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작장치

Search Result 460,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Stewart Platform-Based Master System for Tele-Operation of a Robot Arm (로봇 팔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튜어트 플랫폼 기반의 조작장치)

  • Lee, Sang-Duck;Yu, Hong-Sun;Ahn, Kuk-Hyun;Song, Jae-Bok;Kim, Jong-Won;Ryu, Jae-K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2
    • /
    • pp.137-142
    • /
    • 2015
  • Teleoperation of a robot arm working in hazardous environments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defense and security. A master system is an essential par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eleoperation. We developed a master system, which is an essential part in the teleoperation, so that it can operate the slave robot arm intuitively and has excellent mobility and porta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master systems. The master system adopted a Stewart platform to minimize the size and weight, and the legs of the Stewart platform are composed of wires to improve the operation range of the system. The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e developed master system is conducted with a commercial IMU,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aster system can perform reliable and dexterous teleoperation.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 Oh, Jin-Wook;Park, Jong-Hyun;Jo, Jang-Hyeon;Lee, Cheol;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R Haptic Device for Integrated Control of Vehicle Comfort Systems (차량 편의장치 통합 조작을 위한 MR 햅틱 장치)

  • Han, Young-Min;Jang, Kuk-C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2
    • /
    • pp.291-298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of secondary controls within vehicles requires a mechanism to integrate various controls into a single device. This paper presents control performance of an integrated magnetorheological (MR) haptic device which can adjust various in-vehicle comfort instruments. As a first step, the MR fluid-based haptic device capable of both rotary and push motions within a single device is devised as an integrated multi-functional instrument control device. Under consideration of the torque and force model of the proposed device, a magnetic circuit is designed. The proposed MR haptic device is then manufactured and its field-dependent torque and force are experimentally evaluated. Furthermore, an inverse model compensator is synthesized under basis of the Bingham model of the MR fluid and torque/force model of the device. Subsequently, haptic force-feedback maps considering in-vehicle comfort functions are constructed and interacts with the compensator to achieve a desired force-feedback. Control performances such as reflection force are experimentally evaluated for two specific comfort functions.

A Gesture-based Control Interface Design for Handheld Game Consoles Using Accelerometer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동작 기반 휴대용 게임기 조작 인터페이스 디자인)

  • Go, Geon-Hyeok;Bang, Mi-Hyang;Seo, Jae-Woo;Cho, Sun-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81-386
    • /
    • 2007
  • 휴대용 게임기의 조작 인터페이스는 처음 등장한 이래로 지금까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렇게 고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는 휴대용 게임기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제한시켰다. 우리는 이러한 전형적인 조작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다채로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휴대용 게임기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했다. 사례 조사와 사용자 조사를 통해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게임기에 도입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크게 1. 화면의 가시성 2. 게임 요소의 동작 지각 3. 낯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거부감 4. 주위의 시선이 신경 쓰임 5. 무게 등이 제시되었다. 이에 우리는 본체로부터 조작부와 화면부를 분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했다. 사용자는 조작 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한 손에 들고 쥔 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조작 장치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가 움직이는 방향과 속도를 인식, 본체의 처리 장치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나머지 한 손에 본체를 들고 화면을 보면서 게임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 예상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Trends in clutch actuating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제어계의 개발동향)

  • 이일영;양경욱;윤소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7 no.5
    • /
    • pp.28-35
    • /
    • 1995
  • 본 해설에서는 클러치 제어용 유압계 특성에 대하여 간략히 서술하고 각 장치즐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함과 동시에, 본 저자들이 개발한 클러치 조작용 유압계에 쓰이는 압력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변속장치내 클러치 조작용 유압계 특성. 1.1 클러치 조작용 유압계 제어의 필요성. 1.2 변속시 충격 토크의 저감법. 1.3 클러치 조작용 유압계의 제어방식.

