 장소(부검실)에서 보호구를 착용한 후 실시한다. ◇ 부검책임자의 감독하에 실시한다. ◇ 동물번호를 반복해서 확인하고 다른 동물과의 혼동을 피한다. ◇ 외모와 내부장기 및 조직을 잘 관찰한다. ◇ 이상부위는 소견을 상세히 기록한다 (위치, 크기, 모양, 색깔, 경도, 단면 등). ◇ 소견 기술(description)은 표준용어를 사용한다. ◇ 조직의 기계적 손상, 건조, 자가융해 등의 artifact를 최소화한다. ◇ 시험물질의 성질, 투여경로, 임상관찰 결과 등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작업한다. 2. 육안관찰의 일반적인 원칙 ◇ 독성평가는 부검의 완벽함과 정확성에 의존한다. ◇ 부검은 병리에서 자료생산의 시작단계다. ◇ 육안관찰은 조직의 선택과 삭정에 대한 기초와 방향을 제공한다. ◇ 변화는 크기에 관계없이 진단의 가능성을 최대화한다. ◇ 시험계획서에 명시된 조직 및 기타 병변을 철저히 관찰하고 채취한다. ◇ 부검시 폐기된 조직은 영원히 사라짐을 명심한다. (중략)

  • PDF

Protection Effect of Natual Matter and Radiation Damage on Kidney Tissue (신장 조직의 방사선 손상과 천연물질의 방어기전 연구)

  • Ji, Tae-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376-384
    • /
    • 2009
  • This research has microstructure observation to find tissue damage mechanism and radio-protection effect on mouse kidney tissue. The result observation of a Light Microscope(LM); The kidney tissue after 5Gy irradiation observed a glomerulus atrophy, also crack distance to base membrane of a convoluted tubules. The kidney tissue after 10Gy irradiation observed out flow cytoplasm to membrane break of a convoluted tubules. The result observation of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The kidney tissue of after 5Gy irradiation has to breaking a inside cristae and membrane of mitochondria, also show definite damage of nucleus membrane. 10Gy irradiation has all the more damage a base membrane and thickness of lysosome. However, Propolis eating groups observed normal to nucleus membrane and small body of intracellular. therefore We considered "Propolis" as make radio protection function to kidney tissue of the greater part.

The role of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in human pulpal inflammation (성인 치수염에서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작용에 관한 연구)

  • Park, Han-So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5
    • /
    • pp.515-520
    • /
    • 2002
  • 연구목적 : Cytokine은 유해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으로서의 염증반응에서 숙주세포 상호간의 작용을 매개해 주는 역할을 하며, 치수조직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된 바 있다.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은 염증의 초기에 작용하는 cytokine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역할과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치수염이 있는 치아에서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정상 치수와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치수염에서의 작용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총 60개의 성인 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수염으로 진단된 치아들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정상 치수를 가진 치아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발치한 치아에서 치수조직을 적출하였다. ELISA를 사용하여 적출된 치수조직 내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rank sum 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서는 발치된 치아에서 치수조직을 적출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시행한 후 관찰하였다. 결과 : 1. Interleukin-6의 농도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Interleukin-10의 농도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3. 조직학적 관찰 결과 실험군에서 림프구의 침윤과 부분적인 조직의 괴사 등 염증반응의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A Histological Study on the Bone Tissues Surrounding Coated and Non-Coated Titanium Implants in Beagle Dogs (Beagle Dog 에 식립된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 및 피막처리된 타이타늄 임프란트 주위의 골조직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m, Sang-Hoon;Son, Sung-H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7 no.1
    • /
    • pp.91-10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악골에 식립된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와 타이타늄 플라즈마 처리된 타이타 늄 임프란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피막처리된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주위 골조직을 광학현미경 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찾히였다. 3 마리의 beagle dog 에서 상하악 소구치를 편측으로 발거한 후 12 주의 치유기를 거쳐 임프란트 를 식립하였으며, 임프란트 식립 후 4주, 8주 및 12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서 조직 표본을 제작하였다. 임프란트 주위의 골조직에서 염증이나 이물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악골에서와 유사한 골조직 소견이 관찰되었다 상악골 및 하악골에 식립된 모든 임프란트의 4주 표본에서, 골과 임프란트 변의 직접적인 접촉이 관찰되었다. 동일한 치유기에서는, 상악골에 식립된 임프란트의 면에 비하여 하악골에 식립된 동종의 임프란트의 변에서 더 많은 양의 골접촉이 관찰되었으며,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면에 비하여 피막처리된 타이따늄 임프란트의 변에서 더 많은 양의 골접촉이 관찰되었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

