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정동작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Clock Adjustment Method of Window System (윈도우즈 시스템에서의 시각 조성 방안)

  • 이성진;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63-165
    • /
    • 1998
  • 컴퓨터 시스템에 내재된 시각 장치는 제반 동작의 기본이 되며, 시간과 관련된 연산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시작 장치는 온도나 습도와 갗은 주위 환경 요인에 의해 오차를 가지며, 보다 높은 시각 정확도를 얻기 위해서는 시작 장치를 동기시키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즈 시스템 시각장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동기 알고리리즘을 적용한 시각 조정 방안과, 제시된 조정 방안을 적용한 알고리즘의 실험과 결과에 대해 제시한다. 사용된 알고리즘은 피드백 제어를 사용하여, 분주된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GPS로부터의 1PPS 신호에 동기시키는 FLL로 구성하였다. 조정방안의 구현 및 실험은 Windows95상에서 실행되었다.

  • PDF

Optimal Operation Method and Capacity of Energy Storage System(ESS) in Primary Feeders with Step Voltage Regulator(SVR) (선로전압조정장치(SVR)가 설치된 고압배전선로에서 전기저장장치(ESS)의 최적운용 및 적정용량 산정방안)

  • Kim, Byungki;Ryu, Kyung-Sang;Kim, Dae-Jin;Jang, Moon-seok;Ko, Hee-sang;Rho,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9-20
    • /
    • 2018
  • When a large-scale photovoltaic (PV) system is introduced into a distribution system, the customer's voltage may exceed the allowable limit ($220V{\pm}6%$) due to voltage variations and reverse power flow in the PV syst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method for adjusting the customer voltage using the existing step voltage regulator (SVR) installed in the primary feeder.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echanically operating SVR, the customer voltage during the tap changing time of the SVR is likely to deviate from the allowable limit. In this paper,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with optimal operation strategies, and an appropriate capacity calculation algorithm are proposed, and the parallel driving scheme between the SVR and the ESS is also proposed to solve the customer voltage problem that may occur during the tap changing time of the SV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allowable limit of the customer voltage is verified by the proposed methods during the tap changing time of the SVR when the large-scale PV system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Timing System for 3D Animation Production (3차원 애니메이션을 위한 타이밍 시스템 구현)

  • Song, Wan-Seo;Kyung, Min-Ho;Suk, Hae-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36-842
    • /
    • 2006
  • 3D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동작의 타이밍(예를 들면 timing&spacing, slow-in, slow-out)은 연기의 의미와 느낌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타이밍의 편집은 애니메이션 작업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기존의 3D 애니메이션 시스템에서 수행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첫째로 타이밍의 편집은 시간축 자체를 변형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보간 곡선에 대한 재매개변수화가 필요한데, 이러한 가능은 기존 애니메이션 시스템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둘째로 타이밍 편집에는 종종 애니메이션 감독이 직접 참여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3D 애니메이션 시스템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직접 만들어 보기가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 새로운 애니메이션 타이밍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렌더링된 영상파일들과 애니메이션 장면 파일을 입력 받아 사용자가 타이밍 편집을 하고, 그 결과를 애니메이션 장면 파일에 다시 기록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타이밍 편집은 기존 셀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가능과 시간왜곡 (time-warping) 그래프를 직접 조정하여 타이밍을 조정하는 가능을 제공한다. 전자는 제작도구에 익숙하지 않은 감독이나 셀 애니메이션 작업자들이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고, 후자는 좀 더 세밀한 타이밍 조정을 위해 제공하는 가능이다. 사용자가 편집한 타이밍 결과는 각 동작변수의 보간곡선을 재매개변수화하여 애니메이션 파일에 기록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실제 애니메이션 제작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야 애니메이션 파일을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 PDF

An Operational Characteristic of a Trigger-Gap Switch induced by Pulsed Nd:YAG Laser (펄스형 Nd:YAG레이저에 의한 트리거 갭 스위치의 동작특성)

  • Nahm, G.H.;Chung, H.J.;Lee, D.H.;Kim, H.J.;Cho, J.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8.07e
    • /
    • pp.1693-1695
    • /
    • 1998
  • 콘덴서에 고압으로 축적된 에너지를 부하로 전달해주는 스위칭기술은 고전압 펄스 파워 분야에서 아주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트리거 갭 스위치는 흔히 연구실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갭 간격을 조정함에 의해 방전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트리거 갭 스위치는 트리거 방전없이 생기는 자가방전이 발생하거나 트리거 방전이 생겨도 주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반 트리거 갭의 단점을 보완하고 확실하게 동작하는 갭 스위치의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를 위해 Nd:YAG 레이저를 트리거 갭 스위치 음극에 조사해 전극사이의 거리 g와 압력에 따른 최소트리거전압 $V_{T.min}$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Analysis and Design of Dimming Electronic Ballast for a Compact Fluorescent Lamps (컴팩트 형광램프용 조도제어형 전자식 안정기의 설계와 해석)

