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종교육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실습선을 이용한 선박 조우상황 분석을 통한 실습교육자료 제안

  • Park, Yeong-Su;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12-113
    • /
    • 2007
  • 실습생 및 초급항해사에게 항해 중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충돌회피를 위한 선박조종 실습은 법적 책임 및 타 선박과의 불규칙한 조우로 인하여 직접적인 충돌회피 조종 실습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타 선박과의 조우 상황 자체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나라호의 2007년 원양항해 중 타 선박과의 조우형태를 조사하여 해양계열 대학 실습생 및 초급 항해사에게 실제 해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우상황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충돌회피를 위한 효율적인 판단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실습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추후에는 이러한 자료를 선박조종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임의의 조우 상황하에서 안전한 선박조종이 가능하도록 교육 훈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실습교육에 이바지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해 안전에 필요한 해상 시운전 필요 검증 요소 고찰

  • 강석용;이호;이윤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81-82
    • /
    • 2021
  • 선박은 건조 후 선주에게 인도되기 전에 해상시운전을 하게 된다. 해상 시운전은 통상 안벽에서 수행 가능한 기기류를 테스트 한 후 해상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메인 엔진의 출력, 발전기를 포함한 각종 보조기계의 작동상태, 선박의 조종성능과 속력 테스트, 항해 통신장비 테스트, 양묘기테스트 등이 있으며 이외에 선종에 따른 추가 테스트 또는 선주에 의하여 요구하는 특별한 테스트를 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해상 시운전의 주요 테스트 내용 중 선박조종성능에 관하여 분석하고, 실제 선박을 운항하는 항해사에게 필요한 주요 정보를 식별하고자 하는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ducation and Learning Culture for the Safety Promotion of Student Pilots i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 Kyung Su Ahn;Won Kyong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0 no.4
    • /
    • pp.207-214
    • /
    • 2022
  • 교육은 준비, 발표, 적용, 복습 및 평가 순으로 이루어지고, 학습은 경험의 결과로 개인의 지각, 사고, 느낌, 행위의 방식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고로 초기 조종사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교육과 학습은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매우 중요하다. 항공안전법에서 국내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교육기관(ATO)을 국토교통부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하고, 또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도 승인받고 안전관리 활동이 의무화됐다. 조종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인 학생조종사에게 국가 항공안전관리 정책 및 목표에 부합하도록 달성 가능한 수준의 항공 업무의 안전목표를 수립하고 그 구성원들이 학생조종사에게 안전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과 학습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조종사양성 전문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조종사의 교육과 학습에 따른 단계별 안전의식을 알아보고, 학생조종사가 안전문화를 형성하는데 초기교육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학습문화을 만들고 도움이 되는지 연구한다.

Development of Scenario for Utilization in Educ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and Effective Analysis of its Application (재난안전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그 활용의 효과분석)

  • Kang, Ung 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4
    • /
    • pp.160-166
    • /
    • 2021
  •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scenario for educational uti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that can be used at fire sites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cenarios according to robot utilization education. Our scenarios were developed based on direction, reality, and rationality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a questionnaire survey distributed to current firefighters. In additi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and training effectiveness were analyzed through repetitive robot control training by a robot development team, current firefighters, and college students. Robot control was divided into direct control, monitor control, and simulation control, and tests were carried out five ti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obot control test, the average time spent for each group was 28 seconds for college students, followed by development teams (30second) and incumbent firefighters (38secon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alysis results, firefighters (maximum 35second) in direct control, the development team (maximum 14second) in monitor control, and firefighters (maximum 22second) in simulation control showed the effect of shortening control time. These results show that robot control education and training is necessary for robots to be used more effectively at disaster sites.

System Configuration of Ship-handling Simulator Based on Distributed Data Processing Network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win-Screw and Twin-Rudder Ship- (분산처리네트워크에 기반한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2축2타선박을 대상으로-)

  • Kyoung-Ho Sohn;Yong-Min Kim;Seung-Yeul Yang;Ki-Young H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25 no.4
    • /
    • pp.443-453
    • /
    • 2001
  • 선박조종시뮬레이터는 해기사의 교육 훈련, 항만 수로 설계 시 안전성 평가, 선박설계시 조종성능의 검토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개발한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소개하고 개발 과정과 활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Operation Panel, Instructor's Console, Ship Dynamics Calculation, 3D Bridge View, 2D Bird's Eye View 및 Navigational Indicators의 6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8대의 퍼스널 컴퓨터가 배치되어 있다. 모든 구성요소들은 효율적인 정보 교환을 위하여 분산처리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항만내에서의 저속 시 조종운동 수학모델과 가상현실 모델링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부산항에 대한 2축2타선박의 접안 조종 시뮬레이션 예를 보여주고 있다.

  • PDF

A Study of Korean Drone-security Education System (한국 드론시큐리티 교육훈련 시스템에 관한 연구)

  • YIn, M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73-374
    • /
    • 2022
  • 본 연구는 민간 시큐리티 분야의 드론 도입 시 교육과목 중 드론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과목을 기준으로 절차 및 내용에 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계감시, 순찰, 경보, 촬영 및 영상기록, 장비점검, 장비 운송, 사격등의 과목에 드론운영에 대한 교육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이처럼 드론 시큐리티 분야를 민간 시큐리티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드론의 기능과 더불어 각 업무분야에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과목을 구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기술로는 드론에 부착되는 장비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다를 수 밖에 없으며, 비행시기와 장소에 따라 실내비행이나 야간비행이 필요한 추가적인 조종교육 및 운용교육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ilot Competency to Improve Work Management in the Civilian Pilot Transition Course (민간 조종사 전환과정 중 업무안배 능력 향상을 위한 조종역량 요인 분석연구)

  • Jung, Jin-Yo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6 no.3
    • /
    • pp.136-143
    • /
    • 2022
  • The pilot's role is absolutely critical to the safety of an airlin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pilot competency required in actual flight at the initial flight training stage. In this study, the progress and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ach background are analyzed, and differentiated competency-based training is to be studied. By sampling a sample of civil airline pilots, we are trying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regular proficiency check among the eight competencies defined by ICAO according to military and civil backgrounds. Accordingly,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 military and civilian origin, to confirm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piloting competency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helpful to design future training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