  • Kim, Gyeong-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37-646
    • /
    • 2009
  • 양성 종양(benign tumor)을 언급하기에 앞서 과오종(hamartoma) 및 과다 형성(hyperplasia)과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양성 종양은 기원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지만 일반적으로 치료하기 전까지 이상 증식을 지속하는 진성 신생물을 일컫는다. 이에 비해 과오종은 정상 조직이 무질서하게 과증식하는 것으로 일정기간 후에는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진성 신생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과오종이 양성 종양에 포함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치아종은 정상적인 치성 조직의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성장을 멈추지만 양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과다 형성은 조직의 세포가 정상적인 배열 양상을 보이면서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성장 양상을 보이지만 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양성 종양과는 구별된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방사선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방사선검사는 병소의 위치, 범위, 특징 및 병소와 인접 해부학적 구조와의 관계 등 많은 방사선학적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종양은 방사선사진에서 매우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예비 진단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종양들은 방사선사진에서 관찰되는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종양의 확진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수적이며, 방사선검사는 반드시 생검에 앞서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할 수 있다. 양성 종양은 각각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양성 종양의 특징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 첫째, 양성 종양은 대개 호발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종양의 발생부위는 감별 진단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성 병소는 치아가 형성되는 하악관 상방의 치조돌기에서, 혈관성 및 신경성 병소는 하악관 내에서, 연골성 종양은 하악과두와 같이 연골세포가 잔존되어 있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양성 종양은 대체로 명확한 경계와 피질골성 변연을 보이며, 종종 병소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어 병소 주위에 방사선투과성 띠가 관찰되기도 한다. 셋째,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인접 주위 조직에 압력을 가하면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변위 또는 흡수, 피질골의 비박, 팽융 등의 소견을 보이며 피질골의 천공은 드물다. 방사선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병소 내부는 방사선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불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투과상과 방사선불투과상이 혼재된 상으로 관찰된다. 저자는 이 지면에서 이러한 방사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구강악안면영역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Sliding Wear Behavior of Ultra-Fine Grained 5052 Aluminum Alloy Fabricated by a Accumulative Roll-Bonding Process (누적압연접합공정에 의해 제조된 초미세립 5052 알루미늄 합금의 상온 기계적 특성 및 미끄럼 마멸거동에 대한 연구)

  • 하종수;강석하;김용석;신동혁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6-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누적압연접합공정(ARB)을 통하여 5052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을 약 0.2$\mu\textrm{m}$ 크기로 미세화 하였다. 누적압연에 의한 변형량 증가에 따른 미세 조직 변화와 결정립 간의 상대적인 방위각 차이를 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누적 변형량을 함수로 상온 인장특성을 분석하였고, 초미세립 소재를 후속 열처리한 후 미세 조직 변화를 관찰하여 제조된 초미세립 소재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온 대기 중에서 pin-on-disk 형태의 마멸시험기를 사용하여 초미세립 소재의 미끄럼 마멸시험을 변형량과 하중을 변수로 행하였다. 강소성 변형에 의해 제조된 5052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마멸저항성은 강소성 변형 전과 비교하여 소재의 경도가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감소하였다. 마멸시험 후 마멸면의 SEM, 마멸단면의 OM 관찰과 마멸면 직하의 깊이에 따른 경도측정을 통하여 초미세립 소재의 마멸기구를 분석하였고 마멸표면의 변형 층을 관찰하였다. 또한 마멸면 직하 조직의 TEM 관찰을 통해서 마멸시험 중의 미세 조직 변화를 연구하였다.

  • PDF

Anatomical Observation of Leaf of Gerbera hybrida Hort. Injured by Liriomyza trifolii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한 거베라 피해잎의 조직학적 관찰)

  • Chung, Yong Mo;Kim, Jin Ki;An, Dong Chun;Been, Chul Gu;Lee, Dong Woo;Sohn, Hung Dae;Kwon, Oh Cha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7 no.4
    • /
    • pp.485-488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a basic information on the structur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rbera hybrida Hort. leaf injured by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ASL), Liriomyza trifolii, by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Based on the anatomical observation of leaf blade injured by L. trifolii, the injury proces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initial stage, the punctured tiny holes where ASL layed eggs after suction in the upperside of leaf were observed in the palisade parenchyma. In the middle stage, the hatched larvae made mines in the palisade parenchyma only. In the final stage, the mature larvae grew up making the mines bigger, and just before going out from the epidermis, it injured the inside of leaf containing one layer palisade parenchyma and two layers of spongy parenchym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