  • Kim, Jong-Kil;Son, Young-D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f
    • /
    • pp.2792-279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컴팩트 형광램프용 조도제어형 전자식 안정기의 각 동작 모드별 해석과 설계 및 실험적 고찰을 제시한다. 부스트 컨버터와 해프브리지형 고주파 공진형 인버터를 결합한 일단계 인버터 안정기를 제안하고 그 기본동작 및 특성에 관해 검토한다. 역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부스트단에서는 전류불연속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였다.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직렬 공진형 인버터는 영전압 영전류 스위칭 방식을 적용하였다.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조도제어를 구현하였으며 다단계의 조도제어가 가능해진다. 전자식 안정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공진형 인버터를 동작 모드별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동작주파수 및 회로정수를 결정하며, 실제 전자식 안정기를 제작하여 시동특성과 조광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36W 형광램프에 대한 실험 결과와 등가회로 모델에 의한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전자식 안정기의 적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Effect of varying the coupling strength and section length on the self-pulsation characteristics of multisection index-coupled DFB lasers (다중 전극 Index-Coupled DFB 레이저에서 결합 세기 및 각 영역의 길이가 Self-Pulsation 동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Taek;Kim, Tae-Young;Ji, Sung-Keun;Kim, Boo-Gyou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6 no.1
    • /
    • pp.85-98
    • /
    • 2005
  • As the number of compound cavity modes within the stopband of DFB sections decreases, the frequency of mode hopping decreases for the variation of $\Delta$λ$_{B}$, which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agg wavelengths of two DFB sections, so that the number of abrupt changes of pulsation frequencies decreases. In addition, the pulsation frequency varies continuously for the variation of the phase in a phase tuning section for a fixed $\Delta$λ$_{B}$. The number of compound cavity modes within the stopband decreases as the length of DFB sections increases and the length of a phase tuning section decreases. Thus stable self-pulsation operations for the variation of $\Delta$λ$_{B}$ and the phase in a phase tuning section could be obtained by proper selection of the coupling strength and the length of each section.ction.

Design of Readout Circuit With Smart Reset Control for Improving Dynamic Range of LWIR FPAs (초점면 배열 원적외선 검출기의 동작범위 향상을 위한 리셋 조정 회로)

  • Woo, Doo-Hy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7 no.1
    • /
    • pp.38-45
    • /
    • 2010
  • A new readout circuit involving a pixel-level reset control was studied for 2-D long wavelength infrared focal plane arrays. The integration time of each pixel can be optimized individually and automatically. Hence, the readout circuit has a wide dynamic range and good signal-to-noise ratio characteristics. The readout circuit was fabricated with a $0.35{\mu}m$ 2-poly 4-metal CMOS process for a $128{\times}128$ long wavelength infrared HgCdTe array with a pixel size of $50{\mu}m{\times}50{\mu}m$. The smart reset control with two-step background suppression improves the signal-to-noise ratio to 87dB and the dynamic range to 95.8dB.

Analysis of Pointer Adjustment Jitter Generated in Degraded Mode with Computer Simulation (비정상인 모드에서 발생되는 포인터조정지터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

  • Choe, Seung-Gu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4
    • /
    • pp.561-566
    • /
    • 1995
  • In the degraded mode, there is frequency-misalignment between the node clocks in a synchronous network. Therefore the phase differences between node clocks fluctuate greatly. To keep the phase difference under allowable level the pointer adjustment technique is used Unfortunately these processes cause an inherent pointer adjustment jitter, that accumulates in a chain of pointer adjustment systems. To analyze the jitter, computer simulation is carried and the results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jitter values.

  • PDF

An Adaptiv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Scheme Based on a Variable Scaling Factor for Photovoltaic Systems (태양광 시스템을 위한 가변 조정계수 기반의 적응형 MPPT 제어 기법)

  • Lee, Kui-Jun;Hyun, Dong-Seok;Kim, Rae-Young;Lim, Chun-Ho;Kim, Woo-Chul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435-436
    • /
    • 2012
  • 본 논문은 가변 조정계수를 이용한 적응형 MPPT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MPPT 제어 루프가 소신호 모델링을 통해 구성되며, PV array 의 동작점에 상관없이 MPPT 제어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변 조정계수가 결정된다. 가변 조정계수는 오차에 대한 근사화된 곡선맞춤 다항식을 통해 결정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MPPT 의 동특성과 안정성을 전 MPPT 영역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제안된 MPPT 기법의 타당성은 3KW 급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