  • PDF

Modeling of User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Control Elements in the Car (자동차 실내에서 운전자 행동 및 조작요소와의 인터렉션 정보 모델링)

  • Park, Jeo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33-736
    • /
    • 2003
  • 자동차는 이제 단순한 운송 수단이 아닌 생활의 한 공간으로써 인식되어야 하며, 자동차 내부의 각종 편의장치 또한 사용자 중심적 견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자동차 내부에는 운전에 관계된 조작장치 이외에도 오디오, 공기조절기와 같은 각종 편의장치들이 존재하며, 일반적 상황이 아닌 운전 작업 줌에 조작이 행해진다는 정에서 특히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실내를 대상으로 하여 그 사용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사용환경내 오브젝트와의 인터랙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구조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 정보모텔을 작성하는데 있다.

  • PDF

Rapid Prototyping and Verify of Manipulable Component of Car Interior (자동차 실내 조작장치의 Rapid Prototyping과 적합성 검토)

  • Choi, Cheol;Park, Se-Jin;Kim, Cheol-Jung;Kwon, Gyu-Sik;Kim, Ji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89-592
    • /
    • 2000
  • 자동차 man-machine system의 interface를 이루는 Display panel, Center fascia, Steering wheel, Rear view, Gear, Power window switch, Seat 등과 이들의 Layout은 운전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안락감과 밀접한 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요소들의 Man-machine interface의 최적화를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운전자의 안락감은 Seat, Pedal, Steering wheel 등 뿐만 아니라 각종 조작장치(Audio, Switch, Gear,…)도 함께 연구되어야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용 Seating buck을 제작하여 실내 조작장치 중 오디오를 대상으로 터치스크린과 Rapid Prototype을 이용해 사용성 평가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Rapid Prototyping 기법은 디자인단계에서 제품 사용상의 문제점을 발견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 3가지 항목 중 1가지만이 실제 Audio와 Prototype에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Prototype의 접촉감과 입체감의 개선, 실사용과 동일한 환경의 제시, 소리와 같은 정확한 반응의 제시, Glare의 제거, 사용자 분석에 따른 실험 데이터의 축적 등을 고려하여 Rapid Prototyping을 구현하여야 할 것이다.

  • PDF

Smart Puck System for Manipulating Digital Information via Physical Sensation (물리적 감각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조작을 위한 스마트 퍽 시스템)

  • Jo, Hyeon-Cheol;Kim, Rae-Hyeon;Park, Se-Hyeong;Han, Ma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57-8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상에서 물리적인 감각을 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 퍽 시스템을 제시한다. 기존의 데스크 탑 PC 환경의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마우스와 디지털 정보의 공간적인 불일치가 생기고 마우스의 물리적인 움직임과 모니터 상 그래픽 커서의 이동을 맵핑하여 간접적으로 정보를 조작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 퍽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tabletop display상의 디지털 정보를 직접 조작할 수 있고, 스마트 퍽을 끌거나 들어서 옮기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물리적인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지털 정보와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는 여러 사용자가 함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공유하고 조작하는데 적합하다. 스마트 퍽 시스템은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지각과 반응을 통한 물리적인 인터랙션과 가상의 디지털 정보와의 거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은 PDP 기반의 tabletop display 장치와 스마트 퍽, 그리고 tabletop display상의 스마트 퍽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스마트 퍽의 입력을 전송 받아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 PC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퍽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몇 가지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 PDF

Presentation control using a KINECT Sensor (Kinect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 제어)

  • Jung, Suhk-Jun;Choi, Gyu-Jin;Cho, Eu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370-372
    • /
    • 2012
  • 본 연구는 프레젠테이션 조작을 위한 동작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프레젠테이션 조작을 위해서 로컬 입력 장치 또는 원격 입력 장치를 이용했다. 하지만 로컬 입력 장치를 이용하면 프레젠테이션 진행이 원활해 지지 않고 원격 입력장치는 제한적인 조작 기능을 가진다. 이런 제약을 개선하기 위해 동작 인식 센서인 Kinect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Kinect 센서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의사 전달을 위해 프레젠테이션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능들을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원격에서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가능케 한다.